본문내용
. 과거의 잘못을 방관하고 어찌 현재를 수긍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이 정의의 관점이다.
우리의 행위나 결정도 역사의 잣대 아래 미래에 언젠가는 평가될 것이지만 그 기준은 공리주의와 같은 이익(interest)이라는 한 가지 기준에 의하는 것이 아니다. 공리주의가 알지 못하는 또 다른 기준들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에는 민족 공동체적 삶, 인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공리주의적 입장에서도 좀 더 깊게 생각하면, 단기간에는 이익에 부합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이익에 반하는 경우를 피하거나 극복해야 옳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오늘 우리 사회가 과거의 잘못된 일들 때문에 미래의 비전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공리주의의 입장하고도 부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의 행위나 결정도 역사의 잣대 아래 미래에 언젠가는 평가될 것이지만 그 기준은 공리주의와 같은 이익(interest)이라는 한 가지 기준에 의하는 것이 아니다. 공리주의가 알지 못하는 또 다른 기준들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에는 민족 공동체적 삶, 인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공리주의적 입장에서도 좀 더 깊게 생각하면, 단기간에는 이익에 부합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이익에 반하는 경우를 피하거나 극복해야 옳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오늘 우리 사회가 과거의 잘못된 일들 때문에 미래의 비전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공리주의의 입장하고도 부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