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진단을 넘어서는 부분이기도 하다. 많은 시민사회들이 결속형네트워크를 추구하면서도 SNS를 활용한 연계형네트워크를 널리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시민사회의 시민 참여율은 과연 하락하고 있는 것이지 변화하고 있는 것인지 조차 판단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와 같이 지대하게 정치에 관심을 갖는 국민성도 특이할 만 한 점으로 작용하리라 짐작한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로버트 D.퍼트넘의 사회 내 관계, 세대 간 관계를 통한 사회적 자본 분석은 SNS통해 현실 사회참여를 일궈낸 한국의 청소년들이 이후 사회의 중심세력으로 기반을 잡았을 때,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지에 관해 이전 세대와 비교 분석을 할 수 있는 용이한 틀을 제공하였다는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로버트 D.퍼트넘의 사회 내 관계, 세대 간 관계를 통한 사회적 자본 분석은 SNS통해 현실 사회참여를 일궈낸 한국의 청소년들이 이후 사회의 중심세력으로 기반을 잡았을 때,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지에 관해 이전 세대와 비교 분석을 할 수 있는 용이한 틀을 제공하였다는 함의를 지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