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면 안된다는 생각이다. 국민들의 인식 개선을 통하여 예방을 철저히 할 수 있도록 모두가 마음을 기울여야 된다고 본다. 지금 역시 정부에서는 아동보호법 특례법을 입법은 했지만 정작 아이들을 제대로 도와줄수 있는 재정 또는 인원수는 부족하리만치 택도 없고 방송에서 보았 듯 아동보호기관에서 조차 가해자들이 교묘히 빠져 나갈수 있을 법한 사각지대가 많은 것으로 보아 우리 모두가 열심히 예방법과 대책법을 강구해본다고 해도 100퍼센트의 아동보호는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허나 지금보다 더, 나중에는 나중 보다 더, 이런식으로 계속된 관심을 기울인다면 언젠가는 아동범죄가 100퍼센트 사라지는 날 오지 않을까 하고 좋게 생각하고 싶다.
진실이 아무리 추악하더라도 고개를 돌리진 말아야 할 것이다.
언제까지 이렇게 실망하고 한탄해야 되는가. 되먹지 못한 사회에 못되고 못난 어른들이 이렇게 많다는 것 또한 자라나고 있는 예쁜 아이들에게 힘이 되어주지는 못할망정 살인에 가까운 아동학대가 이렇게나 많다는게 너무나 비통할 뿐이다.
말도 안되는 계모 10년, 친부 3년. 그것도 아이의 사망을 적극적으로 의욕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말같지 않은 판결로 살인죄가 아닌 상해 치사죄로 말이다. 이런 판결이 어떻게 나올 수 있는건지.
어서 빨리 아동학대에 대한 구조적, 제정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더 이상 억울함에 눈물 흘리는 아이들이 없었으면 좋겠다.
자신이 낳고 기른 아이가 자신들 때문에 죽었다는 것에 대한 책임은커녕 입에 발린 거짓말만 늘어놓으며 자기변호하기 급급한 저런 인간의 탈을 쓴 늑대에게는 제대로 된 잣대를 적용해야 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상처를 주는 것은 매우 쉽다. 하지만 그 다친 상처를 치료하는 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알아야 된다. 그 중 마음의 병은 치료하는데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치료가 힘들수도 있다는 점 또한 꼭 알아야 하는 일이 아닐까.
한 광고에서 아이가 어른이 되는 순간은 아이를 지켜 주었을 때라는 카피에 나는 매우 공감한다. 못된 계모, 그 못된 계모의 말을 들어 주는 친부. 이런 사람은 동화 속 ‘헨젤과 그레텔’ 에서나 살고 있길 바라며 다시는 아동학대로 인해 전국민들이 더 이상 분노를 담은 피켓을 들고 일어설 일 없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 아동학대의 이해 조경자
아동학대 피해아동 지원 체계 구축방안 연구 김미숙
가정내 위기와 아동학대 - 편집부
허나 지금보다 더, 나중에는 나중 보다 더, 이런식으로 계속된 관심을 기울인다면 언젠가는 아동범죄가 100퍼센트 사라지는 날 오지 않을까 하고 좋게 생각하고 싶다.
진실이 아무리 추악하더라도 고개를 돌리진 말아야 할 것이다.
언제까지 이렇게 실망하고 한탄해야 되는가. 되먹지 못한 사회에 못되고 못난 어른들이 이렇게 많다는 것 또한 자라나고 있는 예쁜 아이들에게 힘이 되어주지는 못할망정 살인에 가까운 아동학대가 이렇게나 많다는게 너무나 비통할 뿐이다.
말도 안되는 계모 10년, 친부 3년. 그것도 아이의 사망을 적극적으로 의욕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말같지 않은 판결로 살인죄가 아닌 상해 치사죄로 말이다. 이런 판결이 어떻게 나올 수 있는건지.
어서 빨리 아동학대에 대한 구조적, 제정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더 이상 억울함에 눈물 흘리는 아이들이 없었으면 좋겠다.
자신이 낳고 기른 아이가 자신들 때문에 죽었다는 것에 대한 책임은커녕 입에 발린 거짓말만 늘어놓으며 자기변호하기 급급한 저런 인간의 탈을 쓴 늑대에게는 제대로 된 잣대를 적용해야 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상처를 주는 것은 매우 쉽다. 하지만 그 다친 상처를 치료하는 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알아야 된다. 그 중 마음의 병은 치료하는데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치료가 힘들수도 있다는 점 또한 꼭 알아야 하는 일이 아닐까.
한 광고에서 아이가 어른이 되는 순간은 아이를 지켜 주었을 때라는 카피에 나는 매우 공감한다. 못된 계모, 그 못된 계모의 말을 들어 주는 친부. 이런 사람은 동화 속 ‘헨젤과 그레텔’ 에서나 살고 있길 바라며 다시는 아동학대로 인해 전국민들이 더 이상 분노를 담은 피켓을 들고 일어설 일 없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친다.
참고문헌 : 아동학대의 이해 조경자
아동학대 피해아동 지원 체계 구축방안 연구 김미숙
가정내 위기와 아동학대 - 편집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