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시된 개혁이었으므로 법적인 절차들을 마련하여 개혁을 실시해 갔다는 것이다. 그래서 영국의 종교개혁은 일정의 신조나 운동이라기보다는 하나하나 로마와의 끈을 학적으로나 법적으로 끊어가는 작업이었다.
< 참고문헌 >
1. 단행본
Cross, Claire 『Church and People England 1450-1660』 Oxford: Blackwell, 1999.
Dickens, A.G. 『The English Reformation』Shocken: New York, 1969.
Doran, Susan and Durston, Christopher 『Princes, Pastors, and People: The Church and Religion in England, 1500-1700』London: Routledge, 2003.
Haigh, Christopher 『English Reformation: Religion, Politics, and Society under the Tudors』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Zahl, Paul F.M. 『The Protestant Face of Anglicanism』Grand Rapids: Wm. B. Ederdmans, 1998.
윌리스턴 워커, 『기독교회사 下』송인설 옮김,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94.
유스토 곤잘레스, 『종교개혁사』 서영일역, 서울: 은성, 1988.
이동섭, 『英國의 宗敎改革』서울: 수서원, 1990.
J, Guy 『옥스포드 영국사』ed., K.O. 모건, 홍한유·김민제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5.
칼 호이시, 『칼 호이시의 세계교회사』손규태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4.
K.S. 레토렛, 『기독교사(중)』윤두혁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0.
토니 레인, 『기독교 사상사』김응국 역, 서울: 나침반, 1987.
최철희, 『세계성공회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6.
2. 학위논문
이한식, “영국 신교도의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 1520-1563,”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오찬경, “英國의 宗敎改革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 정기간행물 및 논문
김흥수, “敎會와 國家 關係의 歷史的 類型,” 신학사상 59집 (1987) 819-836.
김성태, “敎會와 國家의 關係:敎會史的 側面에서” 사목 83집 (1982) 21-33.
< 참고문헌 >
1. 단행본
Cross, Claire 『Church and People England 1450-1660』 Oxford: Blackwell, 1999.
Dickens, A.G. 『The English Reformation』Shocken: New York, 1969.
Doran, Susan and Durston, Christopher 『Princes, Pastors, and People: The Church and Religion in England, 1500-1700』London: Routledge, 2003.
Haigh, Christopher 『English Reformation: Religion, Politics, and Society under the Tudors』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Zahl, Paul F.M. 『The Protestant Face of Anglicanism』Grand Rapids: Wm. B. Ederdmans, 1998.
윌리스턴 워커, 『기독교회사 下』송인설 옮김,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94.
유스토 곤잘레스, 『종교개혁사』 서영일역, 서울: 은성, 1988.
이동섭, 『英國의 宗敎改革』서울: 수서원, 1990.
J, Guy 『옥스포드 영국사』ed., K.O. 모건, 홍한유·김민제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5.
칼 호이시, 『칼 호이시의 세계교회사』손규태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4.
K.S. 레토렛, 『기독교사(중)』윤두혁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0.
토니 레인, 『기독교 사상사』김응국 역, 서울: 나침반, 1987.
최철희, 『세계성공회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6.
2. 학위논문
이한식, “영국 신교도의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 1520-1563,”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오찬경, “英國의 宗敎改革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 정기간행물 및 논문
김흥수, “敎會와 國家 關係의 歷史的 類型,” 신학사상 59집 (1987) 819-836.
김성태, “敎會와 國家의 關係:敎會史的 側面에서” 사목 83집 (1982) 21-3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