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인간은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지닌 행성을 탐사하는데 혈안이 된다. 이것은 ‘지구가 멸망하게 되면 다른 행성으로 가면 된다.’란 생각을 뒷받침 해주는 행위가 아닐까? 수많은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지구를 위한 기술, 즉 환경을 위한 발전은 미약하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내면에 지구는 일회성이라는 생각이 잠재되어 있는지도 모른다. 지구는 우리가 편리하게 마구잡이로 써도 상관없다는 생각, 그런 생각이 뿌리 깊게 박혀있을 것이다.
그런 생각은 기후의 이상증상이 일어나도 자기들만 살 수 있으면 된다는 이기적인 마음, 그런 마음으로 인해 지구는 지금 인간들에게 벌을 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푸른 하늘과, 꽃, 바다, 동물들을 몇 십 년 후면 지구상에서 볼 수 없게 될 지도 모른다.
어떤 영화에서는 사람들이 화성에 살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산소가 없어 커다란 돔을 만들어 그 안에서만 생활하고 밖에는 모래밖에 보이지 않는, 끔찍한 상황을 보여주었다. 어쩌면 먼 훗날 우리가 그 곳에서 살게 될 지도 모른다. 인간들은 지구를 무한한 자원이 있는 수단으로 생각해선 안 되며 지구의 주인이라는 생각 또한 버려야 할 것이다.
책에 나온 문제 중 경제와 환경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한다는 생각은 한 가지 오류가 있다. 경제는 자원의 희소성을 바탕으로 성장과 후퇴가 결정된다. 하지만 희소성을 지닌 모든 자원은 환경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이므로 환경을 지키면 경제도 성장하는 win-win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오해하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이 오류를 올바르게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그런 생각은 기후의 이상증상이 일어나도 자기들만 살 수 있으면 된다는 이기적인 마음, 그런 마음으로 인해 지구는 지금 인간들에게 벌을 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푸른 하늘과, 꽃, 바다, 동물들을 몇 십 년 후면 지구상에서 볼 수 없게 될 지도 모른다.
어떤 영화에서는 사람들이 화성에 살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산소가 없어 커다란 돔을 만들어 그 안에서만 생활하고 밖에는 모래밖에 보이지 않는, 끔찍한 상황을 보여주었다. 어쩌면 먼 훗날 우리가 그 곳에서 살게 될 지도 모른다. 인간들은 지구를 무한한 자원이 있는 수단으로 생각해선 안 되며 지구의 주인이라는 생각 또한 버려야 할 것이다.
책에 나온 문제 중 경제와 환경 중 한 가지를 선택해야한다는 생각은 한 가지 오류가 있다. 경제는 자원의 희소성을 바탕으로 성장과 후퇴가 결정된다. 하지만 희소성을 지닌 모든 자원은 환경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이므로 환경을 지키면 경제도 성장하는 win-win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오해하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이 오류를 올바르게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