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범불안장애
1. 정의
2. 증상
3. 치료 및 예후
4. 범불안장애의 사례
II. 공황장애
1. 증상 및 진단
2. 원인 및 경과
3. 치료
4. 공황장애의 사례
III. 강박장애
1. 정의
2. 원인과 증상
3. 치료 및 예후
4. 강박장애의 사례
IV. 공포장애(사회공포증)
1. 정의
2. 증상 및 경과양상
3. 치료
4. 공포장애의 사례
* 참고문헌
1. 정의
2. 증상
3. 치료 및 예후
4. 범불안장애의 사례
II. 공황장애
1. 증상 및 진단
2. 원인 및 경과
3. 치료
4. 공황장애의 사례
III. 강박장애
1. 정의
2. 원인과 증상
3. 치료 및 예후
4. 강박장애의 사례
IV. 공포장애(사회공포증)
1. 정의
2. 증상 및 경과양상
3. 치료
4. 공포장애의 사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치료방법이 있으며, 증상을 일찍 발견하고 치료를 하면 좋다.
(4) 사례
A부인은 결혼을 한 30세의 초등학교 교사이다. 그런데 학생들의 성적 기록카드를 반복해서 점철하고, 운전한 길을 다시 돌아가 보고, 자신의 부모에게 끊획한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고 끊임없이 생각하고,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 지나치게 염려하고, 그리고 혼자 식료품점에서 물건 사는 일에 어려움을 겪은 지 5년이 되었다. A부인은 고등학교 때 처음으로 자기의 행동들을 점검하기 시작하였다. 밖으로 나가기 전에는 전기난로를 껐는지, 헤어아이론을 껐는지를 반복해서 체크하였다. 이렇게 점검하고 또 점검하는 습관은 대학교에 진학하면서 더욱 심해지게 되었다. 지난 5년간 증상은 더욱 나빠졌고, 하루 중 3-4시간은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
IV. 공포장애(사회공포증, social phobia)
(1) 정의
사회공포증(social phobia)은 사회불안장애로 알려진 것인데, 사람 대하기를 두려워하는 증상을 말하며, 이는 어떤 특정한 사회적 상황이나 활동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유발되는 심각한 불안이 특징이고 이러한 증상은 회피행동을 유도하게 된다. 이 증상은 피해의식 때문에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증상이 있다고 믿고(예를 들면, 얼굴 붉어짐, 표정의 딱딱함, 시선의 이상함), 그것을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이 증상은 대인상황에서 반드시 발생하며. 혼자 있을 때는 아무런 증상 없이 편안하다.
(2) 증상 및 경과양상
발병연령은 10대 중반이고, 사회적 억제나 수줍음과 같은 아동기의 과거력과 관련이 있다. 발병은 심한 긴장이나 치욕스러운 경험으로 인해 갑자기 시작될 수도 있고, 또 서서히 시작될 수도 있다.
장애의 경과는 흔히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즉, 증상이 성인기에 약화되거나 완화되기도 하지만 그 기간은 보통 일생 동안 지속된다. 대인상황에서 얼굴이 붉어질까 불안해하거나 자신의 시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여 다른 사람들을 기피하는 것, 연단공포, 쓰기공포, 회식공포, 자기취 공포, 이성공포 등이 있다.
(3) 치료
약물치료가 도움이 되나 집단치료, 인지행동치료, 노출치료, 사회기술훈련,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수행을 통한 수행치료, 체계적 둔감화 등이 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사례
R양은 34세의 미혼여성으로 3개월 전에 일어난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 적응을 못해왔기 때문에 평가를 받으러 온 경우였다. 아버지는 20년 전에 죽었고, 그래서 어머니와 함께 살아왔다. 모녀관계는 매우 가까웠다. R양은 매우 수줍음을 잘 탔고, 사회관계에서 거슬리거나, 조롱받거나, 또는 당황스러워하는 사람으로 비쳐지고, 또 그렇게 평가받는 것에 대해 매우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R양은 어머니에게 많이 의지하였고, 또 어머니가 R양을 도와주었다. R양은 데이트를 하지 않았고, 자기의 수줍음 때문에 모임이나 어머니의 친구가 소개해준 미팅에도 대개는 나가지 않았다. 그래서 남자친구와 낭만적인 관계를 가져본 적이 없었다. R양은 초등학교 때부터 사귀어온 매우 가까운 한 친구를 제외하고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7
성인의 건강관리 / 임완지 저, 광림북하우스, 2016
웰니스 건강관리 / 조현철 박상규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4
(4) 사례
A부인은 결혼을 한 30세의 초등학교 교사이다. 그런데 학생들의 성적 기록카드를 반복해서 점철하고, 운전한 길을 다시 돌아가 보고, 자신의 부모에게 끊획한 일이 생기지 않을까 하고 끊임없이 생각하고,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 지나치게 염려하고, 그리고 혼자 식료품점에서 물건 사는 일에 어려움을 겪은 지 5년이 되었다. A부인은 고등학교 때 처음으로 자기의 행동들을 점검하기 시작하였다. 밖으로 나가기 전에는 전기난로를 껐는지, 헤어아이론을 껐는지를 반복해서 체크하였다. 이렇게 점검하고 또 점검하는 습관은 대학교에 진학하면서 더욱 심해지게 되었다. 지난 5년간 증상은 더욱 나빠졌고, 하루 중 3-4시간은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
IV. 공포장애(사회공포증, social phobia)
(1) 정의
사회공포증(social phobia)은 사회불안장애로 알려진 것인데, 사람 대하기를 두려워하는 증상을 말하며, 이는 어떤 특정한 사회적 상황이나 활동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유발되는 심각한 불안이 특징이고 이러한 증상은 회피행동을 유도하게 된다. 이 증상은 피해의식 때문에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증상이 있다고 믿고(예를 들면, 얼굴 붉어짐, 표정의 딱딱함, 시선의 이상함), 그것을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두려워한다.
이 증상은 대인상황에서 반드시 발생하며. 혼자 있을 때는 아무런 증상 없이 편안하다.
(2) 증상 및 경과양상
발병연령은 10대 중반이고, 사회적 억제나 수줍음과 같은 아동기의 과거력과 관련이 있다. 발병은 심한 긴장이나 치욕스러운 경험으로 인해 갑자기 시작될 수도 있고, 또 서서히 시작될 수도 있다.
장애의 경과는 흔히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즉, 증상이 성인기에 약화되거나 완화되기도 하지만 그 기간은 보통 일생 동안 지속된다. 대인상황에서 얼굴이 붉어질까 불안해하거나 자신의 시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여 다른 사람들을 기피하는 것, 연단공포, 쓰기공포, 회식공포, 자기취 공포, 이성공포 등이 있다.
(3) 치료
약물치료가 도움이 되나 집단치료, 인지행동치료, 노출치료, 사회기술훈련, 합리적-정서적 행동치료, 수행을 통한 수행치료, 체계적 둔감화 등이 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사례
R양은 34세의 미혼여성으로 3개월 전에 일어난 어머니의 죽음에 대해 적응을 못해왔기 때문에 평가를 받으러 온 경우였다. 아버지는 20년 전에 죽었고, 그래서 어머니와 함께 살아왔다. 모녀관계는 매우 가까웠다. R양은 매우 수줍음을 잘 탔고, 사회관계에서 거슬리거나, 조롱받거나, 또는 당황스러워하는 사람으로 비쳐지고, 또 그렇게 평가받는 것에 대해 매우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R양은 어머니에게 많이 의지하였고, 또 어머니가 R양을 도와주었다. R양은 데이트를 하지 않았고, 자기의 수줍음 때문에 모임이나 어머니의 친구가 소개해준 미팅에도 대개는 나가지 않았다. 그래서 남자친구와 낭만적인 관계를 가져본 적이 없었다. R양은 초등학교 때부터 사귀어온 매우 가까운 한 친구를 제외하고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7
성인의 건강관리 / 임완지 저, 광림북하우스, 2016
웰니스 건강관리 / 조현철 박상규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