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기 인지발달
I.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
1. 보존개념
2. 분류
3. 서열
II. 정보처리 접근이론
1. 정보처리 능력의 획득
2. 인지적 억제의 획득
III. 개인차에 관한 지능
1. 지능의 정의
1) 추상적인 사고능력
2) 학습능력
3) 적응력
4) 지능검사가 측정한 결과
5) 종합적, 전체적 능력
2. 지능이론
1) 스피어맨의 2요인설
2) 서스톤의 다요인설
3) 길포드의 지능구조 입체모형설
4) 카텔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5) 스턴버그의 삼위일체이론(삼원이론)
6)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 참고문헌
I.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
1. 보존개념
2. 분류
3. 서열
II. 정보처리 접근이론
1. 정보처리 능력의 획득
2. 인지적 억제의 획득
III. 개인차에 관한 지능
1. 지능의 정의
1) 추상적인 사고능력
2) 학습능력
3) 적응력
4) 지능검사가 측정한 결과
5) 종합적, 전체적 능력
2. 지능이론
1) 스피어맨의 2요인설
2) 서스톤의 다요인설
3) 길포드의 지능구조 입체모형설
4) 카텔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5) 스턴버그의 삼위일체이론(삼원이론)
6)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3) 길포드(Guilford)의 지능구조 입체모형설
길포드는 지적 요인을 기억력과 사고력으로 분류하고, 사고력을 다시 인지적 능력과 생산적 능력, 평가적 능력으로 분류했으며, 생산적 능력은 다시 수렴적 사고와 발산적 사고로 분류했다.
길포드는 이와 같은 다섯 개의 지능요인의 구조를 입체화시켜 분류하기 위해 지능구조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입방체로 제안했다. 이 모형에서는 지능의 3차원을 제시하고 있다. 길포드의 SOI(Structure of Intellect: SOI) 이론에 의한 지능이 120개의 독립적인 요인들로 구성된다는 초기의 제안은 나중에 150개로 수정되었다가 1988년에 다시 180개의 요인으로 확장되었다.
4) 카텔(Cattell)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카텔은 지능에 관해 두 개의 일반요인인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을 추출해 줬다. 유동적 지능은 유전적, 신경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되는 지능으로, 뇌와 중추신경계의 성숙에 비례하여 발달한다. 따라서 유동적 지능의 발달은 청년기까지는 증가하나 생리적 발달이 쇠퇴하는 성인기 이후에는 점차 쇠퇴한다. 유동적 지능은 속도, 기계적 암기, 지각력, 일반적 추리력에서 잘 나타나고, 결정적 지능은 환경적, 경험적, 문화적 영향을 받아 발달하는 지능이다. 결정적 지능의 발달은 가정환경, 교육정도, 직업 등의 영향을 받는다.
5) 스턴버그(Sternberg)의 삼위일체이론(삼원이론)
스턴버그는 전통적인 지능의 개념에 실제적 지능의 개념을 포괄하는 삼위일체이론으로 지능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 그는 지능을 구성적, 경험적, 맥락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구성적 부분은 개인의 내적 세계와 관련되며 지능작용에서 가장중심적인 기능을 한다. 경험적 부분은 지능의 구성이 인간의 경험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어, 인지활동을 위한 지능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맥락적 부분은 외적 세계에 대처하여 적응할 수 있는 기능으로 현실상황에의 적응력을 강조한다.
6) 가드너(Gardner)의 아중지능이론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은 지능의 구조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과는 달리 상관계수와 요인분석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두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개인이 속한 문화의 시각에서 지적 능력을 분석하여 이론화하였다.
가드너가 제시하는 9개의 지능은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음악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 내 지능, 자연탐구 지능, 실존지능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3) 길포드(Guilford)의 지능구조 입체모형설
길포드는 지적 요인을 기억력과 사고력으로 분류하고, 사고력을 다시 인지적 능력과 생산적 능력, 평가적 능력으로 분류했으며, 생산적 능력은 다시 수렴적 사고와 발산적 사고로 분류했다.
길포드는 이와 같은 다섯 개의 지능요인의 구조를 입체화시켜 분류하기 위해 지능구조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입방체로 제안했다. 이 모형에서는 지능의 3차원을 제시하고 있다. 길포드의 SOI(Structure of Intellect: SOI) 이론에 의한 지능이 120개의 독립적인 요인들로 구성된다는 초기의 제안은 나중에 150개로 수정되었다가 1988년에 다시 180개의 요인으로 확장되었다.
4) 카텔(Cattell)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카텔은 지능에 관해 두 개의 일반요인인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을 추출해 줬다. 유동적 지능은 유전적, 신경생리적 영향에 의해 발달되는 지능으로, 뇌와 중추신경계의 성숙에 비례하여 발달한다. 따라서 유동적 지능의 발달은 청년기까지는 증가하나 생리적 발달이 쇠퇴하는 성인기 이후에는 점차 쇠퇴한다. 유동적 지능은 속도, 기계적 암기, 지각력, 일반적 추리력에서 잘 나타나고, 결정적 지능은 환경적, 경험적, 문화적 영향을 받아 발달하는 지능이다. 결정적 지능의 발달은 가정환경, 교육정도, 직업 등의 영향을 받는다.
5) 스턴버그(Sternberg)의 삼위일체이론(삼원이론)
스턴버그는 전통적인 지능의 개념에 실제적 지능의 개념을 포괄하는 삼위일체이론으로 지능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 그는 지능을 구성적, 경험적, 맥락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구성적 부분은 개인의 내적 세계와 관련되며 지능작용에서 가장중심적인 기능을 한다. 경험적 부분은 지능의 구성이 인간의 경험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어, 인지활동을 위한 지능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맥락적 부분은 외적 세계에 대처하여 적응할 수 있는 기능으로 현실상황에의 적응력을 강조한다.
6) 가드너(Gardner)의 아중지능이론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은 지능의 구조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과는 달리 상관계수와 요인분석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두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개인이 속한 문화의 시각에서 지적 능력을 분석하여 이론화하였다.
가드너가 제시하는 9개의 지능은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음악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 내 지능, 자연탐구 지능, 실존지능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비교분석
유아의 인지발달과 아동기의 인지발달에 대해 비교하여 작성해 주세요.
인지발달이론의 기본개념, 발달적 단계의 특성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작성해 주세요.
발달이론을 참고하여 나의 아동기 사례 조사
인간과교육 3공통)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한 고찰과 교육적 시사점
유아발달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특성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고 전...
[인간과교육 공통]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유아발달4B] 인지발달이론에서 피아제 이론과 비고츠키 이론을 각각 설명, 각 이론을 교육실...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