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장하면서 탐닉형 인간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사회변동으로 불리는 정보화는 우리나라에도 컴퓨터 문맹 혹은 전맹인 중년세대에게 당혹감과 위기의식을 안겨주고 있다. 농업사회에서 출생, GNP의 양적 팽창을 추구하는 공업화 과정에 적응하느라 젊은 시절을 보낸 우리나라의 40~50대는 어느 정도의 부와 안정을 이루고 난 뒤, 또다시 새로운 시련과 적응과정을 거쳐야 하게 됐다. 이들은 후세대로의 숙제로만 여겨졌던 정보화 사회가 의외로 급속하게 다가오자 문맹을 탈피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의식적으로 컴퓨터를 기피하거나 두려워하는 컴퓨터 공포증을 가진 경우가 많다.
5. 느낀점
지금도 인터넷 뿐만 아니라 여러 매체들로부터 수 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많은 정보 중에서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정보는 몇이나 될까? 그 많은 정보들이 모두 우리에게 유익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아니, 유익한 것이 그렇지 못한 것보다 많다고 할 수 있을까? 정보의 홍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순기능보다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는 역기능으로 보다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굳이 미래학자나 사회과학도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러한 질문에 쉽게 긍정적인 대답을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있다. 그런 측면에서 정보화는 양날의 칼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약이 될 수도 있는 반면, 잘못 사용하면 치명적인 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다 발전적인 정보화 사회의 도래를 위해 우리가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물론 거기에는 복잡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적 대안이 필요하겠지만, 나는 우선 우리가 우리의 이웃을 먼저 생각할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일어나는 부정적인 행위는 대부분 개인의 이기를 위하여 그것이 사용되었기에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논리는 모든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문명이 발달함에따라 이제 개인의 이기는 개인 자신과 몇몇 사람들에게 끼치는 피해를 넘어 사회와 인류전체의 피해로 확산될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 문제다. 따라서 - 역설적인 것 같지만 - 문명이 발달하고 정보화 시대(탈산업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우리는 따뜻한 마음을 갖는 일에 보다 주목해야만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지식의 바다에서 헤엄치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동연
미래사회학. 배규환. 사회비평사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사회변동으로 불리는 정보화는 우리나라에도 컴퓨터 문맹 혹은 전맹인 중년세대에게 당혹감과 위기의식을 안겨주고 있다. 농업사회에서 출생, GNP의 양적 팽창을 추구하는 공업화 과정에 적응하느라 젊은 시절을 보낸 우리나라의 40~50대는 어느 정도의 부와 안정을 이루고 난 뒤, 또다시 새로운 시련과 적응과정을 거쳐야 하게 됐다. 이들은 후세대로의 숙제로만 여겨졌던 정보화 사회가 의외로 급속하게 다가오자 문맹을 탈피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의식적으로 컴퓨터를 기피하거나 두려워하는 컴퓨터 공포증을 가진 경우가 많다.
5. 느낀점
지금도 인터넷 뿐만 아니라 여러 매체들로부터 수 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많은 정보 중에서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정보는 몇이나 될까? 그 많은 정보들이 모두 우리에게 유익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아니, 유익한 것이 그렇지 못한 것보다 많다고 할 수 있을까? 정보의 홍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순기능보다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는 역기능으로 보다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굳이 미래학자나 사회과학도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러한 질문에 쉽게 긍정적인 대답을 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있다. 그런 측면에서 정보화는 양날의 칼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약이 될 수도 있는 반면, 잘못 사용하면 치명적인 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다 발전적인 정보화 사회의 도래를 위해 우리가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물론 거기에는 복잡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적 대안이 필요하겠지만, 나는 우선 우리가 우리의 이웃을 먼저 생각할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일어나는 부정적인 행위는 대부분 개인의 이기를 위하여 그것이 사용되었기에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논리는 모든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문명이 발달함에따라 이제 개인의 이기는 개인 자신과 몇몇 사람들에게 끼치는 피해를 넘어 사회와 인류전체의 피해로 확산될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 문제다. 따라서 - 역설적인 것 같지만 - 문명이 발달하고 정보화 시대(탈산업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우리는 따뜻한 마음을 갖는 일에 보다 주목해야만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지식의 바다에서 헤엄치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동연
미래사회학. 배규환. 사회비평사
추천자료
멀티미디어와 미래목회
정보화사회와 정보윤리-컴퓨터범죄를 중심으로
청년실업
[정보][정보화][정보사회][정보화사회]정보의 의미, 정보화의 사회적 의미, 정보와 정보화 담...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도래와 사회변화, 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정...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전략][정보화정책]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개념, 정보화사회(...
정보화 사회와 정보윤리 사례 연구 - 재산권 침해, 정보절도, 사생활 침해, 컴퓨터 범죄 자금...
[A+] 법의 이념과 효력 합목적성 법적 안정성 법 이념의 상호관계 법의 실질적효력 법의...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