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룹홈보호의 장점
2) 그룹홈보호의 단점과 문제점
3) 출처 및 참고문헌
2) 그룹홈보호의 단점과 문제점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특성상 지역사회의 비행요소들과의 접촉이 쉬워 의도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그룹 홈은 아직 개발이 더딘 형태의 아동보호 방식이다. 우리나라의 그룹 홈 보호 발달배경을 살펴보면 제도화와 체계화가 먼저 이루어진 선진국가의 달리 개인적이고 비공식적인 형태를 바탕으로 발전하여 선행된 연구와 개발이 아직 미비하다. 또한 이에 따른 지원체계나 교육, 전문성 등이 부족하여 그룹 홈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수도 매우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사회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 또한 큰 단점이자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도움이 필요한 아동에 대한 대리 보호로서의 인식이 아닌 비행 청소년들의 아지트와 같이 인식되는 것은 우리 사회의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 또 하나의 상처를 주는 모양새가 될 것이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이배근(2000). 『해체가정과 요보호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 모형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제9호. 293-294.P
김광수(2007). 『아동 그룹홈 실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177-181.P
이옥분(2003). 아동복지 시설내 그룹 홈의 활성화 방안.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53.P
한국 사회에서 그룹 홈은 아직 개발이 더딘 형태의 아동보호 방식이다. 우리나라의 그룹 홈 보호 발달배경을 살펴보면 제도화와 체계화가 먼저 이루어진 선진국가의 달리 개인적이고 비공식적인 형태를 바탕으로 발전하여 선행된 연구와 개발이 아직 미비하다. 또한 이에 따른 지원체계나 교육, 전문성 등이 부족하여 그룹 홈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수도 매우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사회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 또한 큰 단점이자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도움이 필요한 아동에 대한 대리 보호로서의 인식이 아닌 비행 청소년들의 아지트와 같이 인식되는 것은 우리 사회의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 또 하나의 상처를 주는 모양새가 될 것이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이배근(2000). 『해체가정과 요보호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 모형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제9호. 293-294.P
김광수(2007). 『아동 그룹홈 실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177-181.P
이옥분(2003). 아동복지 시설내 그룹 홈의 활성화 방안.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53.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