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성년자 성매매조사에 적합한 표본추출과 장단점
2) 눈덩이표집방법을 사용한 연구 사례
3) 출처 및 참고문헌
2) 눈덩이표집방법을 사용한 연구 사례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추출 시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있는 4곳의 쉼터, 중학교, 실업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 년에 3-4회 정도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사람을 소개받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지속적인 면담을 통해 이들의 삶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대상자의 구체적인 생활환경과의 상호작용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 번째 표본은 8명을 시작으로 하였으며 연구 주제의 특성상 청소년 성매매에 대한 비판적인 탐색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선택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모집한 표본 집단은 모두 성매매 경험이 있는 여자 청소년이었고 가족력의 특징이 매우 비슷했다. 또한 고등학교를 자퇴하거나 고등학교도 가지 않은 학생도 일부 있었고, 재학 중인 학생도 있었다. 이처럼 눈덩이 표집을 통해 표본을 추출한 연구의 경우 그 수가 매우 적고 일정하지 않으나 심도있는 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민가영(2009). 『청소년 성매매 행위의 ‘자발성’과 그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한 성매매 청소년의 자발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청소년연구 제52호. 176-178.P
김태성(2014).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148-153.P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모집한 표본 집단은 모두 성매매 경험이 있는 여자 청소년이었고 가족력의 특징이 매우 비슷했다. 또한 고등학교를 자퇴하거나 고등학교도 가지 않은 학생도 일부 있었고, 재학 중인 학생도 있었다. 이처럼 눈덩이 표집을 통해 표본을 추출한 연구의 경우 그 수가 매우 적고 일정하지 않으나 심도있는 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민가영(2009). 『청소년 성매매 행위의 ‘자발성’과 그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한 성매매 청소년의 자발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청소년연구 제52호. 176-178.P
김태성(2014).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148-153.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