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영화내용
Ⅱ. 해리성 장애(dissociative disorders)란?
Ⅲ. 감상내용
Ⅱ. 해리성 장애(dissociative disorders)란?
Ⅲ. 감상내용
본문내용
흡입한다는데 증세라 부르지 않을 이유가 있는 것이다.일단 다중인격장애에 대한 미국현지에서의 범죄분석학자들의 견해를 알아보는 것이 영화에 대한 이해를 하는 측면에서 좋을 것 같다.다중인격장애라는 말은 이제 미국에선 쓰이지 않고, 대신 해리성 정체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990년대에 바뀌었다고, 해리란 말은 정신의 분리를 뜻한다. 어릴때 겪었던 정신적 혹은 신체적 장애때문에 자아가 또 다른 자아를 만들어 자신의 고통을 떠넘겨 버리는 것이다. 이것은 테러리스트에게 공격당하거나 세뇌당하거나 할때도 비슷한 증세를 보이는데 이것을 해리상태라고도 한다. 따라서 미국에선 범죄심리학적으로 해리성 정체장애는 대부분 정신장애로 보호를 받을 수 없다고 한다. 제가 보기에 감독이나 원작자는 자신의 범죄적 성향때문에 범죄가 발생되는 것이지 다중인격으로 만들어낸 자아는 결코 범죄자가 아니라는 것을 말하려는 것 같다.
비록 레포트를 하기 위해 아이덴티티라는 영화를 보게 되었지만 보통 재미로만 보는 영화와는 달리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었고 알지 못했던 것을 알게 해주는 아주 훌륭한 영화라고 생각했다. 해리성장애라는 다중인격에 대해서도 좀 더 알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비록 레포트를 하기 위해 아이덴티티라는 영화를 보게 되었지만 보통 재미로만 보는 영화와는 달리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었고 알지 못했던 것을 알게 해주는 아주 훌륭한 영화라고 생각했다. 해리성장애라는 다중인격에 대해서도 좀 더 알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