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재한 선교사 연합 공의회’의 결성과 그 사업
3. ‘하나의 교회’ - 同床異夢
4. ‘선교지 분할’을 통한 에큐메니즘 실현
5. 나가며
2. ‘재한 선교사 연합 공의회’의 결성과 그 사업
3. ‘하나의 교회’ - 同床異夢
4. ‘선교지 분할’을 통한 에큐메니즘 실현
5. 나가며
본문내용
땅에 하나의 교회를 설립하겠다는 이상에서 출발한 ‘재한 복음주의 선교사 공의회’는 1915년에 이르면서 모든 교단이 참석하는 강력한 기구로서 자리를 매김하였다. Chs. H. Pratt, “The Federal Council,” KMF, vol. XI, no. 11 (1915. 11), 308.
명실상부, 한국 에큐메니컬 운동의 효시이자 강력한 연합 운동의 원동력이었던 것이다. 비록 하나의 교회를 설립하겠다는 일치운동은 실패로 끝났지만, 일치가 아닌 차이의 인정에서 시작되는 연합 운동은 성공적이었다. 한국의 에큐메니컬 운동이 선교지를 ‘분할’하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은 주목해야 할 점이다. 결국 서로를 구분하고 서로의 자리를 보장해 줄 때, 진정한 연합과 화합이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인 것이다.
또한 한국 에큐메니컬 운동은 일본과 중국의 연합 공의회와 교류하며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대표자를 파견하면서 국가 간의 에큐메니컬 운동도 이끌었다. 1913년 릴리아스 언더우드는 중국의 ‘재중 선교사 연합 협의회’의 결의사항을 소개하며 한국의 연합운동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즉, “선교사역에서 가능한 한 최대한의 방법을 동원하여 서로를 지지하며,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라는 단일한 목표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경주한다”는 것이다. L. H. Underwood, “A Prayer for Unity,” 25.
결국 이것이 당시 선교 현장에서 선교사들이 지지한 에큐메니컬 운동의 목표이자 방법이었다. 가장 효율적인 선교를 위한 방법론. 이것이 선교 에큐메니즘을 발현한 동기이자 원동력이었다.
명실상부, 한국 에큐메니컬 운동의 효시이자 강력한 연합 운동의 원동력이었던 것이다. 비록 하나의 교회를 설립하겠다는 일치운동은 실패로 끝났지만, 일치가 아닌 차이의 인정에서 시작되는 연합 운동은 성공적이었다. 한국의 에큐메니컬 운동이 선교지를 ‘분할’하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은 주목해야 할 점이다. 결국 서로를 구분하고 서로의 자리를 보장해 줄 때, 진정한 연합과 화합이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인 것이다.
또한 한국 에큐메니컬 운동은 일본과 중국의 연합 공의회와 교류하며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대표자를 파견하면서 국가 간의 에큐메니컬 운동도 이끌었다. 1913년 릴리아스 언더우드는 중국의 ‘재중 선교사 연합 협의회’의 결의사항을 소개하며 한국의 연합운동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즉, “선교사역에서 가능한 한 최대한의 방법을 동원하여 서로를 지지하며,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라는 단일한 목표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경주한다”는 것이다. L. H. Underwood, “A Prayer for Unity,” 25.
결국 이것이 당시 선교 현장에서 선교사들이 지지한 에큐메니컬 운동의 목표이자 방법이었다. 가장 효율적인 선교를 위한 방법론. 이것이 선교 에큐메니즘을 발현한 동기이자 원동력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