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유아발달의 연구방법
I. 영유아발달 연구의 목적
1. 기술
2. 설명
3. 예측과 통제
4. 응용
II. 자료수집방법
1. 관찰법
2. 질문지법과 면접법
3. 검사법
III. 연구설계
1. 사례연구
2. 상관연구
3. 실험연구
IV. 영유아발달 연구의 접근방법
1. 종단적 접근방법
2. 횡단적 접근방법
3. 단기 종단적 접근방법
V. 영유아발달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 참고문헌
I. 영유아발달 연구의 목적
1. 기술
2. 설명
3. 예측과 통제
4. 응용
II. 자료수집방법
1. 관찰법
2. 질문지법과 면접법
3. 검사법
III. 연구설계
1. 사례연구
2. 상관연구
3. 실험연구
IV. 영유아발달 연구의 접근방법
1. 종단적 접근방법
2. 횡단적 접근방법
3. 단기 종단적 접근방법
V. 영유아발달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서 이는 진리를 추구할 수 있는 선택을 윤리적인 한계 내에 두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단계마다 잠재적인 윤리적인 문제에 직면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현명하게 극복하는 것도 연구자의 역할 중 하나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이 표절이나 거짓 보고, 타인의 연구 도용 등 불미스러운 일들을 자행하고 있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윤리적인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나치에 의해 행해진 비윤리적인체실험이 밝혀지면서부터 이고(한국아동권리학회 편, 2005, P. 28), 연구에서의 윤리적인 문제가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중반부터라고 할 수 있다(이은해, 이미리, 박소연, 2006, P. 35). 그리하여 1949년 인간을 실험연구 대상으로 이용할 때 지켜야 할 윤리규정을 밝힌 뉘른베르크 코드(Nuremberg code)가 제정되었으며, 1964년 의학연구에서의 연구대상 보호를 위한 헬싱키 선연(Declaration of Helsinki)이 채택되었다. 이후 인간 존중과 연구대상자 이익의 극대화 노력, 연구 관련 이익과 위험의 공정성을 핵심내용으로 한 연구자의 윤리강령인 벨몬트 리포트(Belmont report, 1979)가 발표되었으며 1991년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의학회(The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edical Sciences)가 공동으로 인간을 포함하여 생의학(biomedicine) 연구를 위한 세계윤리지침을 제정하여 공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연구윤리와 관련하여 국가 차원에서 교육인적자원부(2007. 4. 26)가 연구윤리확립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연구자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지침서인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권고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영유아발달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할 때와 다른 측면에서의 윤리적인 문제들이 있다. 성인과 달리 영유아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연구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자신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연구에 따라 심리적인 영향을 받기도 쉽다. 헐리와 언더우드(Hurley & Underwood, 2002), 런얀(Runyan, 2000)은 아동이 12세 정도가 되어야 연구를 대략적으로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 참여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연령이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할 경우에 연구자들은 윤리적인 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 포스터(Foster, 1995)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세 가지 윤리적인 문제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세 가지 질문은 첫째, 연구가 중요한 문제를 묻고,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는가? 둘째, 연구과정에서 연구대상아동들에게 일어날수 있는 위험의 정도는 허용할 만한 수준인가? 셋째, 연구대상 아동들의 자블성은 그들의 동의를 얻음으로써 존중되고 있는가? 이다(한국아동권리학회 편, 2005, P. 22). 이러한 점들에 대해 미국의 아동발달연구회(Socie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RCD)(2000)는 아동연구를 위한 16개 윤리기준을 제시하였다. 16개의 윤리기준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에게 신체적, 심리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는 연구 절차를 사용해서는 안 되고, 연구 진행 도중 아동의 복지가 위협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부모나 보호자, 현장의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둘째, 아동에게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기 전에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측면을 알려 주어야 하고 연구도중 언제나 그만둘 수 있는 선택의 자유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 또한 아동 자신뿐만 아니라 부모, 법적 보호자나 대리인 혹은 연구도중 상호작용하게 되는 교사 등으로부터도 연구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고, 각자의 책임한계에 대해서도 분명한 동의가 있어야 한다. 동의와 관련하여 디너와 크랜달(Diener & Crandall, 1978)은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듣고 난 후에 연구에 참여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과정을 '정보에 입각한 동의(informed consent)'라는 말로 표현한 바 있다.
셋째, 연구 참여에 대해 공평한 보상을 해 주어야 하나 과다하게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정보의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연구 참여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 연구자는 허가받은 목적 이외의 정보사용은 금해야 하고, 연구 종료 후 연구 참여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연구결과에 대해 알려 주어야 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보고할 때에도 연구 참여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고 사회적, 정치적, 인간적 함의에 대해 충분히 이해함으로써 결과제시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연구자의 위법행위, 즉 자료의 누락, 잘못된 분석, 표절, 왜곡된 제시 등에 대해 SRCD가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위법이라고 밝혀진 회원에 대해서는 제명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연구윤리가 제대로 확립되었을 때 비로소 연구의 진실성이 확보된다. 진실성이 결여된 연구를 통해서는 진리에 도달할 수 없고, 인류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없다. 진리를 추구하는 연구자들은 누구보다도 객관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하며 스스로 연구윤리를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 윤리적인 딜레마가 생기면 다른 연구자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도 연구자로서의 바른 자세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연구자는 연구 단계마다 잠재적인 윤리적인 문제에 직면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현명하게 극복하는 것도 연구자의 역할 중 하나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이 표절이나 거짓 보고, 타인의 연구 도용 등 불미스러운 일들을 자행하고 있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윤리적인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나치에 의해 행해진 비윤리적인체실험이 밝혀지면서부터 이고(한국아동권리학회 편, 2005, P. 28), 연구에서의 윤리적인 문제가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중반부터라고 할 수 있다(이은해, 이미리, 박소연, 2006, P. 35). 그리하여 1949년 인간을 실험연구 대상으로 이용할 때 지켜야 할 윤리규정을 밝힌 뉘른베르크 코드(Nuremberg code)가 제정되었으며, 1964년 의학연구에서의 연구대상 보호를 위한 헬싱키 선연(Declaration of Helsinki)이 채택되었다. 이후 인간 존중과 연구대상자 이익의 극대화 노력, 연구 관련 이익과 위험의 공정성을 핵심내용으로 한 연구자의 윤리강령인 벨몬트 리포트(Belmont report, 1979)가 발표되었으며 1991년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의학회(The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Medical Sciences)가 공동으로 인간을 포함하여 생의학(biomedicine) 연구를 위한 세계윤리지침을 제정하여 공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연구윤리와 관련하여 국가 차원에서 교육인적자원부(2007. 4. 26)가 연구윤리확립추진위원회를 만들어 연구자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지침서인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권고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영유아발달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할 때와 다른 측면에서의 윤리적인 문제들이 있다. 성인과 달리 영유아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연구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자신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연구에 따라 심리적인 영향을 받기도 쉽다. 헐리와 언더우드(Hurley & Underwood, 2002), 런얀(Runyan, 2000)은 아동이 12세 정도가 되어야 연구를 대략적으로 이해하고 스스로 연구 참여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연령이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할 경우에 연구자들은 윤리적인 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 포스터(Foster, 1995)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세 가지 윤리적인 문제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세 가지 질문은 첫째, 연구가 중요한 문제를 묻고,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줄 수 있는가? 둘째, 연구과정에서 연구대상아동들에게 일어날수 있는 위험의 정도는 허용할 만한 수준인가? 셋째, 연구대상 아동들의 자블성은 그들의 동의를 얻음으로써 존중되고 있는가? 이다(한국아동권리학회 편, 2005, P. 22). 이러한 점들에 대해 미국의 아동발달연구회(Socie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RCD)(2000)는 아동연구를 위한 16개 윤리기준을 제시하였다. 16개의 윤리기준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에게 신체적, 심리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는 연구 절차를 사용해서는 안 되고, 연구 진행 도중 아동의 복지가 위협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부모나 보호자, 현장의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둘째, 아동에게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기 전에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측면을 알려 주어야 하고 연구도중 언제나 그만둘 수 있는 선택의 자유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 또한 아동 자신뿐만 아니라 부모, 법적 보호자나 대리인 혹은 연구도중 상호작용하게 되는 교사 등으로부터도 연구 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고, 각자의 책임한계에 대해서도 분명한 동의가 있어야 한다. 동의와 관련하여 디너와 크랜달(Diener & Crandall, 1978)은 연구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정보를 듣고 난 후에 연구에 참여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과정을 '정보에 입각한 동의(informed consent)'라는 말로 표현한 바 있다.
셋째, 연구 참여에 대해 공평한 보상을 해 주어야 하나 과다하게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정보의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연구 참여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 연구자는 허가받은 목적 이외의 정보사용은 금해야 하고, 연구 종료 후 연구 참여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연구결과에 대해 알려 주어야 한다. 또한 연구결과를 보고할 때에도 연구 참여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고 사회적, 정치적, 인간적 함의에 대해 충분히 이해함으로써 결과제시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연구자의 위법행위, 즉 자료의 누락, 잘못된 분석, 표절, 왜곡된 제시 등에 대해 SRCD가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위법이라고 밝혀진 회원에 대해서는 제명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연구윤리가 제대로 확립되었을 때 비로소 연구의 진실성이 확보된다. 진실성이 결여된 연구를 통해서는 진리에 도달할 수 없고, 인류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없다. 진리를 추구하는 연구자들은 누구보다도 객관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하며 스스로 연구윤리를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 스스로 윤리적인 딜레마가 생기면 다른 연구자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도 연구자로서의 바른 자세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아동발달의연구방법 파워포인트
인간발달의 연구방법
한부모가족지원결과보고서(2006년)
아동발달의 이해에 대해 정리요약하시오.
[아동발달] 아동발달연구의 설계법 - 연구설계와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법 및 아동발달연구에서...
아동발달의 연구방법(아동발달연구의 목적, 과학적 연구의 과정과 요소,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법)
아동발달 연구를 위한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과 연구 설계 및 아동발달연구의 3가지 접근법에 ...
[아동발달연구] 아동연구의 역사적 관점 아동발달의 연구방법(아동발달연구의 접근방법 연구...
[아동발달연구방법] 아동발달 연구 목적과 방법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방법 아동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