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H Pontine hemorrhage DM 케이스 스터디 A+(SDH Pontine hemorrhage DM 뇌내출혈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DH Pontine hemorrhage DM 케이스 스터디 A+(SDH Pontine hemorrhage DM 뇌내출혈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ne) 및 요소질소(urea nitrogen) 수치, 전해질 농도와 산-염기 상태를 측정한다.
Reference
- 박정숙 외 (2010). 성인 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 대한내분비학회 (2011). 제2판 내분비대사학. 군자출판사.
- 대한당뇨병학회 (2005). 제3판 당뇨병학. 고려의학.
- 대한병리학회 (2003). 제5판 병리학. 고문사.
- 송계용 지제근 함의근 공저 (2007). 핵심병리학. 고려의학.
과제
1. 욕창 치료 사례 (case 대상자와 다른 대상자)
-욕창 상태 : sacrum Bed sore(stage2, 16*16*0.2) : 표피가 벗겨져 있고, 혈액 삼출물이 있음.
-욕창 관리 : 멸균증류수로 상처부위를 씻어낸 후 메피렉스와 하이퍼스킨으로 드레싱.
-메피렉스 : 하지나 족부성 궤양, 욕창 및 화상과 같은 삼출물의 양이 중간정도인 상처에 사용.
-장점: 상처부위 접착면에 소프트 실리콘이 도포되어 있어 자체고정이 가능, 접착면에 도포된 소프트 실리콘이 흡수층이 wound bed에 달라붙는 것을 예방하여 드레싱 교환시 상처부위나 새로운 육아조직이 손상받는 것을 예방, 상처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주위 피부를 완전히 sealing하기 때문에 삼출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여 maceration(피부진주름)으로부터 환자의 피부를 보호, 완충작용으로 압력을 완화시킬수 있음.
2. CVP :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정의 : 전신 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으로, 전부하와 우심장의 기능상태를 직접 반영하며 수액과다 또는 수액부족 등을 알 수 있게 하므로 수액공급의 지침으로 이용된다.
-정상수치 : 5-10cmH2O
-상승: 과중한 수액공급,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이 있을 때, 우심장의 과부담을 의미
-감소: 출혈, 쇼크, 기타 원인으로 순환혈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
3. Ventilator
1) 정의
환자의 환기기능이 나빠져, 환자의 호흡만으로 폐혈액 가스교환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할 때 기계장치를 동원하여 인위적으로 호흡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2)목적
① 폐의 생리적인 Ventilation 개선
② 환기와 산소포화도의 효율성 증가
③ Respiratory distress 완화
; 심근 부담 감소, 산소 소모 감소, 호흡근 피로 개선
3) 적응증
① Apnea - 신경근육, 심 폐기능의 허탈
② PH7.25 , PaCO 50mmHg 의 급성 환기 부전
③ 심한 저산소혈증 - Room air에서 PaO₂가 50mmHg 이하인 상태
④ 호흡근의 피로- 쇠약, 만성 폐질환 상태 등
4) Ventilator 의 분류
① Volume Cycled Ventilator
- 정해진 1회 용량의 공기가 폐에 전달되면 흡기가 끝나고, 호기가 시작되는 방식으로 기도 저항이나 유순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제공된다.
② Pressure Cycled Ventilator
- 정해진 기도압력에 도달 될 때까지 폐에 공기가 전달되고 동시에 흡기가 끝난다
③ Time Cycled Ventilator
- 정해진 시간 동안 흡기되며 전달되는 공기의 양은 흡기시간과 공기의 유량에 의해 조절된다
5) Ventilator 의 각종 Modes
① CMV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or: 기계 강제 환기)
- 환자의 자발호흡에 상관없이 호흡횟수, 1회 호흡량, 분시환기량(MV)이 정해진 인위적인 호흡.
- 단점 : 자발호흡시 인공환기와 Fighting, barotrauma(압력손상)
Cardio-Vascular 손상 발생, paralysis시키거나 sedation필요
② PRVC (Pressure Regulated Volume Control)
- 환자의 자발호흡이 없을 때 시행하며, 일정 압력 범위내에서 가장 낮은 Pressure로 주어진 targt volume을 제공하는 방식.
③ SIMV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동시적 간헐적 강제환기)
- 환자의 환기노력과 동시에 공기전달.
- 1분당 정해진 횟수만큼 환자의 흡기노력과 일치하여 기계적 호흡이 이루어짐
④ PSV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압력 보조 환기 )
- 환자의 호흡부담을 감소하면서 환자의 일회 환기량을 증대시키는 방식으로 자발 호흡시 흡기시에만 사용.
- 과도한 PSV : 호흡근위축유발, 장기간 환기 보조에 의존 초래
- 너무 낮은 PSV : 호흡일 증가 초래
- Weaning의 한 방법
- 금기: 자발 호흡 없는 환자
⑤ PEEP(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 호기말 양압)
- 기계적 환기시 환자의 기도 내 호기말에 짧은 시간 동안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폐를
팽창시키는 환기방식
- 효과 : 호기말 양압⇒ 폐포압력증가⇒ 폐포개방 ⇒ FRC (functional residual
capacity:기능적 잔기량) 증가 ⇒ Improve oxygenation
- 급성호흡부전의 가장 중요한 치료요법
- PEEP : 일반적 적용 5 ~ 10 cmH2O
⑥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지속적 양압 환기)
- 자발호흡환자에게 흡기와 호기에 지속적 양압 제공하는 환기 방식.
- Self respiration + PEEP = CPAP
4. sputum culture 결과지 분석 및 사용되는 항생제 사례 (case 대상자와 다른 대상자임)
이○○님, 67세, Female, pneumonia
날짜
검사명
검체명
결과
5/13
일반(배양,동정,MIC)
sputum
Acinetovacter baumannii : Many
5/15
sigmoidoscopy
Pseudomembranous colitis
→사용되는 항생제
① Cefepime (Maxipime) : 그람 음성·양성균에 작용하는 것.
-적응증: 감수성있는 세균에 의한 하기감염
② Vancomycin (Vancozin) : 그람 양성균에 작용.
-적응증: 포도구균에 의한 소장결장염, 클로스트리듐 다이피셀에 의한 항생물질 관련 위막성 대장염
  • 가격2,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9.02.17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8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