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논문] 성인기의 특수발달특성과 기독교 교육(이혼가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논문] 성인기의 특수발달특성과 기독교 교육(이혼가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결혼과 이혼
(1)결혼에 대한 현대인의 이해
(2)이혼실태
(3)이혼의 원인
(4)이혼으로 인한 가정문제
(5)이혼에 대한 전망

2.기독교 교육적 해결 방안

3.대안 프로그램
결혼예비학교
사후사이코드라마치료

Ⅲ결론

본문내용

부터 영감을 받아 도덕적 통찰력을 해방시켜 사회질서 수립에 노력해야 한다.
둘째로 사회구원을 위하여 사회의 복음화가 요구된다. 자신의 생각과 삶에 새로운 기독교를 완성시키려는 사람들은 새로운 유형의 기독교인들이 된다. 사회적 기독교는 인류가 함께 결속되어 있는데 근거한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면서 모든 인간관계의 구원을 포괄하는 신앙을 이룬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의 나라의 목적 안에서 같은 인간관계에 더 쉽게 이를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구원이 펼쳐 나가며 결국 사회의 복음화가 이루어 질 것이다.
셋째로 사회구원을 위하여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복음이 기독교인의 개인적 신앙과 증거로 말미암아 기독교의 공동의식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즉 하나님의 나라의 새로운 복음은 일상생활을 기독교화 하기 위한 부름이며 기독교인은 그 부름을 전달하고 그 의미를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강단은 말씀의 선포를 통하여 이것을 전달하고 사회문제에 지적하며 고발함으로 사회적 도덕성을 제시 하여야 한다. 설교자는 강단을 통하여 예언자적인 통찰력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 앞에서 의를 분별하여 주장함으로서 사회문제에 대해 의식을 가지도록 불러일으키며 도덕적 확신을 갖게 해야 한다.
넷째는 사회구원을 위하여 새로운 관습과 제도를 창조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기독교인은 법률을 제정하는데 영향을미치고 동시에 그 법이 진행되는 것을 감시함으로써 새로운 관습과 제도를 창조하고 사회적 도덕이 창조적 힘을 발휘하게 한다.
기독교는 사회구원을 위하여 새로운 사회적인 신앙이 되어야 한다. 개인을 통하여 개인주의를 넘어서는 차원에서 영혼에 대한 책임과 함께 사회문제의 해결이 영혼의 구원과 연결시켜서 기독교의 사회적인 역할의 감당하기 위한 개인의 신앙적인 책임감을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3. 대안 프로그램
(1)가정 사역 실천
1)예비부부를 위한 이삭과 리브가 교실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들이 그리스도인 공동체 속에서 하나님이 주신 사랑과 결혼에 대한 참된 의미를 발견하고 만남과 대화의 장을 통해서 건강한 결혼 생활을 준비하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2)아버지를 위한 아브라함 교실
가정에서 아버지의 진정한 권위를 회복하고 바른 아버지상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3)아내들을 위한 마리아 교실
돕는 배필로서의 아내 됨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아내로서의 바른 역할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4)부부들을 위한 요셉과 마리아 교실
부부간의 진실한 만남과 대화를 통해서 갈등을 극복하고 차이와 다름을 수용하며 하나님이 허락하신 결혼과 사랑의 의미를 일깨워서 행복과 감사로 표현되는 풍족한 결혼생활을 누리도록 돕는데 있다.
5)고넬료 가족 캠프
전 가족이 참여하는 가족 켐프를 월 1회 이상 교회의 수양관에서 실시한다. 교구별로 25가정 이내로 모집하되 자녀의 연령층을 교려해 모집해 자녀의 연령에 맞는 특성화 캠프를 실시한다.
(2) 교회와 가정이 연계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1) 1박2일의 가족 캠프
연 4회로 계절여행을 계획하여 온 가족이 함께 떠나는 가족여행을 통하여 부모-자녀 간에 대화의 장을 마련해 주고 함께 추억여행을 함으로 즐거운 시간 가운데 서로를 더 잘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가족켐프의 목적은 가정단위의 성서적 훈련과정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고 하나님의 사랑 속에 치유되며 가정공동체의 지체들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누리며 살아가는 과정으로 양육되고 그리스도인 가정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 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2) 가족캠프 세부 프로그램
가족캠프 세부 프로그램으로는 가족 산책, 타임캡슐 만들기, 캠프파이어, 함께 드리는 예배, 가족끼리 사진찍기, 역할극, 세족식, 가족 기도회, 액자 만들기 등이 있다. 그리고 교회와 가정이 연계하는 교회교육의 방편으로 매주 가정 통신문을 통하여 가정의 연장선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실시하는 부모 교육프로그램이다. 방법으로는 아동부 성경공부에 대한 자료와 자녀가 배운 성경공부의 연장선으로 부모가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를 가정통신문을 통해 매주 부모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Ⅲ. 결론
이상으로 이혼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를 살펴보았다. 하나님은 이혼을 금하셨고 결혼을 통해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시기를 원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죄성으로 인하여 결혼 언약은 깨어지고, 교회 안에는 세속주의적인 가치관이 들어와 교회와 세상간의 구별이 없어지는 그런 시대에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이러할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다시금 진리의 등불을 비취어 혼탁한 교회를 정결케 할 뿐만 아니라 이혼을 고려하고 결정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바른 상담을 통하여 그들이 하나님의 뜻을 찾아 믿음으로 살아가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연약함으로 인하여 깨어진 영혼들을 회복시켜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그 책임감을 깨닫고 깨어진 창조원리가 다시 아름답게 회복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바른 신학의 틀을 정립하고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온전한 뜻이 무엇인지를 깨달아가며 고통 가운데 있는 영혼을 사랑하고 이해하려는 수고를 계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성인기독교교육의 역할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김휘현, 가정사역 프로그램을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Chicago:McCormick Theological.Seminary 2002.6. p26
김미선 교회와 가정을 연계하는 기독교 부모교육에 관한 연구, pp.95~98.
김미숙, 외12명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서울: 학지사, 2002. 6
김용미 외 3명 『결혼과 가족의 의미』, 서울: 양서원, 2002. 8
양정하 외 4명 『사회복지 정책론』, 서울: 양서원, 2000. 9
유재성, “한국사회의 이혼 급증현상 요인 분석” <목회와 신학> (2003, Issue.5) p.105
전국대학사회복지교육협의회 편, 『사회복지개론』,유풍출판사 1999. 2
송길원, 『가정사역연구』, 서울가정사역협회 ,1995
이동원 외3명『한국가족의 현주소』, 학지사 2002, 7
추부길, 가정사역.com 한국가정사역 연구소 ,2002
http://kosis.nso.go.kr 통계청 (2007)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