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갈등의 정의 및 유형
Ⅱ 교실 내 갈등의 원인
Ⅲ 갈등 해결의 접근법
Ⅳ 갈등 해결의 전략
Ⅴ 사회적 기술
< 갈등 해결 교육의 예 > - 교실에서의 갈등해결 교육
Ⅱ 교실 내 갈등의 원인
Ⅲ 갈등 해결의 접근법
Ⅳ 갈등 해결의 전략
Ⅴ 사회적 기술
< 갈등 해결 교육의 예 > - 교실에서의 갈등해결 교육
본문내용
그것이 적극적 경청이다. 즉 적극적 경청이란 상대가 마음의 문을 열도록 수용적 태도로 임하는 것이다.
적극적인 경청을 위한 방법을 도표화시키면 다음과 같다.
부 호
1. 엄마 저 개 물어? ( 암호 )
2. 저 개가 물까봐 겁나는구나.( Feed-back )
3. 그래 무서워. ( 긍정 또는 부정 )
라. 나 - 전달법 ( I Message )
⇒ 대화에서 효과적인가 비효과적인가는 You Message냐 I Message냐의 차이로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는 대부분이 너>라는 단어로부터 시작하거나 너>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너- 메시지는 대부분 상대방을 비난하고 탓하는 것으로 잘 잘못을 따지며 공격적이다. 행동의 변화보다는 부작용이 크다. 교사가 학생에게 영향력을 주려면 학생에게 교사의 느낌, 의사 및 의도가 전해지도록 의견을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나- 메시지는 단순히 학생의 행동에 대한 교사의 느낌을 솔직하게 설명하는 방법으로 상대방을 평가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화도 내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화난 느낌을 객관적으로 전달하고는 상대방이 스스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도록 유도하는 인간중심적 방법의 접근인 것이다. 따라서 화를 통해서 학생을 통제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방법은 금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 - 전달의 방법은 아래 표와 같이 3단계로 구조화 할 수 있다.
예) 솔직한 느낌표현 (나는 ∼하다) - 몹시 겁이 난다.
구체적인 영향 (나의 문제화해서) - 사고 나서 다칠까봐
무비판적 행동서술 (너의 문제를) - 비 오는데 과속하니까
● 감정이입 전략
⇒ 감정이입은 다른 사람의 상태와의 동일시나 대리 경험으로 우리 자신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으로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관점 조망의 정서적인 측면으로 타인의 견해를 취하고 그들이 바라보는 대로 상황을 바라보고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반응해서 행동하고 느끼는가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감정이입은 학생들에게 타인에 대한 관점과 느낌을 바르게 갖고, 정의와 자비에 배치되는 것을 분별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이 도덕적 행동의 토대가 된다.
1) 감수성 카드
대인간 상황들로 구성된 \'감수성 카드\'를 제시하고 \'너는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질문한다. 질문에 대한 답은 말로 하거나 그림, 작문 등 학생들이 하기 쉬운 방식으로 하며, 교사가 언어적인 반응에만 의존할 필요는 없다.
예1) 너의 가장 친한 친구가 그 자신으로 괴롭히게 될 어떤 일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너는 어떻게 할 것인가?
예2) 네가 친구에게 책을 빌려주었다. 그런데 그 책을 돌려받았을 때 책이 심하게 찢어져 있었다. 너는 어떻게 할 것인가?
상황 : 너하고 친한 동갑인 소년(소녀)이 네가 알지 못하는 어떤 이유로 매우 당황하고 있는 것 같다. 너라면 …….
1. 아무 것도 안 한다.
2. 혼란스럽게 느끼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
3. 어른에게 그 상황을 알린다.
4. 그 일에 관해 친구에게 말한다.
5. 그 사람에게 기운을 차리라고 한다.
6. 그 소년(소녀)를 놀려 준다.
7. 그(그녀)를 피한다.
8. 문제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9.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알아채지 못하는 것처럼 그(그녀)에게 말을 건다.
10. 그 친구를 편안하게 해 준다.
11. 진행되고 있는 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동시에 요청이 있으면 도울 채비를 한다.
2) 결과들
교사가 여러 가지 상황 카드를 만들어 제시한다. 감수성 카드가 1대1의 관계인데 비해 여기서는 많은 사람들이 포함된다. 여기서는 청소년들의 경향 곧 자신과 직접 대면하는 상대자의 관계만 고려하는 자연적인 경향을 교정해 주려는 것이다. 이는 보다 객관적인 안목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적인 질문은 \'다음에 무엇이 일어날 것 같은가?\'이다. 카드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예시 상황에 대한 결과를 생각해 보게 한다.
3) 관점들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전에 타인의 역할을 채택해 보도록 격려하기 위한 자료들이다. 다양한 갈등 상황으로 구성된 상황카드를 이용한다.
● 자기 발견을 통한 갈등의 성찰법
▶나는 무엇으로 갈등하는가?
내가 행복하다는 것은 지금 여기서 내 기분이 좋을 때다. 마찬가지로 지금 여기서 갈등과 고민이 많으면 나는 불행하다고 느낀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우리 자신이 만든 것이기에 또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이다. 세상에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아무 것도 없고 설명되지 않는 것도 없다. 세상만사가 원인에 의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때로는 장애가 닥쳐오는 것도 다행일 수 있다. 긴장 속에서 그것을 뛰어 넘고자 하고 또는 그것을 제거하고자 하는 긴장이 삶의 의욕을 강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슬기롭게 해결한 만큼 건강성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대체 내가 갈등을 느끼고 고민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목적
- 현재 자신의 문제를 확인한다.
- 문제를 문제로 알고 괴로워하는 것이 아니라 슬기롭게 풀어가고자 하는 마음을 지닌다.
- 집단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삶의 모습을 이해한다.
참고 문헌
● http://www.uniedu.go.kr/dataroom/book_uniNpeice/unp9.html
● 갈등해결의 기술. 다니엘 대너 지음,지식공작소 펴냄, 2003.02.18 발간
● http://www.kyungsung.ac.kr/%7Ejhpark/CE004.htm
● http://dju.ac.kr/%7Ekwangki/minju02.hwp
● http://www.unesco.or.kr/kor/activity2002/ss_4.html
● http://onekorea.or.kr/act/program.html
● 갈등 두려워하는 겁쟁이들을 위한 갈등해결의 기술 - 팀 어시니 지음
● http://pccmm.com.ne.kr/02110118.hwp
● http://stud.kwc.ac.kr/%7Ekwc1103/teacher%27s%20profession.htm
● http://www.kssline.pe.kr/
적극적인 경청을 위한 방법을 도표화시키면 다음과 같다.
부 호
1. 엄마 저 개 물어? ( 암호 )
2. 저 개가 물까봐 겁나는구나.( Feed-back )
3. 그래 무서워. ( 긍정 또는 부정 )
라. 나 - 전달법 ( I Message )
⇒ 대화에서 효과적인가 비효과적인가는 You Message냐 I Message냐의 차이로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는 대부분이 너>라는 단어로부터 시작하거나 너>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너- 메시지는 대부분 상대방을 비난하고 탓하는 것으로 잘 잘못을 따지며 공격적이다. 행동의 변화보다는 부작용이 크다. 교사가 학생에게 영향력을 주려면 학생에게 교사의 느낌, 의사 및 의도가 전해지도록 의견을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나- 메시지는 단순히 학생의 행동에 대한 교사의 느낌을 솔직하게 설명하는 방법으로 상대방을 평가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화도 내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화난 느낌을 객관적으로 전달하고는 상대방이 스스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도록 유도하는 인간중심적 방법의 접근인 것이다. 따라서 화를 통해서 학생을 통제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방법은 금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 - 전달의 방법은 아래 표와 같이 3단계로 구조화 할 수 있다.
예) 솔직한 느낌표현 (나는 ∼하다) - 몹시 겁이 난다.
구체적인 영향 (나의 문제화해서) - 사고 나서 다칠까봐
무비판적 행동서술 (너의 문제를) - 비 오는데 과속하니까
● 감정이입 전략
⇒ 감정이입은 다른 사람의 상태와의 동일시나 대리 경험으로 우리 자신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으로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관점 조망의 정서적인 측면으로 타인의 견해를 취하고 그들이 바라보는 대로 상황을 바라보고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반응해서 행동하고 느끼는가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감정이입은 학생들에게 타인에 대한 관점과 느낌을 바르게 갖고, 정의와 자비에 배치되는 것을 분별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이 도덕적 행동의 토대가 된다.
1) 감수성 카드
대인간 상황들로 구성된 \'감수성 카드\'를 제시하고 \'너는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질문한다. 질문에 대한 답은 말로 하거나 그림, 작문 등 학생들이 하기 쉬운 방식으로 하며, 교사가 언어적인 반응에만 의존할 필요는 없다.
예1) 너의 가장 친한 친구가 그 자신으로 괴롭히게 될 어떤 일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너는 어떻게 할 것인가?
예2) 네가 친구에게 책을 빌려주었다. 그런데 그 책을 돌려받았을 때 책이 심하게 찢어져 있었다. 너는 어떻게 할 것인가?
상황 : 너하고 친한 동갑인 소년(소녀)이 네가 알지 못하는 어떤 이유로 매우 당황하고 있는 것 같다. 너라면 …….
1. 아무 것도 안 한다.
2. 혼란스럽게 느끼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
3. 어른에게 그 상황을 알린다.
4. 그 일에 관해 친구에게 말한다.
5. 그 사람에게 기운을 차리라고 한다.
6. 그 소년(소녀)를 놀려 준다.
7. 그(그녀)를 피한다.
8. 문제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9. 무언가 잘못되었음을 알아채지 못하는 것처럼 그(그녀)에게 말을 건다.
10. 그 친구를 편안하게 해 준다.
11. 진행되고 있는 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동시에 요청이 있으면 도울 채비를 한다.
2) 결과들
교사가 여러 가지 상황 카드를 만들어 제시한다. 감수성 카드가 1대1의 관계인데 비해 여기서는 많은 사람들이 포함된다. 여기서는 청소년들의 경향 곧 자신과 직접 대면하는 상대자의 관계만 고려하는 자연적인 경향을 교정해 주려는 것이다. 이는 보다 객관적인 안목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적인 질문은 \'다음에 무엇이 일어날 것 같은가?\'이다. 카드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예시 상황에 대한 결과를 생각해 보게 한다.
3) 관점들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전에 타인의 역할을 채택해 보도록 격려하기 위한 자료들이다. 다양한 갈등 상황으로 구성된 상황카드를 이용한다.
● 자기 발견을 통한 갈등의 성찰법
▶나는 무엇으로 갈등하는가?
내가 행복하다는 것은 지금 여기서 내 기분이 좋을 때다. 마찬가지로 지금 여기서 갈등과 고민이 많으면 나는 불행하다고 느낀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우리 자신이 만든 것이기에 또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이다. 세상에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아무 것도 없고 설명되지 않는 것도 없다. 세상만사가 원인에 의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때로는 장애가 닥쳐오는 것도 다행일 수 있다. 긴장 속에서 그것을 뛰어 넘고자 하고 또는 그것을 제거하고자 하는 긴장이 삶의 의욕을 강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슬기롭게 해결한 만큼 건강성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대체 내가 갈등을 느끼고 고민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목적
- 현재 자신의 문제를 확인한다.
- 문제를 문제로 알고 괴로워하는 것이 아니라 슬기롭게 풀어가고자 하는 마음을 지닌다.
- 집단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삶의 모습을 이해한다.
참고 문헌
● http://www.uniedu.go.kr/dataroom/book_uniNpeice/unp9.html
● 갈등해결의 기술. 다니엘 대너 지음,지식공작소 펴냄, 2003.02.18 발간
● http://www.kyungsung.ac.kr/%7Ejhpark/CE004.htm
● http://dju.ac.kr/%7Ekwangki/minju02.hwp
● http://www.unesco.or.kr/kor/activity2002/ss_4.html
● http://onekorea.or.kr/act/program.html
● 갈등 두려워하는 겁쟁이들을 위한 갈등해결의 기술 - 팀 어시니 지음
● http://pccmm.com.ne.kr/02110118.hwp
● http://stud.kwc.ac.kr/%7Ekwc1103/teacher%27s%20profession.htm
● http://www.kssline.pe.kr/
추천자료
놀이접근법과 도덕교육
도덕과(도덕교육) 토론학습, 도덕과(도덕교육) 세미나학습, 도덕과(도덕교육) 가치갈등학습, ...
[도덕과교육]도덕과교육 가치갈등학습모형(가치갈등수업)의 가치와 특징, 도덕과교육 가치갈...
도덕(도덕과)교육의 필요성, 도덕(도덕과)교육의 변수, 도덕(도덕과)교육의 감성지능개발, 도...
도덕교육(도덕과교육) 의사결정학습과 개념분석학습, 도덕교육(도덕과교육) 봉사학습과 가치...
도덕과교육 정보통신기술(ICT)활용학습, 도덕과교육 의사결정학습, 도덕과교육 가치갈등학습,...
칸트 - 초등도덕 교육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적 적용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도덕교육에의 적용
진정한 도덕교육을 위한 공감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