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nguage Revolution 언어혁명-영어의 미래언어의 미래인터넷의 역할혁명 이후21세기의 언어적 주제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he Language Revolution 언어혁명-영어의 미래언어의 미래인터넷의 역할혁명 이후21세기의 언어적 주제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어의 미래
현재
과거
미래


2. 언어의 미래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들
21세기의 도전: 문서화와 언어 소생


3. 인터넷의 역할
말과는 다른
글과는 다른



4. 혁명 이후
언어의 죽음과 예술


5. 21세기의 언어적 주제들

본문내용

, 이들 조직은 어려운 상황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적절한 정치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하다.
언어의 위기와 관련된 주요 주체들이 예술로 대접 받는 곳은 없다. 그 어떤 예술가의 작품에서도 조부모와 손자의 소통의 격차에 관한 내용이 묘사되거나, 이 분야를 특징짓는 인상적인 다른 이미지를 본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토마스의 시 <저수지> 중 “언어를 팔꿈치로 쳐서 무덤 속으로 쓰러뜨리고”라는 구절이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는 다른 매체에서 상상을 통한 묘사를 절규한다. 굉장히 놀라운 이미지이다. 서서히 성장하는 시 문학 속에서 이와 같은 극적이고 잊을 수 없는 이미지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이미지를 충격적이라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최소한 사람들을 일어나 앉게 하고, 그들의 관심을 끌 수는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언어의 문서화 분석에 걸맞은 기술적 관심과 함께, 새로운 세기에 시작할 과업은 일반 대중과의 소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언어학자들과 예술, 언론 매체 분야의 협력은 가장 가능성이 놓은 접근법이다. 또 협력을 용이하게 할 방법을 찾을 필요도 있다. 최소한 언론이나 방송인들, 예술가들이 사용할 수 있는, 위기에 처한 언어들을 위한 문서보관소나 도서관이 필요할 것이다. 이들이 현재 상황을 설명해주는 사례를 손쉽게 찾아 자신들의 논점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을 주는 것이다. 죽음의 위기에 처한 언어를 다루는 분야에서도 예술적 성과를 치하하는 상이 필요하다. 수상자를 세계 언어의 날에 발표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5. 21세기의 언어적 주제들
1990년대에 너무도 많은 언어적 혁신과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가 20세기에 언어에 대해 가지고 있었고 또 당연시해 온 몇몇 가정들은 21세기를 맞아 수정되어야 한다. 세계 공용어로 부상한 영어는 언어적 힘의 균형을 유례없는 방식으로 바꾸어 놓았고, 언어와 언어들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태도를 양산했다. 많은 언어 공동체들이 그들의 언어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상황에 의해, 혹은 더욱 사정이 안 좋을 경우 그들의 언어 사용을 급격히 위축시켜 언어의 존폐마저 위협하는 원인에 의해 위기의식을 느끼기 시작했다. 일부 공동체들은 언어 보호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거나, 최소한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언어적 변화의 파급 효과를 관리할 방식을 찾아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아가고 있다. 유럽연합 같은 국제적 규모의 공동체에서 사실상 모든 사람들이 영어를 사용한다는 현실적인 사실을 받아들여야 함과 동시에, 언어 등위의 원칙을 지킬 더욱 정교한 정책이 실행되어야 한다. 동시에 공동체들은 국제 공용어의 사용으로 가능해진 권한을 얻고자 기회를 활용할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새로운 방법을 택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그 때, 영어 사용자들의 공동체 안에서는 사용자들이 빠른 속도로 다양화되는 언어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어느 정도의 혼란이 있다. 영어권 내에서도 지역적 표준의 발전과 증가하는 “신종언어”들이 한때는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가 지배했던 세계를 복잡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변화의 과정은 인류에게 제3의 소통 매체뿐만 아니라, 글로 쓰여 진 모든 언어들을 종이에서 스크린으로 옮겨, 시각적 해석의 과정을 시작하게 해준, 그리고 넷스피크의 형태로 새로운 언어적 변형들의 등장을 촉진한 인터넷의 도래로 급격한 영향을 받았다. 여기에도 역시 새로운 정책과 전술이 필요하다. 이것은 세계화된 시각을 채택한 교육 자료와 검증 체계로서 많은 관심을 받게 될 것이다. 그리고 모국어 교사들 역시 지금까지 표준어로 향하던 배타적 관심을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지역의 억양과 방언을 존중하는 접근법으로 대체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며 적응을 강요받고 있다. 그러나 영향을 받는 것은 교육뿐만이 아니다. 모든 사람들은 인터넷의 언어적 가능성에 익숙해져야 한다. 그리고 적당한 관리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참고 도서
[왜 영어가 세계어인가?], David Crystal
[언어의 죽음], David Crystal
[언어와 인터넷], David Crystal
[Letter to the President], C. F. Adams
[Language and the Intern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Language and Silence], George Steiner
[The ABC of Reading], Ezra Pound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1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