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궤양, 체위성 저혈압, 졸림, 변비, 이상한 꿈, 서맥 및 성불능
우울증의 징후를 관찰, 기분이 저하되면 의사와 간호사에게 알림
guanadrel(hylorel)
교감신경 차단체
Lebetalol hydrochloride
말초혈관 저항을 감소시키고 말초혈관을 이완시킴
효과가 빠름
천식
심인성 쇼크
심한 빈맥
심장블록
직립성 저혈압
빈맥
직립성 저혈압이나 빈맥의 징후를 관찰
교감신경절 차단제
Trimethaphan
교감신경이 동맥조절을 차단하고 혈관확장 및 혈압을 감소시킨다
시야장애
동공확대
구강건조
자연뇨
동맥류 시 동맥절제한 후 환자에게 초기 혈압 조절을 위해 정맥 주사함
혈관 이완제
Hydralazine
소동맥을 확장시키기 위해 소동맥 벽의 평활근에 직접 작용한다. 초기에는 심박출량이 증가하나 나중에는 정상으로 돌아온다. 말초혈관 저항은 감소 되며 또한 혈관도 확장된다.
보통 차단제와 이뇨제와 복합하여 사용해서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항고혈압효과는 심박출량의 증가로 인해 다소간 반작용이 있을 수 있다
관상동맥 질환, 류마티스성 승모판 심질환, 약물에 대한 과민방응 시 사용해서는 안된다
부작용이 최소임, 두통, 심계항진, 화끈거림, 호흡곤란, 협심증, 장기 사용 후 lupus와 같은 징후가 올 수 있음
반사성 빈맥을 학인 아세트아미노펜이나 감기약, 이완요법으로 두통 치료, 고혈압성 위기 시 사용하며 부작용이 있으므로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음
Minoxidil
Diazoxide
Nitroprusside
칼슘차단제
Nifedipine
평활근세포로 유입되는 칼슘의 입구를 차단하고, 혈관의 평활근 경련을 감소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킴
nifedipine은 가장 강력한 혈관 확장 효과가 있다
심한 울혈성 심부전, 동결절증후군이나 진행되는 심장블록
두통, 현기증, 심계항진, 허약감, 오심, 홍조, 저혈압, 부정맥, 변비, 설사, 반점, 수분정체, 부종이 올 수 있음
갑작스런 저혈압을 관찰하고 특히 nifedipine으로 올 수 있음
Verapamil hydrochloride
diltiazem
nicardipine
amlodicine
felodipine
Angiotensin 전환효소
captopril
angiptensin Ⅰ을 angiotensinⅡ 로 전환 하는 것을 억제하여 알도스테론의 방출을 차단하고 나트륨과 수분저류를 감소
심한 고혈압이며 고체닌인 사람에게 가장 효과적
미리 존재하고 있는 콩팥기능상실과 콩팥동맥 협착인 사람에게 주의하여 사용
발열, 발진, 구내염, 입맛 상실, 혀의 궤양, 고칼륨혈증, 과립성 세포감소증, 용혈성 빈혈, 단백뇨로 인한 콩팥 손상
콩팥 손상을 발견하기 위하여 검사결과와 칼륨 수치를 확인하고 투약 전에 혈압을 측정함
enalapril
lisimopril
ramipril
trandolapril
quinapril
AngiotensinⅡ수용체 길항제
losartan
angiotesinⅡ 수용체를 차단하므로 혈관확장, 이뇨를 유발하여 혈압을 조절한다
고혈압, 심장비대, 심부전, 심근경색, 당뇨병성 콩팥염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ACE억제제와 병행투여 시 혈관이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만성 콩팥기능상실이 있는 환자나 칼륨 보존 강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칼륨혈증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
다른 고혈압 약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나 두통, 상기도 감염, 통증, 어지러움, 설사, 피로, 기침, 혈관부종, 요산뇨현상, 콩팥기능 감소, 고칼륨혈증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 할 수 있음, 장기간 사용 시 소량의 체내에 축적 되므로, 간질환이나 콩팥질환이 있을 때 용량조절
valsartan
irbesartan
candesartan
telmisartan
우울증의 징후를 관찰, 기분이 저하되면 의사와 간호사에게 알림
guanadrel(hylorel)
교감신경 차단체
Lebetalol hydrochloride
말초혈관 저항을 감소시키고 말초혈관을 이완시킴
효과가 빠름
천식
심인성 쇼크
심한 빈맥
심장블록
직립성 저혈압
빈맥
직립성 저혈압이나 빈맥의 징후를 관찰
교감신경절 차단제
Trimethaphan
교감신경이 동맥조절을 차단하고 혈관확장 및 혈압을 감소시킨다
시야장애
동공확대
구강건조
자연뇨
동맥류 시 동맥절제한 후 환자에게 초기 혈압 조절을 위해 정맥 주사함
혈관 이완제
Hydralazine
소동맥을 확장시키기 위해 소동맥 벽의 평활근에 직접 작용한다. 초기에는 심박출량이 증가하나 나중에는 정상으로 돌아온다. 말초혈관 저항은 감소 되며 또한 혈관도 확장된다.
보통 차단제와 이뇨제와 복합하여 사용해서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항고혈압효과는 심박출량의 증가로 인해 다소간 반작용이 있을 수 있다
관상동맥 질환, 류마티스성 승모판 심질환, 약물에 대한 과민방응 시 사용해서는 안된다
부작용이 최소임, 두통, 심계항진, 화끈거림, 호흡곤란, 협심증, 장기 사용 후 lupus와 같은 징후가 올 수 있음
반사성 빈맥을 학인 아세트아미노펜이나 감기약, 이완요법으로 두통 치료, 고혈압성 위기 시 사용하며 부작용이 있으므로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음
Minoxidil
Diazoxide
Nitroprusside
칼슘차단제
Nifedipine
평활근세포로 유입되는 칼슘의 입구를 차단하고, 혈관의 평활근 경련을 감소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킴
nifedipine은 가장 강력한 혈관 확장 효과가 있다
심한 울혈성 심부전, 동결절증후군이나 진행되는 심장블록
두통, 현기증, 심계항진, 허약감, 오심, 홍조, 저혈압, 부정맥, 변비, 설사, 반점, 수분정체, 부종이 올 수 있음
갑작스런 저혈압을 관찰하고 특히 nifedipine으로 올 수 있음
Verapamil hydrochloride
diltiazem
nicardipine
amlodicine
felodipine
Angiotensin 전환효소
captopril
angiptensin Ⅰ을 angiotensinⅡ 로 전환 하는 것을 억제하여 알도스테론의 방출을 차단하고 나트륨과 수분저류를 감소
심한 고혈압이며 고체닌인 사람에게 가장 효과적
미리 존재하고 있는 콩팥기능상실과 콩팥동맥 협착인 사람에게 주의하여 사용
발열, 발진, 구내염, 입맛 상실, 혀의 궤양, 고칼륨혈증, 과립성 세포감소증, 용혈성 빈혈, 단백뇨로 인한 콩팥 손상
콩팥 손상을 발견하기 위하여 검사결과와 칼륨 수치를 확인하고 투약 전에 혈압을 측정함
enalapril
lisimopril
ramipril
trandolapril
quinapril
AngiotensinⅡ수용체 길항제
losartan
angiotesinⅡ 수용체를 차단하므로 혈관확장, 이뇨를 유발하여 혈압을 조절한다
고혈압, 심장비대, 심부전, 심근경색, 당뇨병성 콩팥염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ACE억제제와 병행투여 시 혈관이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만성 콩팥기능상실이 있는 환자나 칼륨 보존 강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칼륨혈증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
다른 고혈압 약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나 두통, 상기도 감염, 통증, 어지러움, 설사, 피로, 기침, 혈관부종, 요산뇨현상, 콩팥기능 감소, 고칼륨혈증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 할 수 있음, 장기간 사용 시 소량의 체내에 축적 되므로, 간질환이나 콩팥질환이 있을 때 용량조절
valsartan
irbesartan
candesartan
telmisarta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