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 케이스 (Lt ulnar radius fracture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절 케이스 (Lt ulnar radius fracture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하루 1번 통증완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완요법(심호흡, 마사지), 전환요법(보호자와의 대화, 라디오듣기, TV시청), 온찜질이나 냉찜질의 방법을 설명한다.
4.조용한 환경을 유지해준다.
5.대상자가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돕는다.
6.IV PCA에 대해 사용법 및 효능의 정보를 제공한다.
7.통증완화를 위해 진통제 및 IV PCA의 약물을 투여한다.
8.진통제와 관련된 기대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 통증을 말로 표현하였다.
(수술부위(등). 강도는 4. 욱신거리는 듯이. 지속적. 3~5분 동안 계속되는 통증.)
2. 통증완화법에 대해 설명을 들은 후 알겠다고 말하였다.
3. 통증완화법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심호흡을 시행하였다.
4. IV PCA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직접 사용해 보았다.
5. IV PCA 투약 후, 통증이 감소될 것을 말하였더니, 고개를 끄덕이셨다.
6. 마사지와 기분전환 활동(대화)을 통해 기분이 한결 좋아졌다고 표현하였다.
평가: 결과 목표를 향한 환자의 경과를 요약하시오.
- 11월 7일 마사지와 심호흡을 한 후, 대상자의 찡그린 표정이 없어진 것을 관찰하였다.
- 11월 7일 간호한 3시간 이후 통증 NRS가 4점에서 3점으로 측정되었다.
- 11월 8일 대상자가 심호흡을 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문제 No. 2: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
일반적 목표 : 대상자에게 감염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예견되는 행동적 결과 목표: 환자는 간호하는 날에
11월 8일(간호한 날) 대상자는 배액관 관리법의 2가지 이상을 말할 것이다.
11월 8일(간호한 날) 대상자는 감염 예방법의 2가지 이상을 말할 것이다.
11월 8일(간호한 날) 대상자는 안정된 활력징후를 보일 것이다.
11월 11일 대상자의 혈액과 소변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2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2.이틀에 1번 LAB 수치를 확인한다.
3.대상자에게 오한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4.필요시 온찜질을 제공하고 2시간 이후 오한증상이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5.대상자의 혈액이나 소변을 이용해 균배양을 하여 감염된 균을 확인한다.
6.항생제를 투여한다.
7.수술 부위 드레싱 상태, IV주변의 발적, 부종 등 피부 상태의 변화가 일어났는지 관찰한다.
8.배액관이 꼬이지 않았는지, 관의 삽입부위보다 낮게 유지되어있는지, 소변백이 바닥에 닿아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9.하루 1번 배액관 관리법을 시범을 보이며 교육한다.
10.하루 1번 감염 예방법으로 손씻기와 배액관을 함부로 빼거나 건드리지 않을 것, 관과 주사 삽입부위를 함부로 만나지 않을 것을 교육한다.
11.하루 1번 이상 배액관 관리법과 감염 예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격려한다.
1. 11월 8일 5pm 측정한 대상자의 활력징후는(120/80mmHg, 37.3℃, 84회/분, 20회/분)로 약간의 미열증상을 보였다.
2. 11월 7일(POD 0) LAB 수치에서 WBC 수치가 6.05 x10^3/UL(11월2일 결과) -> 17.86x10^3/UL 으로 상승.
(정상범위 : 5.2-12.4 x10^3/UL)
3. 오한증상이 나타나 hot bag를 제공하고 추위가 감소될 것을 설명하니, 고개를 끄덕이셨다.
4. 수술 부위 드레싱 상태는 깨끗하였고, 피부상태의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다.
5. 배액관도 꼬인 부분이 없고 관의 삽입부위보다 낮게 유지되어 있었다.
6. 배액관의 관리법을 교육한 후 알겠다고 말하였다.
7. 감염예방법에 대한 교육한 후 알겠다고 말하였다.
평가: 결과 목표를 향한 환자의 경과를 요약하시오.
- 11월 8일 손씻기 교육한 후, 손 세정제로 보호자와 함께 손 소독을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11월 8일 대상자에게 Hot bag을 제공한 2시간 이후, 추위가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 11월 8일 7pm 체온을 측정하여 37.0℃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11월 9일 대상자는 배액관 관리법 중 배액관이 꼬이지 않아야 하는 것과 관 삽입부위보다 낮게 유지해야 하는 것을 말하였다.
- 11월 9일 대상자는 관이나 주사가 삽입된 부위를 청결히 유지했다고 말하였다.
문제 No. 3: 통증 및 낯선 병원환경과 관련된 수면장애
일반적 목표 : 대상자는 수면장애를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예견되는 행동적 결과 목표: 환자는 간호하는 날에
11월 8일 대상자는 최소 6시간의 수면을 취할 것이다.
11월 9일 대상자는 수면부족과 관계된 행동 증상(불안정, 기면, 두통, 피로 등)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매일 아침마다 전날의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2.대상자가 수면방해 요인이 되는 걱정거리에 대해 의논한다.
3.수면을 돕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대상자에게 묻는다.
4.필요시 일반적인 수면 보조물을 제공할 것을 설명한다.(베개, 책 등)
5.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들 것을 교육한다.(커텐을 친다. 조명을 조절한다. 문을 닫는다. 등)
6.하루 1번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가르치고 취침 시 실시하게 한다.(상상요법, 점진적 근육이완법, 명상요법)
7.수면시간을 피해서 투약 시간을 계획한다.
8.수면시간 전에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완화시킨다.
1. 평소 6시간 수면을 취하나 11월 8일 사정했을 때에는 통증으로 인해 잠을 자지 못하고, 당일 아침에 3시간 정도 수면했다고 말하였다.
2. 통증을 완화하고 밤에 소음이나 빛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하였다.
3. 불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자는 동안에는 커텐을 약간 치고 수면을 취하도록 설명하니 알겠다고 말하였다.
4. 마음이 편해지도록 깊게 숨을 쉬며 명상을 하도록 교육한 후, 대상자가 시범을 보였다.
5. 수면을 취하기 전에 통증을 완화시키는 진통제를 투여하도록 설명한 후 알겠다고 말하였다.
평가: 결과 목표를 향한 환자의 경과를 요약하시오.
- 11월 9일 대상자가 1시간가량 더 수면을 취했다고 말하였다.
- 11월 9일 눈이 충혈되지 않은 것을 관찰하였다.
- 11월 9일 머리가 아프지 않다고 말하였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9.02.17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1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