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7)까지Sliding scale에 따라 insulin이 투여되었다.
문제 No. 4 : 만성질병(CKD), 급성질병(통풍)과 관련된 피로
일반적 목표 : 2017.07.01까지 대상자는 손떨림과 관련된 피로가 감소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2017.07.01까지 대상자는 신기능저하와 관련된 증상감소로 인해 피로를 느끼지 않을 것이다.
예견되는 행동적 결과 목표:
- 간호하는 날(2017.05.23) 대상자의 피로감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중재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하는 날(2017.05.23)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해 주어 실습이 끝나는 날(2017.05.27)까지 피로감이 감소될 것이다.
- 대상자는 실습이 끝나는 날(2017.05.27)까지 피로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및 반응
1. 피로감 감소를 위한 중재를 한다.
- 심할 경우 약물을 투여하고 효과를 모니터한다.
- 충분한 영양, 수분, 적절한 비타민제제 제공한다.
- 환자가 휴식하고 있는 시간을 피하여 간호수행을 제공한다.
- 근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능동적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격려한다.
2. 피로감에 대한 원인을 파악 및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관찰한다. 원인에 따른 투약 및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 과도한 신체적, 정신적 피로 여부를 모니터한다.
- 자가 간호나 간호활동시 나타나는 환자의 신체반응을 V/S로 모니터한다.
- 적절한 에너지 유지를 위해 영양섭취량을 모니터한다.
- 피로의 원인을 확인한다.
- 환자에게 신체적 제한이 있는 지 확인한다.
- 활동 중에 느끼는 불편이나 통증의 부위와 특징에 대해 모니터한다.
-필요시 투약한다.
1. 피로감 감소를 위한 중재를 한다.
-상기 환자는 중증 신기능저하 (CKD)환자로 신기능 저하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하고, 이뇨제를 투여해 신기능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환자는 급성통풍 의심 및 판단 환자로 손떨림을 감소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한다.
-충분한 영양섭취가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단백 및 염분섭취를 제한해 CKD가 더욱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환자가 깨어있는 시간에 한해 필요한 내용을 교육하였다. 현재 LAP결과 RBC 2.96↓, HGB 9.30↓, HCT 27.70↓로 빈혈이 있고 방어력 감소가 있으니 지나친 활동은 자제할 것을 교육하였다.
-근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하루에 한 두 번 정도 병동주변으로 걷는것이 좋다고 교육하였다. Lt. shoulder의 경우 윤활낭 감염으로 능동적 관절운동을 수행할 수 없으나 Rt. shoulder 와 그 외 관절의 경우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고 교육하며 시범을 보였다.
-규칙적인 시간에 일어나고, 수면할 것을 교육하고 시간을 정해 병동주변으로 걸을 것을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낮에 깨어있는 시간이 늘어났으며, 약물 투여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던 환자가 철저한 식이조절과 적당한 운동을 통해 피로감을 해소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2. 피로감에 대한 원인을 파악 및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관찰한다.
-내일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 여부를 사정하고, 통풍약물· 신기능 저하 약물 투여 후 피로여부를 사정하였다. 후에 식이요법및 운동 교육휴 다시 피로 여부를 사정하였다. 약물 투여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던 환자가 철저한 식이조절과 적당한 운동을 통해 피로감을 해소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자가간호 중 신기능 저하가 악화되어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지 확인하였다. 혈압은 다소 높거나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적절한 영양 섭취를 하는지 매일 식사량을 체크하고, 외부음식을 섭취하지는 않았는지 사정 하였다. 보호자는 식이요법과 염분섭취의 심각성에대해 교육받은 후 된장절임고추 섭취에 주의하고 점점 섭취량을 줄이다가 드시지 않도록 옆에서 돕겠다고 말하였다.
-consult to 신장내과, 류마티스내과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피로의 원인은 급성통풍으로 인한 손떨림과 감염 및 고령에의한 CKD이다.
-CKD로 인한 부종은 없는지 확인하고 손떨림이 심한지 사정하였다. CKD로 인한 부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손떨림은 다소 심해 급성통풍 약물을 투약하였다.
-2017.05.26부터 통풍치료제인 Feburic tab40mg/T을 #Daily P.C로 투약하고 신기능을 돕기위해 spirozide tab 25mg 을 #Daily P.C로 투약하고, 이뇨제인 Lasix40mg/T, Aldactone25mg/T와 을 투약하였다. 또한 spirozide tab 의 부작용으로 쇠약, 피로가 있으므로 피로회복제인 sitmol soln 10ml #3 tid P.C로 복용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목표를 향한 환자의 경과를 요약하시오.
-2017.05.23에 consult to 신장내과 하여 CKD가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2017.05.25에 consult to 류마티스내과 하여 급성통풍으로 인한 손떨림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는 곧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간호하는 날(2017.05.23)부터 CKD가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 원인에 따른 투약을 하고 피로감을 줄여주는 약물을 투여하였다.
-간호하는 날(2017.05.26)부터 급성통풍이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 원인에 따른 투약을 하고 피로감을 줄여주는 약물을 투여하였다.
-실습이 끝나는 날(2017.05.27)에 대상자는 피로감이 확연히 감소 되었다고 말했다(수화통역).
※참고문헌 및 출처
*참고문헌 :
.박정숙, 고은, 고자경 외(2013). 성인간호학 II 제7판. 서울:엘스비어코리아.
.차영남, 장효순, 공은숙, 형희경(2017).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현문사.
.와카바야시 마이, 사사키 세이, 사이토 가즈타카 외(2014).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2 제1판. 서울:한언
.와카바야시 마이, 사사키 세이, 사이토 가즈타카 외(2014).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3 제1판. 서울:한언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mbs/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문제 No. 4 : 만성질병(CKD), 급성질병(통풍)과 관련된 피로
일반적 목표 : 2017.07.01까지 대상자는 손떨림과 관련된 피로가 감소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2017.07.01까지 대상자는 신기능저하와 관련된 증상감소로 인해 피로를 느끼지 않을 것이다.
예견되는 행동적 결과 목표:
- 간호하는 날(2017.05.23) 대상자의 피로감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중재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하는 날(2017.05.23)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해 주어 실습이 끝나는 날(2017.05.27)까지 피로감이 감소될 것이다.
- 대상자는 실습이 끝나는 날(2017.05.27)까지 피로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및 반응
1. 피로감 감소를 위한 중재를 한다.
- 심할 경우 약물을 투여하고 효과를 모니터한다.
- 충분한 영양, 수분, 적절한 비타민제제 제공한다.
- 환자가 휴식하고 있는 시간을 피하여 간호수행을 제공한다.
- 근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능동적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격려한다.
2. 피로감에 대한 원인을 파악 및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관찰한다. 원인에 따른 투약 및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 과도한 신체적, 정신적 피로 여부를 모니터한다.
- 자가 간호나 간호활동시 나타나는 환자의 신체반응을 V/S로 모니터한다.
- 적절한 에너지 유지를 위해 영양섭취량을 모니터한다.
- 피로의 원인을 확인한다.
- 환자에게 신체적 제한이 있는 지 확인한다.
- 활동 중에 느끼는 불편이나 통증의 부위와 특징에 대해 모니터한다.
-필요시 투약한다.
1. 피로감 감소를 위한 중재를 한다.
-상기 환자는 중증 신기능저하 (CKD)환자로 신기능 저하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하고, 이뇨제를 투여해 신기능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환자는 급성통풍 의심 및 판단 환자로 손떨림을 감소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한다.
-충분한 영양섭취가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단백 및 염분섭취를 제한해 CKD가 더욱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환자가 깨어있는 시간에 한해 필요한 내용을 교육하였다. 현재 LAP결과 RBC 2.96↓, HGB 9.30↓, HCT 27.70↓로 빈혈이 있고 방어력 감소가 있으니 지나친 활동은 자제할 것을 교육하였다.
-근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하루에 한 두 번 정도 병동주변으로 걷는것이 좋다고 교육하였다. Lt. shoulder의 경우 윤활낭 감염으로 능동적 관절운동을 수행할 수 없으나 Rt. shoulder 와 그 외 관절의 경우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고 교육하며 시범을 보였다.
-규칙적인 시간에 일어나고, 수면할 것을 교육하고 시간을 정해 병동주변으로 걸을 것을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낮에 깨어있는 시간이 늘어났으며, 약물 투여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던 환자가 철저한 식이조절과 적당한 운동을 통해 피로감을 해소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2. 피로감에 대한 원인을 파악 및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관찰한다.
-내일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 여부를 사정하고, 통풍약물· 신기능 저하 약물 투여 후 피로여부를 사정하였다. 후에 식이요법및 운동 교육휴 다시 피로 여부를 사정하였다. 약물 투여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던 환자가 철저한 식이조절과 적당한 운동을 통해 피로감을 해소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자가간호 중 신기능 저하가 악화되어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지 확인하였다. 혈압은 다소 높거나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적절한 영양 섭취를 하는지 매일 식사량을 체크하고, 외부음식을 섭취하지는 않았는지 사정 하였다. 보호자는 식이요법과 염분섭취의 심각성에대해 교육받은 후 된장절임고추 섭취에 주의하고 점점 섭취량을 줄이다가 드시지 않도록 옆에서 돕겠다고 말하였다.
-consult to 신장내과, 류마티스내과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피로의 원인은 급성통풍으로 인한 손떨림과 감염 및 고령에의한 CKD이다.
-CKD로 인한 부종은 없는지 확인하고 손떨림이 심한지 사정하였다. CKD로 인한 부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손떨림은 다소 심해 급성통풍 약물을 투약하였다.
-2017.05.26부터 통풍치료제인 Feburic tab40mg/T을 #Daily P.C로 투약하고 신기능을 돕기위해 spirozide tab 25mg 을 #Daily P.C로 투약하고, 이뇨제인 Lasix40mg/T, Aldactone25mg/T와 을 투약하였다. 또한 spirozide tab 의 부작용으로 쇠약, 피로가 있으므로 피로회복제인 sitmol soln 10ml #3 tid P.C로 복용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목표를 향한 환자의 경과를 요약하시오.
-2017.05.23에 consult to 신장내과 하여 CKD가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2017.05.25에 consult to 류마티스내과 하여 급성통풍으로 인한 손떨림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는 곧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간호하는 날(2017.05.23)부터 CKD가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 원인에 따른 투약을 하고 피로감을 줄여주는 약물을 투여하였다.
-간호하는 날(2017.05.26)부터 급성통풍이 피로의 원인임을 파악, 원인에 따른 투약을 하고 피로감을 줄여주는 약물을 투여하였다.
-실습이 끝나는 날(2017.05.27)에 대상자는 피로감이 확연히 감소 되었다고 말했다(수화통역).
※참고문헌 및 출처
*참고문헌 :
.박정숙, 고은, 고자경 외(2013). 성인간호학 II 제7판. 서울:엘스비어코리아.
.차영남, 장효순, 공은숙, 형희경(2017).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현문사.
.와카바야시 마이, 사사키 세이, 사이토 가즈타카 외(2014).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2 제1판. 서울:한언
.와카바야시 마이, 사사키 세이, 사이토 가즈타카 외(2014).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3 제1판. 서울:한언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mbs/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