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안면홍반, 피로,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나필락시스, 스테로이드성 신증, 체중증가
Benadryl 25mg
(Diphen
-hydramine Hcl)
#1: single
아나필락시스, 알러지 반응, 근긴장 이상
위장장애, 현기증, 권태감, 신경과민, 배뇨이상, 졸음, 기립성 저혈압, 위장장애, 구갈
Lasix 200mg/a
(Furosemide)
IV q12hrs
고혈압,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복수), 급성폐부종 - 앰플, 말초혈관성 부종 - 정제
전해질 평형실조(나트륨, 수분,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배설 상승), 재생불량성 빈혈, 빈혈, 혈소판감소, BUN/크레아티닌의 상승, 발진, 두드러기, 발적, 무력감, 기립성 저혈압, 가려움, 혈압저하, 식욕부진, 급성 뇨저류, 다형홍반, 자반, 탈락피부염
3. 간호과정
간호진단
폐의 실질적 변화와 관련된 호흡기능 장애
간호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2시간 이내에 호흡 조절을 위한 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설명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수가 분당 20회 이하로 유지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SpO2가 90%이상으로 회복될 것이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올바른 호흡을 할 수 있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기침, 가래 있고 쉰 목소리 들림.
기관지음 청진 시 Rale가 들림
한 번씩 기침하시나 가래 전혀 뱉어내지 못하심
Dyspnea (+)
객담 : white thick
“가래가 목을 막고 있는 것 같아요 뱉으면 잘 나오지도 않고. 말하기도 어려워요”
간호중재
대상자의 호흡을 모니터하면서 변화에 대처하도록 함.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직접 기침과 심호흡을 선보이며 따라하도록 격려함.
대상자에게 SEMIfowler’s 체위에 대해 설명하고, 휴식 시 이러한 체위를 취하도록 침상머리를 올려줌.
호흡음을 1시간마다 청진하고, 필요와 대상자의 요구에 따라 흡인을 하여 대상자의 기도 분비물을 제거함.
수분을 섭취하여 기도 분비물을 묽게 하도록 함.
효율적인 기침과 심호흡을 교육
- 먼저 간호사가 시범을 보임. 기침: 코로 숨을 들이쉬고 잠시 멈추었다가 입으로 여러번 기침을 하도록 함. 심호흡: 코로 숨을 깊게 들이 쉬고 2~3초간 잠시 멈추었다가 입을 둥글게 오므린 상태에서 숨을 천천히 내쉬도록 함. 이 방법을 환아가 따라 하도록 하며 보호자에게도 교육을 시켜 하루에 1시간마다 3~5회 반복 하도록 함.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시행함.
간호평가
입원 후 3일 동안은 환자의 호흡이 비정상적인 양상을 보이고, 산소포화도가 80~90%의 범위에서 불규칙적이었지만 , 입원후 4일부터는 호흡 양상이 정상적이고 산소포화도가 90% 이상을 유지하였고, 호흡수가 26~32회의 범위였지만, 4일부터는 20회 이하로 호전되었다. 대상자가 이전보다 숨이 덜 차고 안정되었다고 말함.
간호진단
호흡 및 불안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월 11일까지 낮 시간에 한차례 이상 낮잠을 자지 않는다.
대상자는 1월 11일까지 밤 12시부터 아침 7시까지 한번 이상 깨지 않고 숙면을 취한다.
대상자는 퇴원까지 수면장애를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옆으로 돌아누워서 새우처럼 잠
기관지음 청진 시 Rale가 들림
ㆍ잦은 기침으로 밤에 잠을 3-4회 정도 깸.
ㆍ잠드는데 1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
ㆍ낮잠을 2-3시간 자는 것으로 부족한 수면을 보충.
ㆍ다인실 사용(7인실)으로 소음이 많음.
ㆍ폐암진단으로 인한 불안
“잠잘 때 호흡 때문에 불편해”
간호중재
ㆍ낮잠을 자지 않도록 낮에는 최대한 활동시킴
(걷기, 산책 등)
ㆍ불빛이나 기계소음 등의 외부 자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밤 시간에는 대상자의 침상 주위 커튼을 친다.
ㆍ의료인은 밤 시간대 간호제공 시 대상자가 깨어나지 않도록 최대한 조용하고 민첩하게 간호 제공
ㆍ잠이 잘 드는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ㆍ취침 전 많은 양의 식사를 피하도록 하고,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과 매운 음식을 피하도록 교육
ㆍ잠자기 전 따뜻한 우유나 코코아 등을 마시도록 한다. (우유와 코코아 속에는 수면을 유도하는 자연산 아미노산 L-Tryptophan이 들어있다.)
ㆍ취침 전 따뜻한 온수목욕을 하도록 한다.
ㆍ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투여. (단기간 사용)
ㆍ대상자의 수면의 양과 질이 좋아졌는지 매일 아침마다 평가.
간호평가
환자는 수면의 질이 전보다는 많이 좋아졌지만 중간중간 깰때가 있긴 하다고 함
간호진단
불충분한 교육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ㆍ천식에 대해 교육받고 대상자가 스스로 더 궁금한 점을 질문한다.
ㆍ자신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ㆍ약물치료의 의미를 이해하고 필요성을 인식한다.
ㆍ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서 이해하고 자신의 건강상태를 말할 수 있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
ㆍ”폐암 대해 좀 알려줄수 있어?“
ㆍ”치료방법 절차 좀알려죠“
간호중재
1. 대상자의 현재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2. 대상자의 보호자의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3. 대상자의 지식 수준에 맞춰 대상자에게 질병에 대해 교육함.
4. 교육 시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대상자가 편한 시간에 실시.
5.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함.
6. 교육 시 소책자등 교육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교육함.
7. 교육 후 대상자에게 교육 받은 내용에 대해 다시 말해보도록 함.
8.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에 대해 설명하고 약물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함.
간호평가
자료 수집 마무리할때까지 환자는 자신이 어떤약을 먹고 있고 어떠한 진행상태를 확인 할수 있었으며 앞으로 진행될 방향에 대해 알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음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일곱째판Ⅰ 김금순 외 수문사 2012년
포켓간호진단 가이드 고성희 외 현문사 2002년
간호과정 성미혜 외 정문각 2011년
약학정보원 www.health.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Nursing Diagnoses) 2012 - 2014
Benadryl 25mg
(Diphen
-hydramine Hcl)
#1: single
아나필락시스, 알러지 반응, 근긴장 이상
위장장애, 현기증, 권태감, 신경과민, 배뇨이상, 졸음, 기립성 저혈압, 위장장애, 구갈
Lasix 200mg/a
(Furosemide)
IV q12hrs
고혈압,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복수), 급성폐부종 - 앰플, 말초혈관성 부종 - 정제
전해질 평형실조(나트륨, 수분,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배설 상승), 재생불량성 빈혈, 빈혈, 혈소판감소, BUN/크레아티닌의 상승, 발진, 두드러기, 발적, 무력감, 기립성 저혈압, 가려움, 혈압저하, 식욕부진, 급성 뇨저류, 다형홍반, 자반, 탈락피부염
3. 간호과정
간호진단
폐의 실질적 변화와 관련된 호흡기능 장애
간호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2시간 이내에 호흡 조절을 위한 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설명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수가 분당 20회 이하로 유지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SpO2가 90%이상으로 회복될 것이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올바른 호흡을 할 수 있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기침, 가래 있고 쉰 목소리 들림.
기관지음 청진 시 Rale가 들림
한 번씩 기침하시나 가래 전혀 뱉어내지 못하심
Dyspnea (+)
객담 : white thick
“가래가 목을 막고 있는 것 같아요 뱉으면 잘 나오지도 않고. 말하기도 어려워요”
간호중재
대상자의 호흡을 모니터하면서 변화에 대처하도록 함.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직접 기침과 심호흡을 선보이며 따라하도록 격려함.
대상자에게 SEMIfowler’s 체위에 대해 설명하고, 휴식 시 이러한 체위를 취하도록 침상머리를 올려줌.
호흡음을 1시간마다 청진하고, 필요와 대상자의 요구에 따라 흡인을 하여 대상자의 기도 분비물을 제거함.
수분을 섭취하여 기도 분비물을 묽게 하도록 함.
효율적인 기침과 심호흡을 교육
- 먼저 간호사가 시범을 보임. 기침: 코로 숨을 들이쉬고 잠시 멈추었다가 입으로 여러번 기침을 하도록 함. 심호흡: 코로 숨을 깊게 들이 쉬고 2~3초간 잠시 멈추었다가 입을 둥글게 오므린 상태에서 숨을 천천히 내쉬도록 함. 이 방법을 환아가 따라 하도록 하며 보호자에게도 교육을 시켜 하루에 1시간마다 3~5회 반복 하도록 함.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시행함.
간호평가
입원 후 3일 동안은 환자의 호흡이 비정상적인 양상을 보이고, 산소포화도가 80~90%의 범위에서 불규칙적이었지만 , 입원후 4일부터는 호흡 양상이 정상적이고 산소포화도가 90% 이상을 유지하였고, 호흡수가 26~32회의 범위였지만, 4일부터는 20회 이하로 호전되었다. 대상자가 이전보다 숨이 덜 차고 안정되었다고 말함.
간호진단
호흡 및 불안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월 11일까지 낮 시간에 한차례 이상 낮잠을 자지 않는다.
대상자는 1월 11일까지 밤 12시부터 아침 7시까지 한번 이상 깨지 않고 숙면을 취한다.
대상자는 퇴원까지 수면장애를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옆으로 돌아누워서 새우처럼 잠
기관지음 청진 시 Rale가 들림
ㆍ잦은 기침으로 밤에 잠을 3-4회 정도 깸.
ㆍ잠드는데 1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
ㆍ낮잠을 2-3시간 자는 것으로 부족한 수면을 보충.
ㆍ다인실 사용(7인실)으로 소음이 많음.
ㆍ폐암진단으로 인한 불안
“잠잘 때 호흡 때문에 불편해”
간호중재
ㆍ낮잠을 자지 않도록 낮에는 최대한 활동시킴
(걷기, 산책 등)
ㆍ불빛이나 기계소음 등의 외부 자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밤 시간에는 대상자의 침상 주위 커튼을 친다.
ㆍ의료인은 밤 시간대 간호제공 시 대상자가 깨어나지 않도록 최대한 조용하고 민첩하게 간호 제공
ㆍ잠이 잘 드는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ㆍ취침 전 많은 양의 식사를 피하도록 하고,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과 매운 음식을 피하도록 교육
ㆍ잠자기 전 따뜻한 우유나 코코아 등을 마시도록 한다. (우유와 코코아 속에는 수면을 유도하는 자연산 아미노산 L-Tryptophan이 들어있다.)
ㆍ취침 전 따뜻한 온수목욕을 하도록 한다.
ㆍ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투여. (단기간 사용)
ㆍ대상자의 수면의 양과 질이 좋아졌는지 매일 아침마다 평가.
간호평가
환자는 수면의 질이 전보다는 많이 좋아졌지만 중간중간 깰때가 있긴 하다고 함
간호진단
불충분한 교육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ㆍ천식에 대해 교육받고 대상자가 스스로 더 궁금한 점을 질문한다.
ㆍ자신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ㆍ약물치료의 의미를 이해하고 필요성을 인식한다.
ㆍ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서 이해하고 자신의 건강상태를 말할 수 있다.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
ㆍ”폐암 대해 좀 알려줄수 있어?“
ㆍ”치료방법 절차 좀알려죠“
간호중재
1. 대상자의 현재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2. 대상자의 보호자의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함.
3. 대상자의 지식 수준에 맞춰 대상자에게 질병에 대해 교육함.
4. 교육 시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주고 대상자가 편한 시간에 실시.
5. 질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함.
6. 교육 시 소책자등 교육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교육함.
7. 교육 후 대상자에게 교육 받은 내용에 대해 다시 말해보도록 함.
8.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에 대해 설명하고 약물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함.
간호평가
자료 수집 마무리할때까지 환자는 자신이 어떤약을 먹고 있고 어떠한 진행상태를 확인 할수 있었으며 앞으로 진행될 방향에 대해 알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음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일곱째판Ⅰ 김금순 외 수문사 2012년
포켓간호진단 가이드 고성희 외 현문사 2002년
간호과정 성미혜 외 정문각 2011년
약학정보원 www.health.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Nursing Diagnoses) 2012 - 2014
키워드
추천자료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급성신질환 (Acute Kidney Injury) case study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