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간호의 네 개념
-간호
-인간
-건강
-환경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간호의 네 개념
-간호
-인간
-건강
-환경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로저스
(Rogers, M. E.)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며 환자를 돌보고 장애인의 재활에 따뜻한 관심을 보이는 인본주의 과학
왓슨
(Watson, J.)
전문적, 개인적, 과학적, 미학적 및 윤리적인 인간 교류작용에 의해 중재되는 건강-질병-치유경험에 대한 인간과학
오렘
(Orem, D. E)
인간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제한을 받을 때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것
간호이론가들의 간호에 대한 정의
간호사의 역할
돌봄 제공자, 교육자, 옹호자, 상담자, 변화 촉진자, 지도자, 관리자, 사례관리자, 연구자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의 특성
(1) 자율성
내적인 일이나 개인의 업무 행위에 있어서 사회적 통제로부터 자유로움을 의미한다. 즉 자율성은 그 직업이 전문직인가를 판단해 주는 특성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전문단체들은 각자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한다.
(2) 윤리강령
의료대상자와 가장 많이 대면하고 그들의 생명을 돌보는 간호사에게 있어 전문직의 특성 중 하나인 윤리강령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한국 간호사윤리강령이 제정된 배경은 간호사의 자율적인 통제의 표준을 사회에 알리고 구성원들에게 지키도록 권유하기 위함이다. 간호사윤리강령의 목적은 인류건강과 사회복지를 지향하며, 간호사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3) 전문지식
전문직은 실무수행의 기초가 되는 전문지식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전문지식은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숙련 기능인과 전문가의 판별기준이 바로 직무수행의 기초가 되는 확고한 이론적 전문지식체의 유무라고 할 수 있다.
3.결론
간호의 네 가지 개념에 대해 조사하면서 아직도 많이 부족하지만 전에 비해 막연히 알고 있던 것들을 조금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호의 네 가지 개념에 대하여 알면 알아갈수록 간호학을 배움에 있어서 기초적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간호에 대한 의미를 항상 상기시키며 간호학도로서 능동적인 배움의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4.참고문헌
대한간호학회(1996).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고명숙 외 공저(2015). 간호학개론. 파주: 수문사 (p.36~45)
송경애 외 공저(2014). 최신 기본간호학(상). 파주: 수문사 (p.17~119)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805600 에서 검색
로저스
(Rogers, M. E.)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며 환자를 돌보고 장애인의 재활에 따뜻한 관심을 보이는 인본주의 과학
왓슨
(Watson, J.)
전문적, 개인적, 과학적, 미학적 및 윤리적인 인간 교류작용에 의해 중재되는 건강-질병-치유경험에 대한 인간과학
오렘
(Orem, D. E)
인간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제한을 받을 때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것
간호이론가들의 간호에 대한 정의
간호사의 역할
돌봄 제공자, 교육자, 옹호자, 상담자, 변화 촉진자, 지도자, 관리자, 사례관리자, 연구자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의 특성
(1) 자율성
내적인 일이나 개인의 업무 행위에 있어서 사회적 통제로부터 자유로움을 의미한다. 즉 자율성은 그 직업이 전문직인가를 판단해 주는 특성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전문단체들은 각자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한다.
(2) 윤리강령
의료대상자와 가장 많이 대면하고 그들의 생명을 돌보는 간호사에게 있어 전문직의 특성 중 하나인 윤리강령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한국 간호사윤리강령이 제정된 배경은 간호사의 자율적인 통제의 표준을 사회에 알리고 구성원들에게 지키도록 권유하기 위함이다. 간호사윤리강령의 목적은 인류건강과 사회복지를 지향하며, 간호사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3) 전문지식
전문직은 실무수행의 기초가 되는 전문지식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전문지식은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숙련 기능인과 전문가의 판별기준이 바로 직무수행의 기초가 되는 확고한 이론적 전문지식체의 유무라고 할 수 있다.
3.결론
간호의 네 가지 개념에 대해 조사하면서 아직도 많이 부족하지만 전에 비해 막연히 알고 있던 것들을 조금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호의 네 가지 개념에 대하여 알면 알아갈수록 간호학을 배움에 있어서 기초적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간호에 대한 의미를 항상 상기시키며 간호학도로서 능동적인 배움의 자세를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4.참고문헌
대한간호학회(1996).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고명숙 외 공저(2015). 간호학개론. 파주: 수문사 (p.36~45)
송경애 외 공저(2014). 최신 기본간호학(상). 파주: 수문사 (p.17~119)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805600 에서 검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