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 선택 이유
Ⅱ.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의 이론적 배경 및 원리
1) 피아제의 도덕발달의 인지 발달적 접근
2) 듀이의 교육목적으로서의 발달
3) 롤즈의 정의 원리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3.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의 특징
4. 콜버그 도덕교육
5. 콜버그 이론의 시사점
6. 콜버그 이론에 대한 비판
Ⅲ. 나의 사례(사례1~4)
1. 사례 1 : 교통 법규
2. 사례 2 : 규정과 친구 사이에서의 갈등
3. 사례 3 : 과제 제출
4. 사례 4 : 거스름 돈
Ⅳ. 콜버그 이론의 교육적 적용
1. 경험 사례에 적용할 주요 교수 ․ 학습 방법
1) 교사의 문제제기
2) 학생들의 경험(실제 경험, 역할극)
3) 교사와 학생, 학생간의 상호 토론과 대화
2. 평가 : 관찰평가
1) 교사평가
2) 자기평가
3. 도덕 수업에 경험 사례 적용
Ⅴ. 느낀점
Ⅵ. 참고문헌
Ⅱ.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의 이론적 배경 및 원리
1) 피아제의 도덕발달의 인지 발달적 접근
2) 듀이의 교육목적으로서의 발달
3) 롤즈의 정의 원리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3. 콜버그 도덕성 발달 단계의 특징
4. 콜버그 도덕교육
5. 콜버그 이론의 시사점
6. 콜버그 이론에 대한 비판
Ⅲ. 나의 사례(사례1~4)
1. 사례 1 : 교통 법규
2. 사례 2 : 규정과 친구 사이에서의 갈등
3. 사례 3 : 과제 제출
4. 사례 4 : 거스름 돈
Ⅳ. 콜버그 이론의 교육적 적용
1. 경험 사례에 적용할 주요 교수 ․ 학습 방법
1) 교사의 문제제기
2) 학생들의 경험(실제 경험, 역할극)
3) 교사와 학생, 학생간의 상호 토론과 대화
2. 평가 : 관찰평가
1) 교사평가
2) 자기평가
3. 도덕 수업에 경험 사례 적용
Ⅴ. 느낀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이들은 이 체크리스트를 보며 자신이 수업시간에 얼마나 수업에 참여하려고 했고, 문제 상황에 대해 얼마나 알게 되었는지 체크를 한다. 아이들 스스로 자기 평가 를 하라고 하면 부정직하게 평가하는 아이들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위해 교사 는 자신이 체크한 체크리스트와 아이들이 체크한 체크리스트를 적절하게 섞어서 최종 적으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3. 도덕 수업에 경험 사례 적용
* 나의 실제 경험 사례를 그대로 학급에서 수업시간에 적용한다면 아이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사례들이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아이들의 상황에 맞게 교사가 적절하게 수정해서 수업에 적용하도록 한다.
*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 발달 수준을 분석하고 그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이끌기 위해서 적절한 발문을 하도록 한다.
1) 교사의 문제제기(사례 3 : 과제 제출)
초등학생들에게는 ‘과제’라는 단어보다 ‘숙제’라는 단어로 적용하고, 선배에게 받은 것 보다 옆 반 친구에게 숙제를 받은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나’가 아닌 ‘민수’나 ‘철수’등의 특정 인물을 제시한다.
(1)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러한 문제 상황을 먼저 제시해 준다.
(2) 학생들이 문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발문을 한다.
- 민수가 지금 어떤 상황에 처해 있니?
(3) 학생들이 문제 상황을 이해했다면 이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한다.
(4) 교사는 학생들에게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할 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5) 교사가 학생들의 반응을 정리하며 수업을 마무리한다.
2) 학생들의 경험(실제 경험, 역할극)(사례 1 : 교통 법규/사례 4 : 거스름 돈)
아이들은 운전을 못하기 때문에 길을 건너는 예로 적용한다.(실제 경험)
* 사례 1
(1) 학생들에게 수업시간에 나가서 직접 길을 건너보도록 하는 방법과 아이들이 예전 에 경험했던 교통 법규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한다.
(2)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의 도덕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3)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성을 분석하며 수업을 마무리 한다.
* 사례 2(역할극)
(1) 짝을 지어서 한 명은 마트 주인, 한 명은 손님이 되어 보도록 한다.
(2) 나의 실례에 제시된 상황을 역할극을 통해 알아보도록 한다.
(3) 서로 역할을 바꾸어 가며 수업을 진행한다.
(4) 서로 마트 주인이라면, 손님이라면 어떻게 할 지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5) 이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성을 판단한다.
3) 교사와 학생, 학생간의 상호 토론과 대화(사례 2 : 규정과 친구 사이에서의 갈등)
초등학생들에게는 ‘선도’라는 말이 어렵게 다가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상황으로 바꾸어서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예를 들면 ‘떠든 사람 이름 적기’를 들 수 있다.
(1) 모둠으로 나누어서 어떠한 문제 상황에 대해 토론하도록 한다.
- 어떤 결정을 내리겠니?
- 왜 그런 결정을 내렸니?
- 다른 친구들도 그렇게 생각할까?
(2) 이 때 교사는 토론이 잘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예를 들면, 한 모둠의 의견이 한 단계로 모아졌다면 그 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단계로 이끌기 위해 교사는 그에 맞 는 적절한 발문을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비평형화를 겪게 한다. 하지만 어떠한 모 둠에 토론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면 교사는 그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그 이유에 맞는 발문을 하여 토론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3) 각 모둠별로 토론의 결과를 발표한다.
(4) 교사는 이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고 수업을 마무리한다.
Ⅴ. 느낀 점
이 과제를 하기 전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궁금하고 확실히 알아보기 위해서 야심차게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 이론에 대해 조사하는 동안에 이와 관련된 자료도 많고 찾아볼 것도 많아서 힘들었다. 그래서 ‘이 이론 말고 다른 이론을 조사할까?’하는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처음의 마음 가짐 그대로 콜버그에 대해 조사하기로 했고 지금은 이 과제를 끝낸 상태이다.
콜버그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도서관에 갔다. 두 군데를 갔는데, 콜버그에 관한 책이 한정적으로 있어서 일단 그 책들로 조사를 하고 부족하다고 느껴서 인터넷으로 더 많 은 자료를 찾아보았다. 콜버그에 관한 자료는 많아서 힘들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좋 기도 했다. 이렇게 자료 조사를 하는 동안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더 자 세히 알게 되었고, 나의 사례를 이 이론에 맞게 분석하면서 도덕 발달 단계에 대해 더 확실히 알게 되어서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조사하기로 한 이유가 나의 도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라고 앞에서 언급했다. 이 이론 을 토대로 나의 사례를 분석해 보니 조금은 나의 도덕성이 몇 단계에 있는지 알 것 같 다. 물론 사례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알게 되니 기분이 좋았다.
과제를 하는 동안에는 너무 힘들고 하기 싫었지만 과제를 해보고 나니까 수업시간에 배울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수업시간에 접근하지 못한 부분까지 알게 되어서 너무 좋 은 과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Ⅵ. 참고문헌
문용린·유경재·원현주, 2008,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학지사
문용린, 2000,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이영문, 2011,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하우
B.차잔 저, 박장호 역, 2002, 『도덕교육론』, 형설출판사
이성미, 2009,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과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경종, 2008, 「고등학교 사회과 법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 법교육 교수법을 중심으 로」, 조선대학교
위키 백과사전
http://cafe.daum.net/windymoraledu
http://blog.naver.com/tcc2?Redirect=Log&logNo=90119377587
http://blog.naver.com/jhs016ok?Redirect=Log&logNo=90116441425
http://blog.naver.com/nesnet11?Redirect=Log&logNo=120108795658
3. 도덕 수업에 경험 사례 적용
* 나의 실제 경험 사례를 그대로 학급에서 수업시간에 적용한다면 아이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사례들이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아이들의 상황에 맞게 교사가 적절하게 수정해서 수업에 적용하도록 한다.
*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 발달 수준을 분석하고 그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이끌기 위해서 적절한 발문을 하도록 한다.
1) 교사의 문제제기(사례 3 : 과제 제출)
초등학생들에게는 ‘과제’라는 단어보다 ‘숙제’라는 단어로 적용하고, 선배에게 받은 것 보다 옆 반 친구에게 숙제를 받은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나’가 아닌 ‘민수’나 ‘철수’등의 특정 인물을 제시한다.
(1)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러한 문제 상황을 먼저 제시해 준다.
(2) 학생들이 문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발문을 한다.
- 민수가 지금 어떤 상황에 처해 있니?
(3) 학생들이 문제 상황을 이해했다면 이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한다.
(4) 교사는 학생들에게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할 지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5) 교사가 학생들의 반응을 정리하며 수업을 마무리한다.
2) 학생들의 경험(실제 경험, 역할극)(사례 1 : 교통 법규/사례 4 : 거스름 돈)
아이들은 운전을 못하기 때문에 길을 건너는 예로 적용한다.(실제 경험)
* 사례 1
(1) 학생들에게 수업시간에 나가서 직접 길을 건너보도록 하는 방법과 아이들이 예전 에 경험했던 교통 법규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한다.
(2)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의 도덕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3)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성을 분석하며 수업을 마무리 한다.
* 사례 2(역할극)
(1) 짝을 지어서 한 명은 마트 주인, 한 명은 손님이 되어 보도록 한다.
(2) 나의 실례에 제시된 상황을 역할극을 통해 알아보도록 한다.
(3) 서로 역할을 바꾸어 가며 수업을 진행한다.
(4) 서로 마트 주인이라면, 손님이라면 어떻게 할 지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5) 이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성을 판단한다.
3) 교사와 학생, 학생간의 상호 토론과 대화(사례 2 : 규정과 친구 사이에서의 갈등)
초등학생들에게는 ‘선도’라는 말이 어렵게 다가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상황으로 바꾸어서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예를 들면 ‘떠든 사람 이름 적기’를 들 수 있다.
(1) 모둠으로 나누어서 어떠한 문제 상황에 대해 토론하도록 한다.
- 어떤 결정을 내리겠니?
- 왜 그런 결정을 내렸니?
- 다른 친구들도 그렇게 생각할까?
(2) 이 때 교사는 토론이 잘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예를 들면, 한 모둠의 의견이 한 단계로 모아졌다면 그 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단계로 이끌기 위해 교사는 그에 맞 는 적절한 발문을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비평형화를 겪게 한다. 하지만 어떠한 모 둠에 토론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면 교사는 그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그 이유에 맞는 발문을 하여 토론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3) 각 모둠별로 토론의 결과를 발표한다.
(4) 교사는 이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고 수업을 마무리한다.
Ⅴ. 느낀 점
이 과제를 하기 전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궁금하고 확실히 알아보기 위해서 야심차게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 이론에 대해 조사하는 동안에 이와 관련된 자료도 많고 찾아볼 것도 많아서 힘들었다. 그래서 ‘이 이론 말고 다른 이론을 조사할까?’하는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처음의 마음 가짐 그대로 콜버그에 대해 조사하기로 했고 지금은 이 과제를 끝낸 상태이다.
콜버그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도서관에 갔다. 두 군데를 갔는데, 콜버그에 관한 책이 한정적으로 있어서 일단 그 책들로 조사를 하고 부족하다고 느껴서 인터넷으로 더 많 은 자료를 찾아보았다. 콜버그에 관한 자료는 많아서 힘들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좋 기도 했다. 이렇게 자료 조사를 하는 동안에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 대해 더 자 세히 알게 되었고, 나의 사례를 이 이론에 맞게 분석하면서 도덕 발달 단계에 대해 더 확실히 알게 되어서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조사하기로 한 이유가 나의 도덕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라고 앞에서 언급했다. 이 이론 을 토대로 나의 사례를 분석해 보니 조금은 나의 도덕성이 몇 단계에 있는지 알 것 같 다. 물론 사례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알게 되니 기분이 좋았다.
과제를 하는 동안에는 너무 힘들고 하기 싫었지만 과제를 해보고 나니까 수업시간에 배울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수업시간에 접근하지 못한 부분까지 알게 되어서 너무 좋 은 과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Ⅵ. 참고문헌
문용린·유경재·원현주, 2008,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학지사
문용린, 2000,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이영문, 2011,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하우
B.차잔 저, 박장호 역, 2002, 『도덕교육론』, 형설출판사
이성미, 2009,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과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경종, 2008, 「고등학교 사회과 법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 법교육 교수법을 중심으 로」, 조선대학교
위키 백과사전
http://cafe.daum.net/windymoraledu
http://blog.naver.com/tcc2?Redirect=Log&logNo=90119377587
http://blog.naver.com/jhs016ok?Redirect=Log&logNo=90116441425
http://blog.naver.com/nesnet11?Redirect=Log&logNo=12010879565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