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치료의 상담목표 및 상담과정 인간중심상담기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치료의 상담목표 및 상담과정 인간중심상담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간중심적 상담

I. 상담목표

II. 상담과정
1. 상담의 조건
2. 상담과정
1) 전체적인 상담과정
2) 내담자가 경험하는 상담과정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4단계
(5) 5단계
(6) 6단계
(7) 7단계

III. 상담기법
1. 진솔성
2.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3. 공감적 이해

IV. 요약 및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진솔성과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이 내담자를 대할 때 상담자가 유지해야 할 기본적 자세나 태도와 관련된다면, 공감적 이해는 그것들을 실제로 구현하는 것과 관련된다. 즉, 상담자는 진솔성과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공감적 이해를 통해 내담자와 소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감적 이해는 여기와 지 롬here and now)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을 상담자가 민감하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즉, 현재 내담자의 내면적 감정이 마치 상담자 자신의 감정인 것처럼 느껴진다. 내담자는 상담자의 공감적 이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이지만 그 의미가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던 감정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 자신에 대한 진정한 경험과 접촉을 확대시켜 나가도록 해준다고볼 수 있다. 내담자는 이런 공감적 이해를 통해 이제까지 부정되고 왜곡되었던 내담자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고 느끼고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담자가 공감적 이해를 잘 하기 위해서는 내담자의 입장에 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담자에게는 심정적, 인간적으로 자신과 내담자를 동일한 입장에 설 수 있도록 하는 풍부한 정서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상력을 통해 내담자의 내적 세계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경험하는 것이 공감적 이해의 첫 걸음인 셈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상담자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들이 개입되면 공감적 이해가 힘들어진다. 또한 반대로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세계에 동참한다고 해서 상담자로서의 주체성이나 본연의 자세를 잊어버리는 것 역시 공감적 이해와는 거리가 먼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상담자는 자신의 처지와 입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내담자의 입장이 되어 거기에서 보고 느낀 것의 의미를 내담자에게 전달해 주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상담자의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의 주관적 세계를 경험하되 자신의 사사로운 의견이나 감정을 덧붙이지 않으며, 내담자의 감정에 동참하되 거기에 함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공감이란 상담자가 자신의 본연의 정체는 그대로 유지한 채 마치 자신이 내담자인 것처럼(as if) 내담자의 내면경험을 대리 체험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마치 금관악기에 호흡을 불어넣을 때 멋진 음악소리가 흘러나오는 것처럼, '상담자라는 악기 안에 내담자의 이야기가 흘러들어와 공명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감적 이해는 하나의 정지된 상태이거나 단일한 에피소드가 아니다. 공감은 '내담자의 지각세계로 들어가 머물기 -> 순간순간 감지된 의미(left meaning)들에 민감해지기 -> 판단 없이 내담자의 삶을 일시적으로 체험하기 -> 체험된 느낌을 전달하기 -> 그 정확성을 점검하기' 등의 일련의 연속적 과정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공감적 이해가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접촉과 이해를 넓혀 나감으로써 진정한 자기를 있는 그대로 발견할 수 있도록 성장지향적인 방향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Patterson, 1986). 이러한 공감적 이해를 통해 내담자는 소외된 마음과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내담자 자신의 있는 모습 그대로가 가치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내담자의 자유로운 자기탐색과 이해가 증가하며, 자기수용과 성장이 가능해지게 된다.
IV. 요악 및 평가
인간중심 접근에서는 인간을 합리적, 생산적, 사회적, 전진적으로 보고, 각 개인은 성장과 자기실현을 하는 잠재능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심리적 부적응을 겪는 사람들은 그의 자아와 위협적인 경험 간의 부조화 때문이다. 이들은 자아개념과 불일치하는 경험들에 의해 방어적으로 반응하고 부정하며 왜곡한다. 상담이란 부조화된 경험들이 자아에 의해서 인식되고 변별되며 자아에 동화되거나 통합될 수 있는 관계성을 제공하는 과정이다. 인간중심 상담은 상담의 기법 그 자체가 아니라 상담자의 인격, 신념, 태도와 내담자와의 관계에 관심을 갖는다. 상담의 주요 틀로는 상담자의 일치성, 무조건적 관심, 수용, 공감적 이해이며, 주로 내담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감정적인 면들을 수용하고 인식하게 하며 내담자가 자아실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동기화하도록 돕는 것을 상담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인간중심 상담접근은 해석이나 진단, 무의식의 진술을 중시하지 않아 장기간의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담을 가능하게 하여 많은 상담장면에서 적용되고 있다. 또한 인간에 대해 성장가능성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존재로 보는 긍정적인 인간관을 갖게 하고 상담에서 내담자의 주도성이나 결정능력을 인정하고 가치 있게 볼 수 있도록 해주어 상담자의 임의적 판단에 의해 상담의 방향을 잘못 설정하거나 내담자의 바램과 다르게 상담이 진행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상담자로서의 태도와 상담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상담자 자신의 인격적 성장과 자아실현 경향성이 상담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일깨워 준 점은 상담에 공헌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은 비록 실제의 세계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것의 존재는 알 수 없거나 또는 직접 경험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인간은 단지 자기의 현상세계만을 알 수 있을 뿐이지 어떠한 실제의 세계도 알 수 없다는 현상학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현상학적 접근은 다분히 결정론적 요소를 띠고 있어, 로저스가 인간에게 자유와 선택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한 것처럼 보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것은 자유와 선택의 경험화나 지각화를 의미하는 것일 뿐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2.26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