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장관 튜브
2. 비위관과 비장관 삽입 대상자 간호
3. 흡인
4. 비위관과 비장관을 통한 영양공급
5. 관의 제거
2. 비위관과 비장관 삽입 대상자 간호
3. 흡인
4. 비위관과 비장관을 통한 영양공급
5. 관의 제거
본문내용
다 저렴함
- 장기간 경관급식이 필요한 경우 식도루술, 위루술, 공장루를 시행하여 관을 삽입하기도 함
(1) 경관 유동식의 농도
- 경관 유동식은 체내 수분균형 유지를 위해 삼투와 삼투질농도를 적절하게 주입
- 체액의 정상 삼투압 : 약 300mOsm/kg
- 삼투압은 유문을 지나 영양을 공급받는 대상자에게 매우 중요
- 삼투압이 높은 진한 용액을 많이 주입하면 물이 조직과 혈관에서 위나 장으로 이동함
(2) 경관영양 대상자 간호
① 경관영양 주입과정
- 튜브로 영양을 공급할 때는 모든 면에서 청결해야함
- 영양액은 4시간마다 신선한 것으로 주입 →세균 감염을 줄이기 위해
- 영양액을 주입하기 전에 항상 남아있는 위 내용물을 먼저 확인
- 중력으로 영양을 공급할 때는 위보다 높게 매달아 속도를 조절
- 약물이나 영양액을 주입하기 전과 후, 계속 주입하여 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고, 세균 성장의 기회를 감소시킴
② 배변양상 조절
- 비위관이나 비장관으로 영양을 공급받는 대상자는 보통 24시간 동안 3회 이상 묽은 설사를 함
- 치료에 사용되는 식이는 대부분 섬유질이 없음 → 대개 변이 묽음
- 아연결핍, 오염된 식이, 영양결핍, 약물치료 등이 설사를 유발
③ 기도 간호
-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영양액 주입 전에 매번 튜브의 위치를 확인
- 역류를 막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줌
- 대상자의 상체를 30° 정도 올림
④ 적절한 체액 유지
- 고장성 탈수를 방지 → 매 4~6시간마다 식이 주입 후에 물을 공급
- 주입 초기에는 식이를 적어도 2배 정도 희석, 한번에 50~100 mL 이상 주입하지 않음
- 계속 주입하는 경우에는 시간당 40~60 mL를 주입
⑤ 대응능력 증진
- 매일 점진적으로 나아진다는 희망을 주고 치료계획을 따르도록 격려
⑥ 대상자 교육
- 간호사는 음식물 주입절차를 관찰하면서 퇴원 전에 필요한 기구, 식이 구입과 저장, 주입방법 교육
5. 관의 제거
- 제거 하루 전 간헐적으로 관을 잠가 오심, 구토, 팽만 확인
- 제거 전 N/S 10cc 주입 → 찌꺼기 제거, 위 점막 상처 예방
- 풍선 사용 시 공기나 수은 제거
- 부드럽고 천천히 10분마다 15~20cm 제거, 완전 제거 후 구강간호 수행
참고문헌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p 392~393, 수문사, 2016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p339~346, 현문사, 2013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Voulime 1 p422~424, 2013
- 장기간 경관급식이 필요한 경우 식도루술, 위루술, 공장루를 시행하여 관을 삽입하기도 함
(1) 경관 유동식의 농도
- 경관 유동식은 체내 수분균형 유지를 위해 삼투와 삼투질농도를 적절하게 주입
- 체액의 정상 삼투압 : 약 300mOsm/kg
- 삼투압은 유문을 지나 영양을 공급받는 대상자에게 매우 중요
- 삼투압이 높은 진한 용액을 많이 주입하면 물이 조직과 혈관에서 위나 장으로 이동함
(2) 경관영양 대상자 간호
① 경관영양 주입과정
- 튜브로 영양을 공급할 때는 모든 면에서 청결해야함
- 영양액은 4시간마다 신선한 것으로 주입 →세균 감염을 줄이기 위해
- 영양액을 주입하기 전에 항상 남아있는 위 내용물을 먼저 확인
- 중력으로 영양을 공급할 때는 위보다 높게 매달아 속도를 조절
- 약물이나 영양액을 주입하기 전과 후, 계속 주입하여 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고, 세균 성장의 기회를 감소시킴
② 배변양상 조절
- 비위관이나 비장관으로 영양을 공급받는 대상자는 보통 24시간 동안 3회 이상 묽은 설사를 함
- 치료에 사용되는 식이는 대부분 섬유질이 없음 → 대개 변이 묽음
- 아연결핍, 오염된 식이, 영양결핍, 약물치료 등이 설사를 유발
③ 기도 간호
-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영양액 주입 전에 매번 튜브의 위치를 확인
- 역류를 막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줌
- 대상자의 상체를 30° 정도 올림
④ 적절한 체액 유지
- 고장성 탈수를 방지 → 매 4~6시간마다 식이 주입 후에 물을 공급
- 주입 초기에는 식이를 적어도 2배 정도 희석, 한번에 50~100 mL 이상 주입하지 않음
- 계속 주입하는 경우에는 시간당 40~60 mL를 주입
⑤ 대응능력 증진
- 매일 점진적으로 나아진다는 희망을 주고 치료계획을 따르도록 격려
⑥ 대상자 교육
- 간호사는 음식물 주입절차를 관찰하면서 퇴원 전에 필요한 기구, 식이 구입과 저장, 주입방법 교육
5. 관의 제거
- 제거 하루 전 간헐적으로 관을 잠가 오심, 구토, 팽만 확인
- 제거 전 N/S 10cc 주입 → 찌꺼기 제거, 위 점막 상처 예방
- 풍선 사용 시 공기나 수은 제거
- 부드럽고 천천히 10분마다 15~20cm 제거, 완전 제거 후 구강간호 수행
참고문헌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p 392~393, 수문사, 2016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p339~346, 현문사, 2013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Voulime 1 p422~424, 2013
키워드
추천자료
위장관 삽관과 특별 영양 관리
위장관 삽관
위장관 삽입 환자 간호
경장영양공급의 적응증, 관삽입부위 및 관의 형태와 합병증 및 공급방법
각종 배액관 간호 (Tracheostomy Tube (T-tube), Levin Tube (L-tube), Foley Catheter, Hemo...
뇌내출혈 (ICH) 사정
big5 및 병원 간호사 면접 질문 및 이론 (딸기책 외 전공책 모두 동원하여 작성한것)
중환자실 영양관리 정리 요약
NG tube와 PEG 차이점 , 코위영양관과 위루술 , 코위영양관과 경피적내시경위조로술 ,비위관
[간호학] 위장관 삽관과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