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 정신분열병(정신분열증)의 원인과 임상적 특징 정신분열증(정신분열병)의 진단기준 및 치료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열병] 정신분열병(정신분열증)의 원인과 임상적 특징 정신분열증(정신분열병)의 진단기준 및 치료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신분열병

I. 정신분열병의 원인
1. 스트레스-취약성 극복 모형
2. 생물학적 요인
3. 유전적 성향
4. 심리사회적 요인
5. 사회문화적 요인

II. 정신분열병의 임상적 특징
1. 전체적인 태도 및 행동
2. 지각의 이상
3. 망상
4. 언행과 정서
5. 운동기능의 장애

III. 정신분열병의 진단 및 경과
1. 진단기준
2. 경과

IV. 정신분열병의 치료
1. 약물치료
2. 정신사회재활치료
1) 환경요법
2) 정신과 낮병원, 밤병원
3) 사회기술훈련
4) 가족치료 및 교육
5) 사회복귀시설을 통한 지역사회 적응 프로그램
6) 직업재활치료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신사회재활치료가 필요한 것이다. 약물치료와 정신사회재활치료를 병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최근의 세계적인 치료동향을 이루고 있다.
1) 환경요법
환경요법(milieu therapy) 은 환자를 주립정신병원처럼 큰 병원에서 수용, 치료하지 않고 가족적인 분위기를 갖춘 작은 병원에서 건강한 사람들과 공동생활을 하며 치료하는 방법으로 유럽과 미국에서 오래 전부터 실시되어 온 치료공동체(therapeutic community)의 전신이다.
치료공동체로서의 정신병원은 병원시설이 일반가정과 같고, 의사, 사회사업가, 임상심리사, 간호사, 작업치료사를 비롯하여 병원에 관계하는 모든 건강한 사람들이 치료진의 일원으로 일체가 되어 환자와 치료적인 접촉을 갖게 되고 환자는 대부분 능동적으로 치료에 참여하도록 격려된다. 동시에 병실환경은 행동수정 이론에 기반을 두고 구조화되며 환자들 스스로 병실의 일을 꾸려 나가고, 서로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민주적인 병실체계가 조성된다. 정신분열병 환자가 건강인과 접촉할 기회가 적은 대규모 병원에서, 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한 채 병적인 가족관계를 교정하는 데 환경요법은 크게 유익한 치료방법이다. 각종 정신치료와 다양한 작업요법이 실시되며, 환자는 치료받는 자(recipient)일 뿐 아니라 치료참여자(participant)이며 한 인간으로서의 권위를 인정받는 것이 핵심이다.
2) 정신과 낮병원, 밤병원
낮병원(day hospital)과 밤병원(night hospital)은 입원치료와 외래치료의 장점을 살린 것으로, 정신적 기능의 퇴행으로 개인의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 유지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을 가정이나 사회로 원활히 복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훈련, 대인관계훈련, 증상 약물훈련을 함으로써 환자들의 빠른 사회복귀를 돕는 것이다.
3) 사회기술훈련(social skills training)
정신분열병환자는 병의 특성이나 오랜 투병생활로 인해 대인관계 형성이나 자기 주장을 잘하지 못한다. 여기에는 자기주장훈련, 대인관계훈련, 일상 생활기술훈련 등이 포함된다. 기본적인 의사소통, 여가활동, 오락, 교우관계, 약물의 자기관리, 이성관계, 태도교정 등을 가르친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발표는 잘 알려진 사실로 환자의 증상재발을 현저하게 억제해 줄 뿐만 아니라 사회성의 현저한 호전으로 자신감의 회복, 실지 적응 능력의 증가 등 환자의 살의 질 향상에 효과가 아주 높다.
4) 가족치료 및 교육
가족 중 특히 환자에게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사람들의 감정적 문제를 처리해 주고, 가족 중에서 건강한 사람을 치료진의 일원으로 참여시키며, 가족 전체의 역동적 관계를 가족치료 시간에 스스로 경험하고 깨닫는 것을 도움으로써 환자의 퇴원 후 치료(after care)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최근 가족심리교육은 가족이 환자 재활에 긍정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치료적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5) 사회복귀시설을 통한 지역사회 적응 프로그램
지역사회 내의 사회복귀시설에서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사회적응의 기법을 가르쳐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것도 역시 환자의 증상과 심리사회적 결함을 미리 측정한 후, 이 결함의 부분을 기법으로 가르치며 직접 사회적응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행동치료의 원칙과 지역사회 자원동원 기법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6) 직업재활치료
직업재활은 정신장애인이 핸디캡을 극복하고 보다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직업을 가져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처음부터 지역사회내 사업체와 정식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사회적 편견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로조건에는 직업재활을 통해 환자들의 기술이 향상될 수 있도록 치료적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집단치료나 사회성 훈련이 포함된다. 또한 약물치료에 대한 교육, 보호자 교육 등도 이 프로그램과 함께 병행되어야 하며, 사업체의 정상 근로자들을 교육하는 것도 중요한 한 부분이 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7
성인의 건강관리 / 임완지 저, 광림북하우스, 2016
웰니스 건강관리 / 조현철 박상규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4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2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