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도덕 철학과 도덕수업에서의 적용 방안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칸트의 도덕 철학과 도덕수업에서의 적용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 있고 영은이를 따라 먼저 가는 것을 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영훈이는 발표 과제를 정리하는 것과 놀이터에서 야구 하는 것 중 어느 것이든 스스로 행동을 결정할 수 있는 선택의 자유를 인식시킨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그러한 자율적 행위 선택에는 선의지가 배경되어야 함을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해 주인공들이 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파악하게 한다. 민수의 선의지는 일어나 예습을 통해 자기 개발을 하는 것이고 이슬이는 청소를 해 다른 사람들이 깨끗한 길을 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영훈이는 도덕 발표 과제를 정리하는 것이다.
각 경우의 선의지를 파악해 보았으므로 보편타당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민수가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는 것에 따라 다른 사람들도 약속을 지키는 것은 보편화 될 수 있다. 그러나 귀찮아서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경우 다른 사람들도 약속을 쉽게 어기는 경우를 생각해 봤을 때 약속의 필요성이 사라져버리는 것을 알게 한다.
이슬이가 자신이 맡은 구역을 청소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구역을 청소한다면 학교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싫은 마음에 영은이와 가버릴 경우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가버린다면 학교는 더러워질 것이다.
영훈이의 경우 도덕 발표 과제를 하지 않고 야구를 하러 간다면 다른 사람들도 과제를 해오지 않아 수업시간에 곤란을 겪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사람도 영훈이처럼 과제를 해온 다면 도덕 수업시간에 발표는 매우 유익한 수업이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조건적으로 옳은 행동과 나쁜 행동을 구분하기 보다는 아이들이 왜 그래야 하는지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칸트 도덕 철학의 교육적 의의
그의 사상 전체를 꿰뚫고 있는 것은 인간을 존중하는 윤리 사상이다. 그리고 참다운 인간은 타율적이 아닌 자율적인 인간이다. 그가 주장한 것처럼 자기가 자기에게 명령하고 복종하는 자율 도덕의 세계는 가장 이상적인 민주주의의 실천 도장임이 확실하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확고한 정신적 가치관이 요구되며 학교 교육에 있어서는 생산하는 교육과 동시에 인격적 도덕 교육을 펴나가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율적인 인간 육성과 교육을 통한 인격 함양이라는 목적을 제대로 달성되어야 하는데 지금까지의 교육은 그렇지 못하고 이기심과 개인주의를 고조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릇된 일들을 바로 세우는데 있어서 칸트의 도덕 교육론은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0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