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육개론 - 교육신학의 문화적 접근 - 줄거리 - 가치관의 변화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교육개론 - 교육신학의 문화적 접근 - 줄거리 - 가치관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용: 이 책을 읽고 이렇게 레포트를 씀으로서 교육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면서 과연 나는 어떻게 주일학교 아이들을 가르쳤는가 대한 회의감과 후회를 하게 되었다. 나 역시 기존 학교 교육과 별반 다르지 않게 아이들을 가르쳤으며 아무런 거리낌이 없었다. 지금 다니고 있는 교회에는 작은 교회라 교육에 대한 적용을 할 수가 없다. 하지만 마지막 부분인 신앙공동체에 대한 적용은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교회에는 신앙공동체가 충분히 이루어 졌다고 생각한다. 아직은 사람 수가 별로 없지만 매년 한 두명씩 우리교회에 찾아오고 그렇게 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무엇보다 매우 편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우리교회는 다른 미자립 교회와 같이 재정적 어려움이 없다. 물론 큰 교회같이 모든 장비나 프로그램들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작은 교회에 맞게 생활하고 큰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담임목사님인데 사례비를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매우 적은 사례비를 받으시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아예 받지 않으신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목사님의 가정이 부유해서가 아니다. 매우 작은 집에서 3인 가족이 살고 계시며 부족하지만 기쁨으로 살아가신다.
바로 이것이 신앙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우리교회에는 부자가 없다. 모두 어렵고 가난한 사람들의 모임이다. 이러한 곳에 부자 목사가 있다면 단지 구걸하는 교인들로 밖에 보이지 않고 자신들도 비참해 질 것이다. 하지만 담임목사 역시 같이 가난에 동참하고 서로의 아픔을 나누고 함께 배고프고 함께 슬픔을 나눔으로 진정한 신앙공동체를 이루었다고 나는 자부할 수 있다. 우리교회 교인들은 서로의 아픔을 잘 알고 있고 서로 치료해주기 위해 부단히 애를 쓴다.
나 역시 아픔이 있었고 우리 교회 교인들에 의해 치유 받았고 지금은 매우 밝고 활기찬 생활을 하고 있다.
이제는 이 책을 읽고 배웠다함에서 실천을 하는 것과 같이 \"적용\"을 할 때임을 알고 있다. 나 역시 이제는 나의 아픔만을 잡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아픔을 치료해주고 안아줄 수 있는 신앙공동체의 일원이 될 것임을 다짐한다.
또 하나의 적용은 바로 앞으로 있기를 바라고 하고 싶어하는 교육자에 대한 적용이다. 나의 목표는 바로 교목이 되는 것이다. 미션 스쿨 같이 기독교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내 희망 사항이다. 요즘은 너무 많은 범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범죄의 절반 가까이가 청소년 범죄가 되고 있다는 것에 큰 슬픔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요즘 청소년들의 범죄가 많다는 것은 그들이 성품이 악해서가 아니라 그만큼 아픔과 상처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은 아프면 아무 것도 안보이게 된다. 심한 감기가 걸렸는데 누가 과제를 하고 싶고 일을 하고 싶은가 단지 조용히 눕고 쉬고 싶을 뿐이다. 만약 감기에서 낳을 수 있는 약이 있다면 그것을 먹어보려 노력할 것이다. 그렇다 요즘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아픔을 해결 할 방법이 범죄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이고 자신을 더 아프게 한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무엇인가? 단지 머릿속에 지식만을 넣는 것 뿐이다. 나는 청소년들에게 상처와 아픔을 치유 할 수 있는 방법과 그 길을 제시해주고 싶다.
단지 지식만을 가르치는 교사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하여 올바른 길로 인도해주고 싶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숨을 쉬고 기독교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을 가르치고 바로 예수를 가르치고 싶다. 예수가 내가 너희와 함께 아파하고 상처를 감싸는 것과 같이 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싶다. 이것의 적용이 언제 이루어 질 것 인지는 모르지만 나는 기존의 교사들의 교육과 다른 인성과 사랑을 가르치는 교육자가 되고 싶은 것이 나의 꿈이요 비전이다.
이러한 적용을 잘 나타내 주는 책 내용은 바로 단의 신학이다. 청소년들의 아픔과 상처를 끊음으로 신앙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 청소년들의 아픔은 그들의 가정과 학교와 사회의 전반에서 오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청소년들에게 그것들로부터 오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것들을 사실 끊어 줄 수 있을 지는 모른다. 하지만 학생들에게 그것이 더 이상 아픔이 아니라고 여겨질 만큼 그리고 못느낄 만큼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이끌고 가르치는 것이 바로 단을 이루는 것이라고 본다. 한을 끊음으로써 진정한 자유의 몸이 되는 학생들을 보고 나 역시 큰 기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