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행동을 한다면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을 하며 칭찬을 해주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들이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형성하고 지속적으로 배려의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Ⅲ결론
처음 수업을 계획할 때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수업을 실제로 진행하다 보니, 길리건의 의견처럼 ‘배려윤리’에만 집중하여 수업을 계획하는 것은 불완전하다는 것을 직접 느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공부방 아이들이 문제가 발생한 것은 기본적으로 배려가 몸에 배어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문제상황이 드러나게 된 것은 자신들이 만든 규칙을 지키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즉 정의가 실현되지 않기 때문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배려’만을 교육하는 것은 완벽하지 않고 ‘정의’또한 함께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동들이 배운 것을 실천하는 것에 대해서 확언을 해 주는 것은 행동주의이론에서 일종의 강화와도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도덕교육을 할 때에는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이론에 근거하여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적합할 것 같다.
처음 과제에 대해서 듣고 나서도, 과제를 진행하면서도 계속 막막하고 어려웠다. 하지만 이렇게 과제를 마치고 나니 배려윤리에 대해서 정리를 할 수 있었고, 시험공부를 하며 익혔던 다른 이론에 대해서도 연관시켜 생각할 수 있어 학기를 마무리하며 배운 지식을 정리할 수 있었다.
[참고] 손경원 교수님 프린트 자료, 『도덕교육의 이해』추병완,『윤리와 도덕교육에 대한 여성적 접근법 배려』넬 나딩스,『넬 나딩스의 교육철학』넬 나딩스
Ⅲ결론
처음 수업을 계획할 때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수업을 실제로 진행하다 보니, 길리건의 의견처럼 ‘배려윤리’에만 집중하여 수업을 계획하는 것은 불완전하다는 것을 직접 느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공부방 아이들이 문제가 발생한 것은 기본적으로 배려가 몸에 배어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문제상황이 드러나게 된 것은 자신들이 만든 규칙을 지키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즉 정의가 실현되지 않기 때문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배려’만을 교육하는 것은 완벽하지 않고 ‘정의’또한 함께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동들이 배운 것을 실천하는 것에 대해서 확언을 해 주는 것은 행동주의이론에서 일종의 강화와도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도덕교육을 할 때에는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이론에 근거하여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적합할 것 같다.
처음 과제에 대해서 듣고 나서도, 과제를 진행하면서도 계속 막막하고 어려웠다. 하지만 이렇게 과제를 마치고 나니 배려윤리에 대해서 정리를 할 수 있었고, 시험공부를 하며 익혔던 다른 이론에 대해서도 연관시켜 생각할 수 있어 학기를 마무리하며 배운 지식을 정리할 수 있었다.
[참고] 손경원 교수님 프린트 자료, 『도덕교육의 이해』추병완,『윤리와 도덕교육에 대한 여성적 접근법 배려』넬 나딩스,『넬 나딩스의 교육철학』넬 나딩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