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비록 거짓말일지라도 의사는 상황을 고려해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판단을 내리고 그것을 실천에 옮기게 된 것이다. 도덕은 원리나 규칙에 의해서만 판단을 내려서는 곤란하다. 도덕적 원리나 규칙이 도덕과 비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될 수는 있어도 전적으로 그에 따라야만 된다는 강제성을 띄는 것은 아라고 생각한다. 교사는 적절한 상황에서 그에 적합하고 적절한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가장 최선의 결정일 수 있다는 것을 수업을 통해 아이들에게 깨닫게 해주어야 할 것이다.
♣ 학생들로 하여금 이야기를 바꾸어 생각해보도록 지도하기
☞ 이야기 속에서는 의사가 순희 할머니께 사실대로 말씀드렸을 경우를 아이들에게 생각 해보게 하고, 상황을 고려할 줄 아는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게 한다(의사 선생님이 사 실대로 말했다면 할머니는 어떻게 되셨을까?). 단순히 아이들로 하여금 ‘거짓을 하면 안돼요’라는 대답만을 이끌어내기보다, 여러 가지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발문 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학생 자신이 이야기 속의 입장이 되어보도록 지도하기
☞ 모둠별로 역할극을 통해 아이 자신이 의사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도 그 상황을 이해하 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내가 만약 의사라면 어떻게 했을까?).
그럼으로써 의사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고, 타인과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도덕적 규칙 이나 원리만을 고집할 게 아니라, 중용의 입장을 지켜나가는 것 또한 중요함을 깨닫 게 한다. 그리고 간접적이라도 그 역할을 맡아봄으로써 ‘중용의 덕’을 체득하고 습 관화시키는 데 무엇보다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인간관계 속에서 실 천으로써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 학생들로 하여금 유사한 사례를 찾아 이해를 돕도록 지도하기
☞ 아이들에게 친숙한 주변의 사례를 찾게끔 해서 상황고려를 잘 하고 있는지 확인함으 로써 학습효과를 확장시켜 나간다(이런 이야기와 같은 사례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
가령, 형과 다툼 끝에 맞아서 얼굴을 다쳤을 경우, 엄마가 \"너 얼굴이 왜 그래?\" 라 고 묻는다면 \"축구공에 맞았어요.\"라고 대답한다. 왜냐하면, 사실을 말했을 경우, 엄 마께 형은 호되게 야단을 맞을 것이고, 형제의 싸움으로 엄마의 마음 또한 편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동생의 거짓말은 ‘의사의 거짓말’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것 이다.
또한 선녀와 나무꾼이라는 동화가 있다. 그 동화에서 나무꾼은 사냥꾼에게
♣ 학생들로 하여금 이야기를 바꾸어 생각해보도록 지도하기
☞ 이야기 속에서는 의사가 순희 할머니께 사실대로 말씀드렸을 경우를 아이들에게 생각 해보게 하고, 상황을 고려할 줄 아는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게 한다(의사 선생님이 사 실대로 말했다면 할머니는 어떻게 되셨을까?). 단순히 아이들로 하여금 ‘거짓을 하면 안돼요’라는 대답만을 이끌어내기보다, 여러 가지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발문 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학생 자신이 이야기 속의 입장이 되어보도록 지도하기
☞ 모둠별로 역할극을 통해 아이 자신이 의사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도 그 상황을 이해하 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내가 만약 의사라면 어떻게 했을까?).
그럼으로써 의사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고, 타인과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도덕적 규칙 이나 원리만을 고집할 게 아니라, 중용의 입장을 지켜나가는 것 또한 중요함을 깨닫 게 한다. 그리고 간접적이라도 그 역할을 맡아봄으로써 ‘중용의 덕’을 체득하고 습 관화시키는 데 무엇보다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인간관계 속에서 실 천으로써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 학생들로 하여금 유사한 사례를 찾아 이해를 돕도록 지도하기
☞ 아이들에게 친숙한 주변의 사례를 찾게끔 해서 상황고려를 잘 하고 있는지 확인함으 로써 학습효과를 확장시켜 나간다(이런 이야기와 같은 사례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
가령, 형과 다툼 끝에 맞아서 얼굴을 다쳤을 경우, 엄마가 \"너 얼굴이 왜 그래?\" 라 고 묻는다면 \"축구공에 맞았어요.\"라고 대답한다. 왜냐하면, 사실을 말했을 경우, 엄 마께 형은 호되게 야단을 맞을 것이고, 형제의 싸움으로 엄마의 마음 또한 편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동생의 거짓말은 ‘의사의 거짓말’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것 이다.
또한 선녀와 나무꾼이라는 동화가 있다. 그 동화에서 나무꾼은 사냥꾼에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