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스템 개선 9명(9.0%), 도서관 시설 현대화 15명(15.0%), 사서직언의 서비스 자세 1명 (1.0%), 타 기관 문헌 복사서비스 1명 (1.0%)이다.
<표12> 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변수명(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빈도
퍼센트
최신자료의 확보
31
31.0
장서량 증대
15
15.0
문헌정보서비스의 다양화
17
17.0
웹 검색시스템 개선
9
9.0
도서관 시설 현대화
15
15.0
사서직원의 서비스 자세
1
1.0
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11
11.0
타 기관 문헌 복사서비스
1
1.0
합계
100
100.0
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비스로 최신자료의 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일반열람실을 24시간 개방 및 좌석예약제를 시행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한
빈도분석이다. 예는 62명(62.0%)이며, 아니오는 38명(38.0%)이다.
<표13> 일반열람실 24시간개방 및 좌석예약제
변수명(일반열람실 24시간개방 및 좌석예약제)
빈도
퍼센트
예
62
62.0
아니오
38
38.0
합계
100
100.0
학생 과반수이상이 일반열람실 24시간개방 및 좌석예약제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사이트에 방문해 공지사항을 읽어 본적이 있는지에 관한 빈도분석이다.
예라고 답한 사람은 31명(31.0%)이며, 아니오라고 답한 사람은 69명(69.0%)이다.
<표14> 도서관 사이트 공지사항
변수명(도서관 사이트 공지사항)
빈도
퍼센트
예
31
31.0
아니오
69
69.0
합계
100
100.0
학생 과반수이상이 도서관 사이트 공지사항에 읽어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사이트 방문해 공지사항을 읽어 본적이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 아니라고 답한 사람 중 학교사이트는 알고 있는지에 관한 빈도분석이다. 예 23명(23.0%)이며, 아니오 45명(45.0%), 무응담 32명(32.0%)이다.
<표15> 도서관 사이트
변수명(도서관 사이트)
빈도
퍼센트
예
23
23.0
아니오
45
45.0
무응답
32
32
합계
100
100.0
학생들이 도서관 사이트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관 내 휴대폰 사용 시 처벌방안에 관한 빈도분석이다. 불쾌하지만 참는다는 30명(30.0%)이며, 주의를 주는 정도만 한다 38명(38.0%), 도서관 이용 규정을 철저히 적용해서 처벌해야 한다 21명(21.0%), 현재의 규정보다 강하게 처벌해야 한다 8명(8.0%),
기타 3명(3.0%)이다.
<표16> 도서관 내 휴대폰 사용 시 처벌방안
변수명(휴대폰 사용)
빈도
퍼센트
불쾌하지만 참는다
30
30.0
주의를 주는 정도만 한다
38
38.0
도서관 이용 규정을 철저히 적용해서
처벌해야 한다.
21
21.0
현재의 규정보다 강하게 처벌해야 한다.
8
8.0
기타
3
3.0
합계
100
100.0
도서관 내에서 휴대폰 사용 시 주의를 주는 정도로 끝내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교차분석
학년별 한 달 독서량에 대한 교차분석이다. 1학년 중 한 달에 1~2권 16명(41.0%), 3~4권
3명(7.7%), 4~5권 1명(2.6%), 6권 이상 0명(0%), 읽지않음 19명(48.7%)이며, 2학년 중 한 달에 1~2권 23명(41.0%), 3~4권 9명(16.1%), 4~5권 1명(1.8%), 6권 이상 0명(0%), 읽지않음 23명(41.1%)이며, 3학년 중 한 달에 1~2권 0명(0%), 3~4권 1명(25.0%), 4~5권 1명(25.0%), 6권 이상 1명(25.0%), 읽지않음 1명(25.0%)이다.
<표1> 학년별 한 달 독서량
1학년 2학년 3학년 * 한 달에 몇 권 교차표
한 달에 몇 권
전체
1~2권
3~4권
4~5권
6권 이상
읽지않음
1학년 2학년 3학년
1학년
빈도(%)
16
(41.0)
3
(7.7)
1
(2.6)
0
(0)
19
(48.7)
39
(100.0)
2학년
빈도(%)
23
(41.1)
9
(16.1)
1
(1.8)
0
(0)
23
(41.1)
56
(100.0)
3학년
빈도(%)
0
(0)
1
(25.0)
1
(25.0)
1
(25.0)
1
(25.0)
4
(100.0)
전체
빈도(%)
39
(39.4)
13
(13.1)
3
(3.0)
1
(1.0)
43
(43.4)
99
(100.0)
보통 4년제 대학교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을 읽는 수가 많지만 전문대 특성상
3학년 때는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1학년, 2학년의 책 읽는 수가 3학년보다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년별 도서관 이용 빈도에 대한 교차분석이다. 1학년 중 거의매일 1명(3.2%), 한 달에 1~2회 23명(74.2%), 한 달에 3~4회 4명(12.9%), 한 달에 5~6회 2명(6.5%),
한 달에 7회이상 1명(3.2%)이며, 2학년 중 거의매일 1명(2.3%), 한 달에 1~2회 37명(86.0%), 한 달에 3~4회 2명(4.7%), 한 달에 5~6회 2명(4.7%), 한 달에 7회이상 1명(2.3%)이고, 3학년 중 거의매일 0명(0%), 한 달에 1~2회 0명(0%), 한 달에 3~4회 3명(100.0%), 한 달에 5~6회 0명(0%), 한 달에 7회이상 1명(0%)이다.
<표2> 학년별 도서관 이용 빈도
도서관을 어느 정도 이용하는가
전체
거의 매일
한달에 1~2회
한달에 3~4회
한달에 5~6회
한달에 7회 이상
1학년 2학년 3학년
1학년
빈도(%)
1
(3.2)
23
(74.2)
4
(12.9)
2
(6.5)
1
(3.2)
31
(100.0)
2학년
빈도(%)
1
(2.3)
37
(86.0)
2
(4.7)
2
(4.7)
1
(2.3%)
43
(100.0)
3학년
빈도(%)
0
(0)
0
(0)
3
(100.0)
0
(0)
0
(0)
3
(100.0)
전체
빈도(%)
2
(2.6)
60
(77.9)
9
(11.7)
4
(5.2)
2
(2.6)
77
(100.0)
이것도 마찬가지로 학년별 독서량과 같이 보통 4년제 대학교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문대 특성상 3학년 때는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1학년, 2학년의 도서관 이용 빈도수가 3학년보다 많이 나타났다.
<표12> 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변수명(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빈도
퍼센트
최신자료의 확보
31
31.0
장서량 증대
15
15.0
문헌정보서비스의 다양화
17
17.0
웹 검색시스템 개선
9
9.0
도서관 시설 현대화
15
15.0
사서직원의 서비스 자세
1
1.0
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11
11.0
타 기관 문헌 복사서비스
1
1.0
합계
100
100.0
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비스로 최신자료의 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일반열람실을 24시간 개방 및 좌석예약제를 시행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한
빈도분석이다. 예는 62명(62.0%)이며, 아니오는 38명(38.0%)이다.
<표13> 일반열람실 24시간개방 및 좌석예약제
변수명(일반열람실 24시간개방 및 좌석예약제)
빈도
퍼센트
예
62
62.0
아니오
38
38.0
합계
100
100.0
학생 과반수이상이 일반열람실 24시간개방 및 좌석예약제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사이트에 방문해 공지사항을 읽어 본적이 있는지에 관한 빈도분석이다.
예라고 답한 사람은 31명(31.0%)이며, 아니오라고 답한 사람은 69명(69.0%)이다.
<표14> 도서관 사이트 공지사항
변수명(도서관 사이트 공지사항)
빈도
퍼센트
예
31
31.0
아니오
69
69.0
합계
100
100.0
학생 과반수이상이 도서관 사이트 공지사항에 읽어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사이트 방문해 공지사항을 읽어 본적이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 아니라고 답한 사람 중 학교사이트는 알고 있는지에 관한 빈도분석이다. 예 23명(23.0%)이며, 아니오 45명(45.0%), 무응담 32명(32.0%)이다.
<표15> 도서관 사이트
변수명(도서관 사이트)
빈도
퍼센트
예
23
23.0
아니오
45
45.0
무응답
32
32
합계
100
100.0
학생들이 도서관 사이트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서관 내 휴대폰 사용 시 처벌방안에 관한 빈도분석이다. 불쾌하지만 참는다는 30명(30.0%)이며, 주의를 주는 정도만 한다 38명(38.0%), 도서관 이용 규정을 철저히 적용해서 처벌해야 한다 21명(21.0%), 현재의 규정보다 강하게 처벌해야 한다 8명(8.0%),
기타 3명(3.0%)이다.
<표16> 도서관 내 휴대폰 사용 시 처벌방안
변수명(휴대폰 사용)
빈도
퍼센트
불쾌하지만 참는다
30
30.0
주의를 주는 정도만 한다
38
38.0
도서관 이용 규정을 철저히 적용해서
처벌해야 한다.
21
21.0
현재의 규정보다 강하게 처벌해야 한다.
8
8.0
기타
3
3.0
합계
100
100.0
도서관 내에서 휴대폰 사용 시 주의를 주는 정도로 끝내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교차분석
학년별 한 달 독서량에 대한 교차분석이다. 1학년 중 한 달에 1~2권 16명(41.0%), 3~4권
3명(7.7%), 4~5권 1명(2.6%), 6권 이상 0명(0%), 읽지않음 19명(48.7%)이며, 2학년 중 한 달에 1~2권 23명(41.0%), 3~4권 9명(16.1%), 4~5권 1명(1.8%), 6권 이상 0명(0%), 읽지않음 23명(41.1%)이며, 3학년 중 한 달에 1~2권 0명(0%), 3~4권 1명(25.0%), 4~5권 1명(25.0%), 6권 이상 1명(25.0%), 읽지않음 1명(25.0%)이다.
<표1> 학년별 한 달 독서량
1학년 2학년 3학년 * 한 달에 몇 권 교차표
한 달에 몇 권
전체
1~2권
3~4권
4~5권
6권 이상
읽지않음
1학년 2학년 3학년
1학년
빈도(%)
16
(41.0)
3
(7.7)
1
(2.6)
0
(0)
19
(48.7)
39
(100.0)
2학년
빈도(%)
23
(41.1)
9
(16.1)
1
(1.8)
0
(0)
23
(41.1)
56
(100.0)
3학년
빈도(%)
0
(0)
1
(25.0)
1
(25.0)
1
(25.0)
1
(25.0)
4
(100.0)
전체
빈도(%)
39
(39.4)
13
(13.1)
3
(3.0)
1
(1.0)
43
(43.4)
99
(100.0)
보통 4년제 대학교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을 읽는 수가 많지만 전문대 특성상
3학년 때는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1학년, 2학년의 책 읽는 수가 3학년보다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년별 도서관 이용 빈도에 대한 교차분석이다. 1학년 중 거의매일 1명(3.2%), 한 달에 1~2회 23명(74.2%), 한 달에 3~4회 4명(12.9%), 한 달에 5~6회 2명(6.5%),
한 달에 7회이상 1명(3.2%)이며, 2학년 중 거의매일 1명(2.3%), 한 달에 1~2회 37명(86.0%), 한 달에 3~4회 2명(4.7%), 한 달에 5~6회 2명(4.7%), 한 달에 7회이상 1명(2.3%)이고, 3학년 중 거의매일 0명(0%), 한 달에 1~2회 0명(0%), 한 달에 3~4회 3명(100.0%), 한 달에 5~6회 0명(0%), 한 달에 7회이상 1명(0%)이다.
<표2> 학년별 도서관 이용 빈도
도서관을 어느 정도 이용하는가
전체
거의 매일
한달에 1~2회
한달에 3~4회
한달에 5~6회
한달에 7회 이상
1학년 2학년 3학년
1학년
빈도(%)
1
(3.2)
23
(74.2)
4
(12.9)
2
(6.5)
1
(3.2)
31
(100.0)
2학년
빈도(%)
1
(2.3)
37
(86.0)
2
(4.7)
2
(4.7)
1
(2.3%)
43
(100.0)
3학년
빈도(%)
0
(0)
0
(0)
3
(100.0)
0
(0)
0
(0)
3
(100.0)
전체
빈도(%)
2
(2.6)
60
(77.9)
9
(11.7)
4
(5.2)
2
(2.6)
77
(100.0)
이것도 마찬가지로 학년별 독서량과 같이 보통 4년제 대학교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문대 특성상 3학년 때는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1학년, 2학년의 도서관 이용 빈도수가 3학년보다 많이 나타났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