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이성교제] 청소년기의 성과 이성교제 이성교제가 청소년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기 이성교제의 발달적 결과와 성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기 이성교제] 청소년기의 성과 이성교제 이성교제가 청소년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기 이성교제의 발달적 결과와 성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청소년기 이성교제

I. 청소년기의 성과 이성교제
1. 이성교제의 기능
2. 사랑의 이론

II. 청소년기 이성교제에 영향을 미치는 발달적 요소

III. 청소년기 이성교제의 발달적 결과와 성행동
1. 임신
2. 피임
3. 성병
1) 매독
2) 임질
3) AIDS
4) 클라미디아
4. 동성애 및 성정체감 장애
5. 성폭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입. 목. 질, 자궁경부, 자궁, 항문 등의 점막에서 자라는 임균박테리아가 원인이 되는 성병이고, 가장 흥한 성병 중의 하나이다. 박테리아가 감염된 점막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로 옮는 병으로, 성적 접촉을 통해 감염이 이루어진다. 남성에 비해 여성은 감염률이 2배 가까이 높으며. 특히 자궁이 성숙하지 않은 청소년기의 여성은 임질균에 약하다.
여성의 경우 대부분이 감염초기에 아무런 증상이 없고, 남성의 경우 감염 후 한 발 이내에 배뇨시 통증을 느끼거나, 요도를 통해 피나 고름이 나오고, 성기의 통증을 느낀다. 임질은 감염 초기에 치료하면 완치될 수 있으나 여성의 경우 증상이 별로 없어 생식기관으로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나팔관이 손상되어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AIDS
AIDS(후천성 면역결핍증)은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의해 감염되는 성병이다. 감염된 후 몇 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질병이 진행되는 마지막 단계가 AIDS이다. 이 바이러스는 면역체계를 파괴하기 때문에 진행속도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감염자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IV)가 면역체계 내의 T세포를 공격하여 T세포의 수가 감소하면 인체는 감염에 매우 취약해진다. 초기에는 아직 T세포가 충분하여 감염의 위험이나 증상이 거의 없으나 중기에는 T세포가 절반으로 줄고 체중저하, 설사, 발열, 진땀, 피로감, 림프선이 부어오르는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후기에는 T세포가 격감해서 면역체계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질병에 감염되면 사망하게 된다.
감염경로는 성교, 수혈, 주사바늘 등이며, 임부에게서 태아로 감염되기도 한다. 초기에는 대다수의 발병환자가 동성애 남성과 정맥주사 사용자이지만, 최근에는 이성과의 성관계로 인해 여성과 청소년 사이에서도 발병률이 증가하였다.
4) 클라미디아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원인이 되는 매우 흔한 성병이다. 이 성병은 감염률이 매우 높고 증상이 임질과 비슷하나 임질보다 증상의 정도가 약한 것이 특징이다. 남성은 감염 후 1-2주 내에 배뇨시 통증과 고름이 나오지만 그 증상이 임질보다 약하다. 여성 또한 임질과 마찬가지로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임신을 하더라도 자궁 외 임신, 조산, 미숙아출산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4) 동성애 및 성정체감 장애
동성애는 우리 사회의 대다수의 청소년이 경험하는 성행동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청소년기는 성정체감 및 이성애라는 감정이 본격적으로 형성되는 시기이며. 비록 소수이기는 하나 동성애 또는 성정체감 장애가 드러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호모(homo)라는 용어로 혼동되기도 하는 동성애와 성정체감장애의 두 개념은 성적인 정체감과 성적인 이끌림이라는 다른 기준에 의해 규정된다.
먼저, 성정체감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s)란 타고난 해부학적인 성에 반대되는 성에 대해 강하고 지속적으로 동일감을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성정체감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타고난 자신의 성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반대성의 옷을 즐겨 입거나 자신의 생식기를 없애고 반대의 성으로 살아가고 싶어 한다. 유아기에는 복장이나 놀이에서 반대성에 적합한 행동을 하는 형태로 나타나며, 청소년기나 성인기에는 반대성이 되고 싶다는 욕구를 보다 빈번히 드러내고 반대성의 느낌을 자신이 가지고 있다는 확신을 나타낸다. 트렌스젠더(transgender)는 육체적 성과 정신적 성이 반대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 의학적으로 성전환증에 가까운 의미이며, 성전환증(sexual inversion)은 성정체감장애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는 요소이다.
반면, 동성애(homosexuality)는 동성의 상대에게 정서적, 성적 이끌림을 느끼는 것을 뜻한다. 이는 성정체감장애 또는 트렌스젠더 등의 개념과 구분되는 것이며, 그 원인으로 호르몬의 부조화 같은 생물학적 요인, 해결되지 못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같은 성심리발달과정의 이상, 또는 조건형성에 의한 학습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고 있다. 게이(gay)는 남성동성애자를 지칭하며, 레즈비언(lesbian)은 여성동성애자를 지칭한다.
(5) 성폭력
기존의 성폭력의 개념은 여성이 원하지 않는데도 남성이 일방적으로 성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강제적인 성행위를 하는 것, 좁게는 남성의 성기를 여성에게 삽입하는 행위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성폭력을 여성이 불쾌함을 느끼는 모든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 폭력으로 정의하기 시작하였다(한국성폭력상담소, 2008). 협의의 개념으로는 성적으로 가해지는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인 폭력이 해당된다. 성폭력 피해자는 부상, 임신, 인공중절시술, 성병 등의 신체적 후유증과 우울, 불안, 죄의식, 수치심, 혐오감 등의 심리적인 후유증을 겪게 된다. 성폭력가해자의 상당수가 가족, 친척, 선배 등 지인인 경우가 많아 청소년들은 성폭력 피해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는 동시에 가해자가 될 수도 있는 입장에 처해 있다.
따라서 성욕이 증가하고 성에 대해 호기심이 왕성한 청소년기에 올바른 성에 관한 의식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최근 성에 대한 정보가 많아지고, 청소년들이 음란물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왜곡된 성개념과 가치관을 가지게 될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이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방법으로 성적 욕구를 해소하는 현실도피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면 성폭력문제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성적 욕구를 통제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이론 시기부터 성교육을 제도화하고 활성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05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