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산시스템의 정의, 기능 그리고 목표 등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하시오.
I. 제품 종류와 생산 공정의 결정
II. 수요예측
III. 적정 생산규모 결정
IV. 생산시설 위치 결정
V. 생산설비 배치
1/ 제품별 배치
2/ 공정형 배치
3/ 셀룰러 제조배치
4/ 고정형 배치
VI. 직무설계와 성과평가
* 참고문헌
I. 제품 종류와 생산 공정의 결정
II. 수요예측
III. 적정 생산규모 결정
IV. 생산시설 위치 결정
V. 생산설비 배치
1/ 제품별 배치
2/ 공정형 배치
3/ 셀룰러 제조배치
4/ 고정형 배치
VI. 직무설계와 성과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ication)이 다양한 전자제품이나 컴퓨터 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4/ 고정형 배치(fixed-position layouts)
생산하는 제품을 고정시켜 놓고 생산시설을 이동하면서 생산하는 배치형태이다. 제품의 운반이 힘들고 부서지기 쉬운 제품의 생산에 널리 이용된다. 예를 들어, 비행기 제작, 배 건조, 건설현장에서 널리 이용하는 형태이다.
VI. 직무설계와 성과평가
생산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가장 어려운 일 중의 하나는 각 개인별로, 그룹별로 종업원들이 수행하는 직무를 개발하는 일이다. 생산시스템의 종업원은 원가, 납기, 생산성, 고객만족 등과 같은 생산시스템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종업원의 직무를 정확하게 설계해야 하고,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한다.
생산시스템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를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수행하는가를 결정하는 일이 직무설계(job design)이다. 직무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분업화의 정도(degree of labor specialization)를 결정하는 일이다. 분업화는 한 종업원이 수행하는 업무의 수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분업화의 정도에 따라서 완전분업과 한 종업원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상황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완전분업은 종업원들이 반복적으로 적은 수의 업무만을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루 종일 철판만 절단한다든지, 봉투만 접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복적인 업무만 수행하므로 생산성은 향상되고, 종업원의 모집이 쉽고, 종업원의 교육이 쉽다. 그러나 반복적인 업무만 수행하므로 종업원들의 사기가 떨어지고, 동기부여가 적고, 만족도가 떨이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업원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므로 이직률이 높고, 불량률이 높아져서 생산시스템의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직무분업화의 정도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 해결방법으로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종업원들이 여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 필요하면 다른 업무로 이동하게 하는 직무순화(job rotation), 종업원들이 수행하는 업무와 유사한 업무들을 수평적으로 추가하는 직무확대(job enlargement), 종업원이 수행하는 업무를 스스로 계획, 조직, 통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직적으로 확장하는 직무충실화b enrichment) 등의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4/ 고정형 배치(fixed-position layouts)
생산하는 제품을 고정시켜 놓고 생산시설을 이동하면서 생산하는 배치형태이다. 제품의 운반이 힘들고 부서지기 쉬운 제품의 생산에 널리 이용된다. 예를 들어, 비행기 제작, 배 건조, 건설현장에서 널리 이용하는 형태이다.
VI. 직무설계와 성과평가
생산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가장 어려운 일 중의 하나는 각 개인별로, 그룹별로 종업원들이 수행하는 직무를 개발하는 일이다. 생산시스템의 종업원은 원가, 납기, 생산성, 고객만족 등과 같은 생산시스템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종업원의 직무를 정확하게 설계해야 하고,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한다.
생산시스템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를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수행하는가를 결정하는 일이 직무설계(job design)이다. 직무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분업화의 정도(degree of labor specialization)를 결정하는 일이다. 분업화는 한 종업원이 수행하는 업무의 수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분업화의 정도에 따라서 완전분업과 한 종업원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상황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완전분업은 종업원들이 반복적으로 적은 수의 업무만을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루 종일 철판만 절단한다든지, 봉투만 접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복적인 업무만 수행하므로 생산성은 향상되고, 종업원의 모집이 쉽고, 종업원의 교육이 쉽다. 그러나 반복적인 업무만 수행하므로 종업원들의 사기가 떨어지고, 동기부여가 적고, 만족도가 떨이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업원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므로 이직률이 높고, 불량률이 높아져서 생산시스템의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직무분업화의 정도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 해결방법으로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종업원들이 여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 필요하면 다른 업무로 이동하게 하는 직무순화(job rotation), 종업원들이 수행하는 업무와 유사한 업무들을 수평적으로 추가하는 직무확대(job enlargement), 종업원이 수행하는 업무를 스스로 계획, 조직, 통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직적으로 확장하는 직무충실화b enrichment) 등의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