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형태소의 구분 : 자립 가능 여부
2. 형태소의 구분 : 내용의 허와 실
3. 형태소의 구분에 관한 추가적인 견해 : 특이 형태소
4. 참고문헌
2. 형태소의 구분 : 내용의 허와 실
3. 형태소의 구분에 관한 추가적인 견해 : 특이 형태소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류할 수 없는 특별한 형태소들을 정의하기 위한 견해 역시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특이 형태소에 관한 것이다. 특이 형태소는 붙어 쓰이는 형태소가 유일에 가깝다는 뜻에서 유일 형태소, 또는 불구 형태소라고도 한다. 특이 형태소란 ‘가랑비’라는 낱말에서의 ‘가랑-‘과도 같이 형태소의 조건, 즉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일 것을 만족하며 실질적으로 작용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일반적인 형태소에 붙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비’와 붙여 사용할 때만 원래 가지고 있는 의미가 성립하는 형태소를 말한다. 또한 특정한 형태소들이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이형태라 한다.
4) 참고문헌
이승준, <학교문법의 이해 : 우리말 문법의 체계와 개념을 이해하는 뿌리 깊은 울림>, 밥북, 2014.
4) 참고문헌
이승준, <학교문법의 이해 : 우리말 문법의 체계와 개념을 이해하는 뿌리 깊은 울림>, 밥북,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