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격조사에 의한 분류
2)의미역에 따른 분류
3)참고문헌
2)의미역에 따른 분류
3)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간에서 발생하는 경우 이 공간적 지점을 명사를 통해 언어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일곱 번째 시간 격은 장소 격과 비슷하게 서술어로 표현된 어떤 상태나 행위가 시간상에 존재하는 한 점에 존재할 때 그 시간상의 한 점을 언어적으로 나타낸 명사어가 시간 격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음 정도 격은 ‘에서/으로/를’ 등을 사용하여 수량이나 정도, 빈도 등의 수치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격이다. 마지막으로 ‘로’를 활용하는 방향 격이 있다. 방향 격은 이동 행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격조사로 분류했을 때와 겹치는 주격을 제외하면 의미역에 따른 격의 분류는 총 여덟 가지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나는 격조사와 의미역에 따라 한국어의 격의 종류를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렇게 분류한 결과 정확한 수치는 아닐지 몰라도 한국어의 격은 총 열 다섯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3)참고문헌
윤덕한, 한국어 격틀 구축과 의미역 결정 = Construction of case frame and decision of thematic roles for Korean sentence, 울산 대학교 대학원, 2004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격 참고
격조사로 분류했을 때와 겹치는 주격을 제외하면 의미역에 따른 격의 분류는 총 여덟 가지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나는 격조사와 의미역에 따라 한국어의 격의 종류를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렇게 분류한 결과 정확한 수치는 아닐지 몰라도 한국어의 격은 총 열 다섯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3)참고문헌
윤덕한, 한국어 격틀 구축과 의미역 결정 = Construction of case frame and decision of thematic roles for Korean sentence, 울산 대학교 대학원, 2004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격 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