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 & TKR 케이스 (간호과정7개 - 퇴행성 관절염 케이스 스터디 퇴행성 관절염 간호과정 퇴행성 관절염 사례관리 TKR TKR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퇴행성 관절염 & TKR 케이스 (간호과정7개 - 퇴행성 관절염 케이스 스터디 퇴행성 관절염 간호과정 퇴행성 관절염 사례관리 TKR TKR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지를 함으로써 혈액순환을 돕는다.
-식사교육 주기적으로 실시.
발이 저리고 차갑다고 하셨는데 간호수행 후 붓기도 많이 가라앉았고 발의 온도, 색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수술부위(무릎)아래로 압박붕대를 계속 감아놓았었고 당뇨가 있어서 발쪽 부위가 부어있고 차가웠는데 마사지, 운동 등 말초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간호수행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간호문제/간호진단 4번: 수술부위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 장애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 스스로 활동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구축, 피부손상, 혈전증 등의 합병증 징후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금기사항이 아니라면 하루에 한번씩 관절운동을 수행한다.(수동→능동)
2.부동합병증(구축, 정맥울혈, 혈전증, 폐렴) 징후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3.운동하는데 지장이 있을만큼 통증이 심하다면 PRN으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 후 ROM을 하도록 한다.
4.물리치료시간에 참석하도록 격려하고 병동에서 같은 기구와 기술로 운동하도록 지지한다.
-운동하기에 환자 상태가 적절한지 사정-물리치료를 다녀오는 시간이 매일 1:30분으로 처방이 되어있었음.
-꾸준히 ROM운동에 참여하였고 병실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격려.
-퇴원 후에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가족들에게도 교육.
-무릎에 통증이 있으나 참을 수 있는 정도라고 하여 운동할 때 진통제는 따로 투여하지 않음.
-물리치료를 다녀온 후 많이 지친 듯 늘 주무심.
-보행기를 끌고 일상생활을 하실 수 있음.
-부동과 관련된 다른 합병증 발생하지 않음.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운동장애와 관련된 다른 합병증 발생하지 않았고 완전히는 아니지만 일상생활을 어느정도 할 수 있게 되었음.
간호문제/간호진단 5번: 정보자원 결핍과 관련된 지식부족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환자는 필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환자의 상태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 그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얻을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대상자의 언어적 표현 및 글에 대한 이해력을 사정한다.
2.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강의가 있다면 참석하도록 격려한다.
3.약물이 투여된 목적과 부작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한다.
4.대상자가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만 하는 술기를 교육한 후 시범해보이도록 한다.
5.대상자가 유용할 수 있는 단체 또는 기관의 전화번호를 알려준다.
6.환자에게 퇴원 후 자가간호 교육할 때 가족도 함께 교육한다.
-환자의 상태는 alert하였으며 의사소통도 원활하게 되는 환자임을 확인.
-먹는 약인 경우 약봉지를 함께 보며 약물의 투여목적, 부작용을 설명
-TKR시행환자이므로 집으로 돌아간 후 격한 운동을 하거나 무릎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취하지 않도록 교육
-환자를 교육할 때 보호자도 함께 들을 수 있도록 격려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하였으며 약물을 잘 이해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감까지 줄일 수 있었음.
집에서 충분히 자가간호 가능하도록 교육자료를 만들어 드리고 활용하겠다고 약속함.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환자가 알고 싶어하는 본인의 질병과 관련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였음.
간호문제/간호진단 6번: 계속되는 재수술과 관련된 불안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불안감이 없어질 것이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현재 불안한 원인을 이해하고 심한 불안을 나타내지 않고 현재 의 의학적 상황에 대응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대상자의 신체적 요구를 철저하게 충족하도록 한다. 편안한 방법으로 식이를 제공하고 수면을 증진시킨다.
2.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제공한다.
3.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이라면 알고싶은 사항을 충분히 이해시킨다.
4.대상자의 말을 주의깊게 경청한다.
5.대상자에게 편안한 활동들을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6.비슷한 문제를 가진 다른 사람들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자에게 본인의 현 상태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그와 관련된 사례를 이야기하여 안심시킴.
-약물이 투여될 때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려줌.
-대상자가 하는 말을 경청함.
-충분히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
-보호자가 대상자와 함께 있는 시간을 갖도록 격려
입원당시 간호기록지에 ‘불안’이 기록되어있었고 대화를 하면서 대상자의 불안감을 느낄 수 있었음. 필요한 지식을 얻게 됨으로써 불안함이 줄어들었다고 말함.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처치와 관련된 지식부족으로 인한 불안함을 줄였고 TKR재수술과 관련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그와 관련된 불안감도 감소되었다고 함.
간호문제/간호진단 7번: 운동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낙상하지 않을 것이다.
행동 성과 목표: 환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한다.
2.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안전한 조명시설에 대해 교육.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대상자에게 안전한 보행법을 교육한다.
-침상 난간을 항상 올려두도록 한다.
-바닥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떨어져 있다면 바로 닦는다.
-밤에 잠들기 전 화장실을 미리 다녀오게 한다.
3.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4.낙상위험도를 측정하여 고위험군이라면 주의깊게 관찰한다.
5.필요시 보호자가 곁에 있도록 함.
-대상자의 낙상위험지수를 수술 후 재 측정하였을 때 6이 나왔음.
-무릎을 굽히거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 강도 6의 통증까지 있는 상태로 되도록 움직이지 않지만 도움이 필요하다면 call bell을 누르도록 교육.
-대상자의 가족에게 함께 있어주도록 교육.
-낙상을 예방하는 안전한 환경에 대해 교육. 실천하도록 격려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함.
교육한 것을 잘 따라하였고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충분함.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간호하는 동안 낙상하지 않았고 안전한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충분하였음.
난간이 올려져 있지 않으면 스스로 올리는 등 교육한 대로 잘 따라함.
  • 가격1,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