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행위
- 개인이 개인을 가해하는 행위와 집단이 개인을 가해하는 행위를 모두 포함 함
2) 집단 따돌림의 특성
① 가해자와 피해자가 비슷한 또래들로 구성
② 가해자보다 피해자에게 그 원인을 둠
③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가 순환되면서 따돌림의 대상이 무차별 화라는 점
3) 집단 따돌림의 원인
개인, 심리적 요인
무분별한 과시욕과 현시욕 과중한 스트레스
불확실한 자아 정체성 유행에 대한 과잉 동조
가정적 요인
학부모의 인식 부족과 체계적인 자식교육의 부족
핵가족 및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가정교육의 붕괴
자녀간의 대화 부족 부모의 과잉보호
교육적 요인
입시위주의 교육, 성적 중시 풍토
학교와 사회의 협조 미비, 괴리
획일적 교육제도 학교의 미온적 태도
획일적인 교실 구조
사회, 문화적 요인
가치관의 혼란 왜곡된 집단주의
사회에 만연된 폭력성 인권의식의 부족
책임의식 부족과 타인에 대한 평가 절하
학벌 위주의 고용구조
4) 대처방안
<피해 학생이 해야 할 일>
무엇보다 자신의 의지가 중요/ "따"당한 이유를 분석하고 적응능력을 기르도록 노력 함
무조건 순종하는 태도는 좋지 않다. 자신감과 자존심을 갖도록 노력함
자신의 개성을 살리는 것은 좋지만 친구의 개성을 무시하지 말아야 함
작은 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마음을 열 수 있도록 노력함
갈등의 원인을 분명히 밝히고 자신의 주장을 이야기해야 함
융통성을 가지고 마음을 열어야 함
극복하기 힘들면 용기를 내어 부모나 상담실에 도움을 청하라
<따돌림을 가하는 학생이 해야 할 일>
상대방의 입장을 바꾸어서 이해하고, 내성적인 친구들의 숨은 장점을 찾아 봄
겉모양 보다 친구들의 내면을 보도록 노력해 봄
따돌림의 아픔은 자신에게 다시 돌아올 수 있음을 인식
<방관한 학생이 해야 할 일>
친한 친구가 "따"를 당할 때, 같이, "따"가 될까 두려워 방관하지 말고, 용기를 내어
친구의 편에 서서 진실한 우정을 가꾸어야 함
또래의 갈등을 중재하려면 결정을 내리려고 하지 말고 상대방들이 결정하도록 도와줌
대립하지 말고 동의하도록 유도함
친한 친구가 "따"를 당해서 같이 있어 주지 못해 친구를 잃었다는 하소연을 되새겨봄
따돌림을 묵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기여한 자신의 행동을 반성해 보기
"따"를 당하는 친구와 솔직한 대화를 가져야 함
참고문헌
정영숙 외. (2010). 제 3판 학교보건. 현문사
- 개인이 개인을 가해하는 행위와 집단이 개인을 가해하는 행위를 모두 포함 함
2) 집단 따돌림의 특성
① 가해자와 피해자가 비슷한 또래들로 구성
② 가해자보다 피해자에게 그 원인을 둠
③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가 순환되면서 따돌림의 대상이 무차별 화라는 점
3) 집단 따돌림의 원인
개인, 심리적 요인
무분별한 과시욕과 현시욕 과중한 스트레스
불확실한 자아 정체성 유행에 대한 과잉 동조
가정적 요인
학부모의 인식 부족과 체계적인 자식교육의 부족
핵가족 및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가정교육의 붕괴
자녀간의 대화 부족 부모의 과잉보호
교육적 요인
입시위주의 교육, 성적 중시 풍토
학교와 사회의 협조 미비, 괴리
획일적 교육제도 학교의 미온적 태도
획일적인 교실 구조
사회, 문화적 요인
가치관의 혼란 왜곡된 집단주의
사회에 만연된 폭력성 인권의식의 부족
책임의식 부족과 타인에 대한 평가 절하
학벌 위주의 고용구조
4) 대처방안
<피해 학생이 해야 할 일>
무엇보다 자신의 의지가 중요/ "따"당한 이유를 분석하고 적응능력을 기르도록 노력 함
무조건 순종하는 태도는 좋지 않다. 자신감과 자존심을 갖도록 노력함
자신의 개성을 살리는 것은 좋지만 친구의 개성을 무시하지 말아야 함
작은 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마음을 열 수 있도록 노력함
갈등의 원인을 분명히 밝히고 자신의 주장을 이야기해야 함
융통성을 가지고 마음을 열어야 함
극복하기 힘들면 용기를 내어 부모나 상담실에 도움을 청하라
<따돌림을 가하는 학생이 해야 할 일>
상대방의 입장을 바꾸어서 이해하고, 내성적인 친구들의 숨은 장점을 찾아 봄
겉모양 보다 친구들의 내면을 보도록 노력해 봄
따돌림의 아픔은 자신에게 다시 돌아올 수 있음을 인식
<방관한 학생이 해야 할 일>
친한 친구가 "따"를 당할 때, 같이, "따"가 될까 두려워 방관하지 말고, 용기를 내어
친구의 편에 서서 진실한 우정을 가꾸어야 함
또래의 갈등을 중재하려면 결정을 내리려고 하지 말고 상대방들이 결정하도록 도와줌
대립하지 말고 동의하도록 유도함
친한 친구가 "따"를 당해서 같이 있어 주지 못해 친구를 잃었다는 하소연을 되새겨봄
따돌림을 묵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기여한 자신의 행동을 반성해 보기
"따"를 당하는 친구와 솔직한 대화를 가져야 함
참고문헌
정영숙 외. (2010). 제 3판 학교보건.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