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계의 건강사정 (노화에 따른 혈액계의 변화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계의 건강사정 (노화에 따른 혈액계의 변화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 구상적혈구증
(8) 적혈구 수명검사
-적혈구의 용혈정도 파악, 적혈구의 반감기로 평가, 용혈성 질환 진행 정도 평가
-대상자 혈액20ml+크롬51 혈액 재 주입 해당 적혈구가 사라지는 %율 측정
(2~3주 동안 2~3일 동안)
2) 골수 검사
- 골수의 조혈작용을 평가하는 검사로 대부분의 혈액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검사
- 골수검체물은 흔히 후장골능에서 채취함.
- 때로 전장골능이나 흉골에서도 채취할 수 있으나 흉골은 일반적으로 골수천자의 목적으로만 사용됨.
(1) 골수천자
- 검사에 대한 불안을 완화하고 검사 중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정제 투여함.
- 천자부위에 따라 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검사부위를 소독한 후 무균법을 적용하여 멸균포로 덮음.
- 피부와 피하조직 및 골막을 리도카인 등으로 국소마취한 후 짧고 날카로운 탐침이 있는 바늘을 뼈의 피질을 통해 골수로 삽입함.
- 채취한 골수는 슬라이드에 도말, 건조 시킨 후 병리검사실로 보냄.
(2) 골수생검
- 흉골은 생검을 하기에는 너무 얇아 부적절하기 때문에 장골능이 가장 많이 이용됨.
검사후 간호
- 골수검사가 끝나면 출혈이 멈출 때까지 천자부위 압박 가해줌.
- 혈소판이 감소되어 있는 환자는 더 오랜 기간 동안 단단하게 압박을 가함.
- 천자 후 출혈이나 압통, 홍반 등의 감염 증상을 확인함.
- 천자부위에 통증이 있으면 경한 진통제를 사용함.
3) 유로빌리노겐 검사
- 소변과 대변으로 배설되는 유로빌리노겐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임.
- 정상적으로 유로빌리노겐의 약 99%는 대변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1%가 소변으로 배설됨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