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 구상적혈구증
(8) 적혈구 수명검사
-적혈구의 용혈정도 파악, 적혈구의 반감기로 평가, 용혈성 질환 진행 정도 평가
-대상자 혈액20ml+크롬51 혈액 재 주입 해당 적혈구가 사라지는 %율 측정
(2~3주 동안 2~3일 동안)
2) 골수 검사
- 골수의 조혈작용을 평가하는 검사로 대부분의 혈액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검사
- 골수검체물은 흔히 후장골능에서 채취함.
- 때로 전장골능이나 흉골에서도 채취할 수 있으나 흉골은 일반적으로 골수천자의 목적으로만 사용됨.
(1) 골수천자
- 검사에 대한 불안을 완화하고 검사 중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정제 투여함.
- 천자부위에 따라 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검사부위를 소독한 후 무균법을 적용하여 멸균포로 덮음.
- 피부와 피하조직 및 골막을 리도카인 등으로 국소마취한 후 짧고 날카로운 탐침이 있는 바늘을 뼈의 피질을 통해 골수로 삽입함.
- 채취한 골수는 슬라이드에 도말, 건조 시킨 후 병리검사실로 보냄.
(2) 골수생검
- 흉골은 생검을 하기에는 너무 얇아 부적절하기 때문에 장골능이 가장 많이 이용됨.
검사후 간호
- 골수검사가 끝나면 출혈이 멈출 때까지 천자부위 압박 가해줌.
- 혈소판이 감소되어 있는 환자는 더 오랜 기간 동안 단단하게 압박을 가함.
- 천자 후 출혈이나 압통, 홍반 등의 감염 증상을 확인함.
- 천자부위에 통증이 있으면 경한 진통제를 사용함.
3) 유로빌리노겐 검사
- 소변과 대변으로 배설되는 유로빌리노겐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임.
- 정상적으로 유로빌리노겐의 약 99%는 대변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1%가 소변으로 배설됨
(8) 적혈구 수명검사
-적혈구의 용혈정도 파악, 적혈구의 반감기로 평가, 용혈성 질환 진행 정도 평가
-대상자 혈액20ml+크롬51 혈액 재 주입 해당 적혈구가 사라지는 %율 측정
(2~3주 동안 2~3일 동안)
2) 골수 검사
- 골수의 조혈작용을 평가하는 검사로 대부분의 혈액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검사
- 골수검체물은 흔히 후장골능에서 채취함.
- 때로 전장골능이나 흉골에서도 채취할 수 있으나 흉골은 일반적으로 골수천자의 목적으로만 사용됨.
(1) 골수천자
- 검사에 대한 불안을 완화하고 검사 중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정제 투여함.
- 천자부위에 따라 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검사부위를 소독한 후 무균법을 적용하여 멸균포로 덮음.
- 피부와 피하조직 및 골막을 리도카인 등으로 국소마취한 후 짧고 날카로운 탐침이 있는 바늘을 뼈의 피질을 통해 골수로 삽입함.
- 채취한 골수는 슬라이드에 도말, 건조 시킨 후 병리검사실로 보냄.
(2) 골수생검
- 흉골은 생검을 하기에는 너무 얇아 부적절하기 때문에 장골능이 가장 많이 이용됨.
검사후 간호
- 골수검사가 끝나면 출혈이 멈출 때까지 천자부위 압박 가해줌.
- 혈소판이 감소되어 있는 환자는 더 오랜 기간 동안 단단하게 압박을 가함.
- 천자 후 출혈이나 압통, 홍반 등의 감염 증상을 확인함.
- 천자부위에 통증이 있으면 경한 진통제를 사용함.
3) 유로빌리노겐 검사
- 소변과 대변으로 배설되는 유로빌리노겐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임.
- 정상적으로 유로빌리노겐의 약 99%는 대변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1%가 소변으로 배설됨
추천자료
부인과 환자간호 학습내용
[아동간호학] 신생아실,소아청소년과 실습보고서
[성인간호학][CRF][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Chronic Renal Failure]문헌고찰
성인간호학) 혈액계건강사정 A+
혈액계건강사정, 노화로인한혈액계변화, 혈액계건강진단, 혈액계검사, 혈액장애, 혈액장애대...
혈액계 건강사정(노화) -1. 건강력 2. 신체검진 3. 임상진단 검사 4. 노화로 인한 혈액계 변화
[간호학] 혈액계 건강사정(노화에 따른 혈액계 변화)
[간호학] 혈관계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
[간호학] 혈액계의 건강사정 (노화에 따른 혈액계의 변화와 간호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