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세균에서의 CRISPR 시스템
1.1 CRISPR 시스템
1.2 CRISPR의 작용
2. CRISPR-cas9 기술의 적용
2.1 유전자 편집
2.2 유전자 편집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
Ⅲ. 결론
Ⅱ. 본론
1. 세균에서의 CRISPR 시스템
1.1 CRISPR 시스템
1.2 CRISPR의 작용
2. CRISPR-cas9 기술의 적용
2.1 유전자 편집
2.2 유전자 편집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
Ⅲ. 결론
본문내용
하는 guide RNA로 작용한다. guide RNA는 핵산 가수 분해 효소인 cas 단백질과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자른다. 이 시스템 중 cas9 핵산 가수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로 CRISPR-cas9 시스템이다.
이러한 세균의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구로써 응용 가능하다. CRISPR에 존재하는 cas9 단백질은 핵산을 자르는 가위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바꾸고 싶은 특정 DNA 서열을 인지하는 인공적인 guide RNA를 사용한다면 기능하지 않았으면 하는 유전자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DNA 공여체를 추가적으로 사용한 상동 연결 수리(homology directed repair, HDR)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원하는 서열을 환자의 DNA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사람의 다양한 질병들은 유전자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사람의 유전자를 편집함으로써 많은 병을 치료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체세포 유전자 치료를 이용해 암이나 대사 관련 질환 등을 치료 가능하다.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를 이용해 유전병의 대물림을 막을 수 있다. 이처럼 CRISPR를 사용한 유전자 편집은 최종적으로 사람의 유전자 치료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세균의 CRISPR 시스템과 그 기작에서부터 시스템을 응용한 유전자 편집 기술, 결론적으로 더 나아가 유전자 치료에 적용되는 사례까지의 흐름으로 진행되었다. 물론 CRISPR-cas9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과 치료는 최근에 발명된 기술인만큼 많은 사례가 존재하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기술을 직접 사람에게 적용하기에는 아직 기술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 오류를 일으킬 확률을 배제할 수 없다.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의 경우에는 배아 세포 자체를 편집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논의가 아직 진행되는 중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본 논문에 많은 사례를 구체적으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본 논문에서는 세균에서 유래한 CRISPR-cas9 시스템과 작동 원리, 기술의 응용과 전망까지 아우르는 내용을 통합적으로 담아내었다는 의미가 있다. 논문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사례를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논문에서 다룬다면 사람의 유전자 치료에도 충분히 참고 가능한 논문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기본자료
폴 뇌플러, 『GMO 사피엔스의 시대』, 반니, 2016.
D.Peter Snustad, Michael J.Simmons, 『유전학 원론』, 월드사이언스, 2013.
2. 참고 논문
F Ann Ran, Patrick D Hsu, Jason Wright, Vineeta Agarwala, David A Scott & Feng Zhang, 「Genome engineering using the CRISPR-Cas9 system」, nature, 2014.
Josiane E. Garneau, Marie-E `ve Dupuis, Manuela Villion, Dennis A. Romero, Rodolphe Barrangou, Patrick Boyaval, Christophe Fremaux, Philippe Horvath, Alfonso H. Magada ´n1 & Sylvain Moineau, 「The CRISPR/Cas bacterial immune system cleaves bacteriophage and plasmid DNA」, nature, 2010.
Ksenia Pougach, Ekaterina Semenova, Ekaterina Bogdanova, Kirill A. Datsenko, Marko Djordjevic, Barry L.Wanner, Konstantin Severinov, 「Transcription, processing and function of CRISPR cassettes in Escherichia coli」, Molecular Microbiology, 2010.
Patrick D. Hsu, Eric S. Lander, and Feng Zha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CRISPR-cas9 for Genome Engineering」, Cell, 2014.
3. 온라인 자료
“유전자 가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34655&cid=40942&categoryId=3232.
“면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043&cid=40942&categoryId=32316.
“전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3215&cid=43667&categoryId=43667.
“유전자 공학”,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93295&cid=42411&categoryId=4241.
“인산다이에스터 결합”,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82%B0%EB%8B%A4% EC%9D%B4%EC%97%90%EC%8A%A4%ED%84%B0_%EA%B2%B0%ED%95%A9.
“레트로바이러스”, http://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282262&ksr=1.
“줄기세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349&cid=40942&categoryId=32308.
“조혈모세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811&mobile&cid=51006&categoryI.
Heidi Ledford, “Gene editing staves off deafness in mice”, Nature News, 2017년 12월 20일.
Jocelyn Kaiser, “A human has been injected with gene-editing tools to cure his disabling disease. Here’s what you need to know”, Science, 2017년 11월 15일.
이러한 세균의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구로써 응용 가능하다. CRISPR에 존재하는 cas9 단백질은 핵산을 자르는 가위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바꾸고 싶은 특정 DNA 서열을 인지하는 인공적인 guide RNA를 사용한다면 기능하지 않았으면 하는 유전자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DNA 공여체를 추가적으로 사용한 상동 연결 수리(homology directed repair, HDR)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원하는 서열을 환자의 DNA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사람의 다양한 질병들은 유전자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사람의 유전자를 편집함으로써 많은 병을 치료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체세포 유전자 치료를 이용해 암이나 대사 관련 질환 등을 치료 가능하다.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를 이용해 유전병의 대물림을 막을 수 있다. 이처럼 CRISPR를 사용한 유전자 편집은 최종적으로 사람의 유전자 치료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세균의 CRISPR 시스템과 그 기작에서부터 시스템을 응용한 유전자 편집 기술, 결론적으로 더 나아가 유전자 치료에 적용되는 사례까지의 흐름으로 진행되었다. 물론 CRISPR-cas9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과 치료는 최근에 발명된 기술인만큼 많은 사례가 존재하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기술을 직접 사람에게 적용하기에는 아직 기술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 오류를 일으킬 확률을 배제할 수 없다.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의 경우에는 배아 세포 자체를 편집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논의가 아직 진행되는 중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본 논문에 많은 사례를 구체적으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본 논문에서는 세균에서 유래한 CRISPR-cas9 시스템과 작동 원리, 기술의 응용과 전망까지 아우르는 내용을 통합적으로 담아내었다는 의미가 있다. 논문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사례를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논문에서 다룬다면 사람의 유전자 치료에도 충분히 참고 가능한 논문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기본자료
폴 뇌플러, 『GMO 사피엔스의 시대』, 반니, 2016.
D.Peter Snustad, Michael J.Simmons, 『유전학 원론』, 월드사이언스, 2013.
2. 참고 논문
F Ann Ran, Patrick D Hsu, Jason Wright, Vineeta Agarwala, David A Scott & Feng Zhang, 「Genome engineering using the CRISPR-Cas9 system」, nature, 2014.
Josiane E. Garneau, Marie-E `ve Dupuis, Manuela Villion, Dennis A. Romero, Rodolphe Barrangou, Patrick Boyaval, Christophe Fremaux, Philippe Horvath, Alfonso H. Magada ´n1 & Sylvain Moineau, 「The CRISPR/Cas bacterial immune system cleaves bacteriophage and plasmid DNA」, nature, 2010.
Ksenia Pougach, Ekaterina Semenova, Ekaterina Bogdanova, Kirill A. Datsenko, Marko Djordjevic, Barry L.Wanner, Konstantin Severinov, 「Transcription, processing and function of CRISPR cassettes in Escherichia coli」, Molecular Microbiology, 2010.
Patrick D. Hsu, Eric S. Lander, and Feng Zha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CRISPR-cas9 for Genome Engineering」, Cell, 2014.
3. 온라인 자료
“유전자 가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34655&cid=40942&categoryId=3232.
“면역”,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043&cid=40942&categoryId=32316.
“전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3215&cid=43667&categoryId=43667.
“유전자 공학”,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93295&cid=42411&categoryId=4241.
“인산다이에스터 결합”,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82%B0%EB%8B%A4% EC%9D%B4%EC%97%90%EC%8A%A4%ED%84%B0_%EA%B2%B0%ED%95%A9.
“레트로바이러스”, http://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282262&ksr=1.
“줄기세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5349&cid=40942&categoryId=32308.
“조혈모세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8811&mobile&cid=51006&categoryI.
Heidi Ledford, “Gene editing staves off deafness in mice”, Nature News, 2017년 12월 20일.
Jocelyn Kaiser, “A human has been injected with gene-editing tools to cure his disabling disease. Here’s what you need to know”, Science, 2017년 11월 15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