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대상자의 활동량이 화장실을 다녀오는 것 외에 52병동을 한 바퀴 반 산책하는 것으로 증가하였다.
대상자는 아침을 40%, 점심을 70%, 저녁을 50% 섭취하여 이전보다 총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간호문제/간호진단 4번: 심근경색, 죽음공포와 관련된 불안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의 불안이 감소하고 편안하다고 말한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하루에 두 번 점진적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불안감을 호소하는 횟수가 3회 이하로 줄어들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불안감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이 줄어들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2.환자가 의지하고 불안을 표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
3.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해 불안을 완화한다.
4.명상 등의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1. 표정이 어두워지고 내 손을 잡으면서 불안감을 표현할 때 곁에서 경청해주고, 긍정적인 말로 격려해준다.
2. 보호자에게 가능한 한 환자 곁에 계속적으로 함께 있으며 지지해주기를 교육한다.
3. 손을 잡아주는 등 상황에 적절한 신체접촉을 이용하여 위안해준다.
4. chest pain과 관련된 생각이 떠오를 때 그것을 멈추고 생각을 자제하는 사고정지법, 스스로 호흡을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부교감신경의 흥분을 낮추고, 상대적으로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강하게 하여이완을 얻는 자율훈련법을 알려드렸다..
4
1.그래도 착한 학생이 옆에서 내 말 끝까지 들어주고 항상 옆에와서 말동무나 되어주고 하니까 불안한 감정이 조금 가시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2. 혼자 있을 때보다 신체 활동이나 이동 시 보호자의 도움을 받으며 비교적 원활히 이루어졌으나, 보호자와 말다툼을 자주 함.
3. 고개를 끄덕이며 “그래. 그래. 고마워.”라고 말함.
4.처음에는 이런 거 귀찮아서 못한다고 말씀하시더니, 실제로 불안함을 느끼실 때 곁에서 함께 이완요법을 실시하자 한결 마음이 가벼워지고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말씀하셨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불안감을 호소하는 횟수가 하루 6~7회에서 4~5회 정도로 줄어들었으나 크게 줄지 않았다.
간호 중재 시에 불안감을 표현하는 지속 시간은 줄어들었다.
간호하는 날(2017.10.2.) “기분은 좀 어떠세요?”라는 질문에 “그냥 그래. 지금은 좀 괜찮아졌어.”라고 말했다.
간호문제/간호진단 5번: 침습적 시술, 고령, 영양불균형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는 감염되지 않는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실습이 끝나는 날(2017.10.3.)까지 정상 체온을 유지하고 Lab수치상의 염증소견은 발견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시술 후 6시간 이상 ABR을 유지하고 카테터 삽입부위에 Sandbag으로 압박한다.
2.조영제 배출을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3.천자부위 상태를 사정하고 감염여부를 확인한다.
4.활력징후를 관찰하고 감염이 진행되고 있는 증상 등을 사정한다.
5.천자부위의 무균술을 유지한다.
1.시술 후 6시간 이상 침상안정을 유지하고 카테터 삽입부위에 모래주머니로 압박할 것을 말씀드렸다.
2. NPO를 해제하고 조영제 배출 위해 수분 섭취 권장하였다.
3.천자부위 출혈, 혈종 확인. 감염여부도 확인하였다.
4.활력징후를 관찰하고 Lab수치, 통증 등을 사정하였다.
5. 대상자에게 상처의 오염과 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가 천자 부위를 만지거나 드레싱을 열지 못하도록 교육했다.
1. 몸이 뻐근해 죽겠네..하시면서 조금씩 움직이다가 모래주머니가 떨어지기도 한다고 하시면서 주의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2. 안그래도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고 있다고 말씀하셨다.
3. 간호사선생님과 함께 드레싱을 확인하였으며 천자부위의 상태는 깨끗하고 출혈, 혈종이 없었다.
4.체온 36.2도, 맥박은 72회, 혈압은 110/60mmHg로 안정된 상태였으며 통증점수는 2점이었고 Lab수치에서의 염증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대상자는 체온 36.2도로 정상범위였으며 활력징후도 안정된 상태였다.
대상자의 Lab수치상의 염증소견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천자부위도 염증소견이 보이지 않았다.
간호문제/간호진단 6번: 고령, 쇠약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의 낙상위험이 감소한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낙상위험이 있음을 알고 이를 예방하는 행동을 수행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낙상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한다.
2.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침상에서 일어날 때 주의하도록 교육한다.
4.숙면과 충분한 영양섭취를 격려한다.
1.바닥에 보호자의 짐, 휴지통, 신발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있었다.
2.바닥의 짐들을 병실 락커에 넣을 것을권유하였고 쓰레기통은 침상 옆이 아닌 발밑에, 신발은 침상 아래쪽에 넣어둘 것을 말씀드렸다.
3.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침상에서는 side rail을 반드시 올리도록 교육하고 시범을 보였다.
4.피로 및 기력저하, 불충분한 영양섭취가 낙상의 위험요소가 됨을 교육해드렸으며 충분히 수면하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식사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교육해 드렸다.
1.안 그래도 힘도 없고 피로할 때가 많은데 주위가 지저분하니까 정신 사나웠다고 말씀하셨다.
2. 보호자께서 락커가 있는지 몰랐다고 말씀하시면서 짐을 바로 치우셨다.
3.이거 내려놓으면 간호사가 왜자꾸 내리는지 몰랐는데 인제 알게되었다고 말씀하셨다.
4.평소에 tv를 보면서 식사를 하신다고 하여 다른 환자분께 양해를 구하고 tv를 틀어드리자 대상자께서 한숟갈, 두숫갈 잡수시기 시작하셨고 평소에 잠은 잘잔다고 말씀하셨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대상자는 낙상 위험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고 side rail을 올림으로서 낙상을 예방하는 행동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활동량이 화장실을 다녀오는 것 외에 52병동을 한 바퀴 반 산책하는 것으로 증가하였다.
대상자는 아침을 40%, 점심을 70%, 저녁을 50% 섭취하여 이전보다 총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간호문제/간호진단 4번: 심근경색, 죽음공포와 관련된 불안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의 불안이 감소하고 편안하다고 말한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하루에 두 번 점진적 이완요법을 시행한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불안감을 호소하는 횟수가 3회 이하로 줄어들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불안감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이 줄어들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2.환자가 의지하고 불안을 표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
3.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해 불안을 완화한다.
4.명상 등의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1. 표정이 어두워지고 내 손을 잡으면서 불안감을 표현할 때 곁에서 경청해주고, 긍정적인 말로 격려해준다.
2. 보호자에게 가능한 한 환자 곁에 계속적으로 함께 있으며 지지해주기를 교육한다.
3. 손을 잡아주는 등 상황에 적절한 신체접촉을 이용하여 위안해준다.
4. chest pain과 관련된 생각이 떠오를 때 그것을 멈추고 생각을 자제하는 사고정지법, 스스로 호흡을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부교감신경의 흥분을 낮추고, 상대적으로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강하게 하여이완을 얻는 자율훈련법을 알려드렸다..
4
1.그래도 착한 학생이 옆에서 내 말 끝까지 들어주고 항상 옆에와서 말동무나 되어주고 하니까 불안한 감정이 조금 가시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2. 혼자 있을 때보다 신체 활동이나 이동 시 보호자의 도움을 받으며 비교적 원활히 이루어졌으나, 보호자와 말다툼을 자주 함.
3. 고개를 끄덕이며 “그래. 그래. 고마워.”라고 말함.
4.처음에는 이런 거 귀찮아서 못한다고 말씀하시더니, 실제로 불안함을 느끼실 때 곁에서 함께 이완요법을 실시하자 한결 마음이 가벼워지고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말씀하셨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불안감을 호소하는 횟수가 하루 6~7회에서 4~5회 정도로 줄어들었으나 크게 줄지 않았다.
간호 중재 시에 불안감을 표현하는 지속 시간은 줄어들었다.
간호하는 날(2017.10.2.) “기분은 좀 어떠세요?”라는 질문에 “그냥 그래. 지금은 좀 괜찮아졌어.”라고 말했다.
간호문제/간호진단 5번: 침습적 시술, 고령, 영양불균형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는 감염되지 않는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실습이 끝나는 날(2017.10.3.)까지 정상 체온을 유지하고 Lab수치상의 염증소견은 발견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시술 후 6시간 이상 ABR을 유지하고 카테터 삽입부위에 Sandbag으로 압박한다.
2.조영제 배출을 위해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3.천자부위 상태를 사정하고 감염여부를 확인한다.
4.활력징후를 관찰하고 감염이 진행되고 있는 증상 등을 사정한다.
5.천자부위의 무균술을 유지한다.
1.시술 후 6시간 이상 침상안정을 유지하고 카테터 삽입부위에 모래주머니로 압박할 것을 말씀드렸다.
2. NPO를 해제하고 조영제 배출 위해 수분 섭취 권장하였다.
3.천자부위 출혈, 혈종 확인. 감염여부도 확인하였다.
4.활력징후를 관찰하고 Lab수치, 통증 등을 사정하였다.
5. 대상자에게 상처의 오염과 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가 천자 부위를 만지거나 드레싱을 열지 못하도록 교육했다.
1. 몸이 뻐근해 죽겠네..하시면서 조금씩 움직이다가 모래주머니가 떨어지기도 한다고 하시면서 주의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2. 안그래도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고 있다고 말씀하셨다.
3. 간호사선생님과 함께 드레싱을 확인하였으며 천자부위의 상태는 깨끗하고 출혈, 혈종이 없었다.
4.체온 36.2도, 맥박은 72회, 혈압은 110/60mmHg로 안정된 상태였으며 통증점수는 2점이었고 Lab수치에서의 염증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대상자는 체온 36.2도로 정상범위였으며 활력징후도 안정된 상태였다.
대상자의 Lab수치상의 염증소견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천자부위도 염증소견이 보이지 않았다.
간호문제/간호진단 6번: 고령, 쇠약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일반적 목표(General Goal): 대상자의 낙상위험이 감소한다.
행동 성과 목표: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2017.10.2.)에 낙상위험이 있음을 알고 이를 예방하는 행동을 수행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환자 반응
1.낙상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한다.
2.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침상에서 일어날 때 주의하도록 교육한다.
4.숙면과 충분한 영양섭취를 격려한다.
1.바닥에 보호자의 짐, 휴지통, 신발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있었다.
2.바닥의 짐들을 병실 락커에 넣을 것을권유하였고 쓰레기통은 침상 옆이 아닌 발밑에, 신발은 침상 아래쪽에 넣어둘 것을 말씀드렸다.
3.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침상에서는 side rail을 반드시 올리도록 교육하고 시범을 보였다.
4.피로 및 기력저하, 불충분한 영양섭취가 낙상의 위험요소가 됨을 교육해드렸으며 충분히 수면하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식사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교육해 드렸다.
1.안 그래도 힘도 없고 피로할 때가 많은데 주위가 지저분하니까 정신 사나웠다고 말씀하셨다.
2. 보호자께서 락커가 있는지 몰랐다고 말씀하시면서 짐을 바로 치우셨다.
3.이거 내려놓으면 간호사가 왜자꾸 내리는지 몰랐는데 인제 알게되었다고 말씀하셨다.
4.평소에 tv를 보면서 식사를 하신다고 하여 다른 환자분께 양해를 구하고 tv를 틀어드리자 대상자께서 한숟갈, 두숫갈 잡수시기 시작하셨고 평소에 잠은 잘잔다고 말씀하셨다.
평가: 성과 목표 달성 여부 확인
대상자는 낙상 위험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고 side rail을 올림으로서 낙상을 예방하는 행동을 수행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ER실습) MI case study
[성인간호학][Myocardial Infarction][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MI]문헌고찰
[성인간호학][Myocardial infarction][심근경색증][MI]문헌고찰.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성인간호학][MI][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PTCA]문헌고찰(myocardial infarction)
간호학과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 MI)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MI, 간호과정, SOAPIE, 심근...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 스터디 - 급성심근경색 급성심근경색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