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수술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계 수술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개두술 환자의 간호 】
1. 수술 전 간호
1) 사정
2) 간호
2. 수술 후 간호
1) 사정
2) 간호

【 척수수술 환자의 간호】
1. 수술 전 간호
1) 사정
2) 간호
2. 수술 후 간호
1) 사정
2) 간호

본문내용

삼키는 정도마비 정도
수술 후
첫 식사
ㆍ반고형 음식을 스푼으로 소량씩 입 안에 넣고 삼키는 상태를 관찰
- 반고형이 없으면 물부터 시도하고 오심과 구토가 없고 삼키기에도 문제
가 없으면 미음을 줌
ㆍ소화기계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조기에 정상식을 섭취할수 있음
- 단, 두통이 있는 환자의 경우엔 씹음으로써 두통을 조장
경구 섭취가
어려운 경우
ㆍ일반적으로 뇌수술 후에는 현기증, 오심, 구토가 발생하기 쉬움
- 1일째에는 금식하고 수액으로 수분을 공급
- 2일째부터 상태를 보면서 서서히 경구 섭취시키는데 오심이 없으면 양
을 서서히 늘리고 수액량은 줄임
ㆍ의식 장애 때문에 장기적으로 섭취가 불가능하다고 예측될 경우에는 수
술 후 2일 째부터 경관 영양식을 시작
- 주입 후의 구토를 피하기 위해 주입 전에 체위 변경과 흡인을 미리 실
시하는데 주입 후 20-60분 동안은 체위 변경을 피함
⑥ 배설소변
ㆍ수술직후에는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지만 시간당 소변량(1-2mL/kg. 비중 1.020-1.030)
이 안정되고 의식이 명료하다면 수술 후 1일째에 도뇨관을 제거
※ 예외) 고삼투성 제제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뇌하수체 종양 수술 후
신경학적 배설 장애가 있는 경우
ㆍ방광에 소변이 찬 상태로 참고 있으면 두개내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
문에 도뇨관 제거 후 자연 배뇨가 없는 경우 도뇨관을 재삽입함
대변
ㆍ변비도 IICP의 요인이 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완하제 등으로 배변을 조절
- 스테로이드제를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변을 세심하게 관찰하여
위장관 출혈 여부를 확인
※ 관장금기→ IICP가 예측되는 상황에 있는 환자. 뇌동맥류 수술 전의 환자
⑦ 개인 위생구강
ㆍ4시간마다 소독액을 적신 면봉으로 구강 간호를 하고, 입술 건조를 막기 위해
크림 도포
※ 글리세린은 오히려 수분을 빼앗아서 건조시키므로 사용하지 않음

ㆍ수술 후 1일째부터 전신을 닦음
- 출혈 흔적이나 반창고 자국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깨끗이 지움
- 따뜻한 수건으로 깨끗이 닦아주는 것은 호흡기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됨
ㆍ배액관을 삽입하고 있거나 의식 장애가 있는 환자는 사고 방지를 위해 두 명
이상의 간호사가 목욕을 실시
ㆍ전신 목욕과 머리감기는 봉합사를 제거한 이후에 시행
- 환자에 대한 부담을 생각해서 목욕과 머리감기는 동시에 하지 않고 목욕 후
1~2일 후에 머리를 감게 함
- 수술 후의 첫 머리감기는 간호사가 실시하는데 머리를 감은 다음에 수술 부위
의 상태를 관찰
【 척수수술 환자의 간호】
1. 수술 전 간호
1) 사정
① 기본적인 신경학적 사정실시 → 수술 후 상태 비교
② 수술 전 사지의 운동기능과 감각기능, 수술에 대한 심리적 준비
2) 간호
① 환자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 수술과정에 대해 충분히 설명
② 수술 후에 실시할 통나무 굴리기 체위 방법과 근육 강도 유지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교육하고 훈련함
③ 수술 후 사용할 stryker frame 또는 다른 특수기구에 대해서도 익숙하도록 정보를 제공
수술 후 제한해야 할 활동과 자가간호에 대해 교육
수술 후 활동이 허용 될 때 침상에서 일어나는 방법
④ 수술에 대한 환자의 정서적인 태도를 관찰, 걱정을 표현하도록 격려
2. 수술 후 간호
1) 사정
①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하여 수술 전과 비교
② 수술 후 처음 48동안은 매2~4시간마다 환자의 운동, 감각신경의 기능을 평가
③ 사지의 운동, 감각을 사정하기 위하여 다리를 움직이도록 하고 무감각이나 저린 감각(tingling), 이상감각과 통증에 관하여 사정
⇒ 만약 하지의 허약이나 마비로 인해 괄약근 조절의 상실, 항문 무감각, 요정체가 발생하
면 응급 감압술이 요구 될 수 있으므로 주치의에게 알림
④ 통증 수준과 진통제에 대한 반응을 평가
⑤ 융합수술한 환자 ⇒ 오래 안정해야 하며 심부정맥과 혈전증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Homan's 징후, 다리의 발적 또는 종창, 갑작스러운 흉부통증, 호흡곤란 절개부위의 감염징후 관찰
⑥ 4시간마다 체온측정
⑦ 수술 부위의 드레싱과 배농 및 뇌척수액의 누출을 확인
⑧ 추간판의 문제들은 통증, 치료, 성생활, 질병기간가 생활양식의 변화와 관련하며 심리적 문제도 사정
2) 간호
ㆍ목적 : 수술로 인한 합병증의 방지, 더 이상의 척추손상 예방, 상처의 빠른 치유
① 호흡마비의 징후 관찰
- 척수부종으로 인할 수 있으므로 응급 호흡기구를 늘 곁에 준비해 놓고 목이 굴절되지 않도록 하며 침상 머리를 약간 상승
② 수술 후 환자의 체위변경
- 척추가 일직선으로 유지되도록 통나무 굴리기식
- 앙와위로 누울 때 ⇒ 하부 등근육이 이완되도록 베개를 환자의 다리 아래에 대어줌
- 측위로 누울 때 ⇒ 등 근육에 긴장을 주지 않도록 척추는 똑바로 하고 둔부를 약간 뒤로빼어 체위의 균형을 유지 위쪽에 있는 다리는 굴절시켜 다리사이에 베개를 끼워줘 상부 처짐을 방지
③ 일상생활
- 변기사용시 ⇒ 환자의 등과 다리를 지지해서 신체의 모든 부분이 같은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변기는 골절변기나 어린이용 변기 사용
- 드레싱 교환 ⇒ 출혈이나 뇌척수액의 유출이 있는지 멸균 거즈를 덧대어 준 다음 교환
- 수술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수분을 공급하고, 음식은 허용이 되는 것으로 제공
- 장과 방광의 기능장애가 예상되므로 장과 방광의 팽만을 매2-4시간마다 점검하고 I/O기록하고 장음을 청진
- 수분섭취와 섬유소가 많이 든 음식으로 규칙적인 배변을 하도록 한다.
④ 운동과 활동
- 척추수술 후 4-6주 동안 앉는 자세가 허용되지 않으며 특히 요추 수술 후에는 눕거나 일어서거나 걷는 자세만 허용
- 걸을 때는 양말을 신고 견고한 신발을 신도록 하며 슬리퍼는 피함
- 보조기와 콜셋을 시도할 경우 처음에는 침상에서 일어날 때, 누운 상태에서 24시간 착용
- 체간부 석고붕대는 척추융합술 후 대개 6-8주 동안 함
- 석고붕대 제거 후에는 등보조기로 3-5개월 동안 지지해 줌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하) / 2006 / 현문사 / 전시자외
성인간호학Ⅲ / 2004 / 수문사 / 서문자외
임상간호메뉴얼Ⅲ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