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경영학의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일경영학의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독일경영학의 발달

I. 상업학으로서의 독일경영학의 발달
1. 모방시대
2. 전환시대
3. 체계화시대

II. 경영경제학으로서의 독일경영학의 발달
1. 경영경제학의 태동기
2. 경영경제학의 발전기
3. 미국경영학과 독일경영학의 비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슈말랜바하와의 사이에서 빚어지기에 이른다. 이 논쟁의 핵심은 한마디로 말해서 "경영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이론과학인가 또는 실천과학인가"하는 문제였다. 다시 말해서 방법논쟁은 경영학이 순수한 과학론인가 또는 기술론인가 하는 문제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처음에는 경영학의 연구방법을 둘러싸고 빚어졌던 논쟁이었지만, 경영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학문적인 성격이 규명되어야 한다는 데에 차차 초점이 옮겨지자 논쟁이 불붙기 시작한 것이다. 이 논쟁에는 당시의 거의 대부분의 학자들이 참여하게 되지만, 대략으로 말한다면 경제학에서 갈라져 나온 바이어만, 세니쁘 일파는 경영학이란 역시' 경제학처럼 이론을 주로 하는 순수과학이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에 대해 상업학의 전통을 이어받은 슈말랜바하 일파는 회계학을 그 기반으로 하는 경영학은 마땅히 실천을 주로 하는 응용과학이자 기술론이어야 한다고 맞서게 된다.
오늘날 회계학의 원조로 손꼽히는 슈말랜바하는 훗날 소위 퀼른학파의 선구자가 되어 더욱 유명해지지만, 제1차 방법론쟁에서는 대체로 그가 주장하는 기술론이 우세해지는 가운데 192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다시 제2차 방법논쟁이 벌어지기에 이른다. 그 직접적인 계기는 라이거(W. Rieger)에 의해 1928년에 출판된 '사경제학입문'에 의해서이며, 앞서의 바이어만, 세니쯔의 경우처럼 라이거가 경영학은 역시 이론을 주로 하는 순수과학이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데서부터 또 다시 논쟁이 불붙기 시작한다. 라이거에 맞서 다시 슈말랜바하를 선두로 한 쾰른학파가 가세함으로써 제2차 방법논쟁은 가열해지기에 이른다.
그런데 이 '이론과학인가 또는 응용과학인가' 하는 문제는 경영학의 성격을 규명한 데 관한 대단히 어려운 문제로서 어느 의미에서는 오늘날까지도 끝없이 계속되고 있는 난제라고도 할 만하다. 그러기에 현대경영학에서는 그 학문적 성격을 이론과 실제의 양생적 학문, 따라서 이론과학이자 응용과학으로서의 '실천적 이론과학' 으로 못 박게 되게 되었다.
그런데 이때에 즈음하여 독일경영학에는 그 학문적 성격에 있어서 과학성 여부와는 관계없이 보다 다른 관점에서 두 가지 뚜렷한 학파적인 흐름이 형성되기 시작하기도 한다. 그 하나는 이른바 경험 실천적인 흐름이며, 또 하나가 윤리 규범적인 흐름이다. 경험, 실증적인 흐름이란 경영학의 연구에 있어서는 실증될 수 있는 실제의 경험만을 그 대상으로 삼으려는 경향을 뜻한다. 다시 말해서 경영학에 관한 모든 연구는 경영을 둘러싸고 빚어졌거나 빚어질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만을 다루고자 하는 흐름으로서 이는 바로 현대경영학이 바탕이 되고 있기도 하다. 물론이 흐름에는 이론과학임을 앞세우는 조류나 응용과학임을 앞세우는 조류가 다 같이 공존하며, 한마디로 표현해서 이 조류는 '있게 되는 것을 그대로 나타내는 식'이라 해서 곧잘 '자인(Sein)의 사고방식'이라고도 불리운다.
한편, 이론 규범적인 흐름(윤리 규범학파)은 실제의 경험을 크게 여김이 없이 그 어떤 윤리적이거나 도덕적인 것을 바탕으로 한 규범을 마련해 놓고 여기에 모든 경영활동의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하는 흐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도덕적인 인간사회에 있어서의 경영은 반드시 이래야 한다는 식의 기준을 설정해 놓고, 이를 모든 경영활동의 지표로 삼고자 하는 흐름으로서 바로 이는 현대경영학에서 추구하는 경험대상으로서의 경제성원칙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그러면서도 어지간히 비현실적인 사고방식이라 할 만하다. 이러한 흐름이 역시 한마디로 표현될 때 '이렇게 되어 있어야 한다는 식'이라 해서 흔히 '졸랜(Sollen)의 사고방식'이라고도 불리어진다.
<표> 경영경제학의 발전시대하의 조류
이처럼 '경영경제학의 발전시대'를 장식하는 독일경영학의 조류에는 두 개의 커다란 흐름이 있다고 하겠으나, 그 시초에 있어서는 아무래도 경험 실증학파, 그 가운데서도 슈말랜바하가 이끄는 기술론파가 니클리쉬에 의해 주도된 윤리 규범학파를 상당한 면에서 압도해 왔었다고 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윤리 규범적인 경향은 한마디로 표현해서 초윤리적인 규범을 과학적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윤리적인 가치판단의 객관성을 논증할 필요가 있으나, 경험 실증적인 경향에 뒤질 수밖에 없는 학문적 '딜레마'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후 최소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는 그 당시의 국가사회주의라는 객관적인 정세탓과 함께 사회공동체의 이념을 크게 앞세우는 니클리쉬의 영향으로 윤리 규범적인 흐름이 초리어 경험 실증적인 흐름을 앞지르는 형편에 놓여 있게 되었다는 것은 현대경영경제학 사상 아이너리칼한 사실의 하나가 되고 있다.
곰베르히에 의해 상업경영학과 공업경영학의 양대산맥으로 형성되기에 이론 경영경제학으로서의 독일경영학은 제1차와 제2차에 걸친 방법 논쟁의 틈바구니에서 크게 발전되어 나가며, 여기에 경험 실증적인 흐름과 윤리 규범적인 흐름이 갈등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을 맞이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1910~1912년에서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의 시기를 흔히 '경영경제학의 발전시대' 라 호칭하며, 또 그 후로 이어지는 시기를 '경영경제학의 심화시대 또는 이론화시대'라 일컫는다. 따라서 한마디로 제2차 세계대전이 경영경제학의 발전시대와 심화시대의 분기점이 되고 있다고 하겠다.
(3) 미국경영학과 독일경영학의 비교
미국경영학과 독일경영학의 차이점은 아래의 표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표> 미국경영학과 독일경영학의 비교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07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