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의세계 공통) 외국의 신화 2편을 선택하여 소개하고 신화의 의미 등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의세계 공통) 외국의 신화 2편을 선택하여 소개하고 신화의 의미 등에 관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화란

2. 신화 소개
1) 그리스 로마 신화
2)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의 상징
(1) 제우스
(2) 헤라
(3) 아폴론
(4) 아테나
(5) 뮤즈
(6) 아르테미스
(7) 포세이돈
3) 나의 의견

3. 신화 소개
1) 중국신화의 기원
2) 중국 창세신화 - 반고신화
3) 반고신화 소개
(1) 천지 창조
(2) 인류창조
3) 나의 의견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 우주의 각 부분을 구성한다는 사유는 우주 또한 생명을 가진 유기체로 파악하였던 고대 인류의 지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2) 인류창조
“반고가 죽은 후, 그의 숨은 바람과 구름으로, 그의 목소리는 천둥으로, 그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은 각각 해와 달로, 그의 사지오체는 땅의 사극과 오악으로, 그의 머리와 수염은 별자리로, 그의 피부와 모의 털은 식물과 나무로, 그의 치아와 뼈는 금속과 돌로, 그의 골수는 금과 보석으로, 그의 땀은 비로 화하였다. 그리고 그의 몸의 벌레들은 바람의 감응에 의해 인간으로 변했다.“
반고라는 거인의 사체에서 인류가 비롯되었다는 설명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신화소이다. 이 신화에서는 인간을 반고의 사체에 기생하는 ‘벌레’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를 인간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 광활한 우주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미약한 존재일 수밖에 없는 인간의 존재감에 대한 인식 정도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앞서 언급했 듯이 어떤 외적 존재의 개입 없이 우주만물의 생성을 이야기하고 있는 반고신화에서는 인간도 ‘신’에 의해 창조된 존재가 아니라, 자연 발생적으로 생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인류 창조의 양상을 진화론과 창조론으로 이분(二分)한다면, 반고신화는 진화론적 사고가 지배적인 신화라고 할 것이다.
3) 나의 의견
중국 각 민족은 나름대로 고유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화라는 것이 각 민족이 경험했던 사물에 대한 인식이나 그에 대한 해석을 반영하는 점에서 각 민족의 신화는 각자 고유한 특징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중국 신화의 특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내용의 광범성(泛性) 중국의 신화는 온전하게 남아 있는 기록이 없고 중요한 내용이 빠져 있지만 기록이 남아 있는 중국 신화 이야기 문헌 중에서 그 내용의 종류가 매우 광범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주신이 없는 신화 중국의 상고 신화는 그리스나 로마, 이집트, 바빌론 그리고 북유럽 민족의 신화와는 달리 완전한 신화 계통을 가지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민족의 신화에는, 뭇 신들을 통수하는 하나 혹은 두셋의 주신(主神)들이 등장한다.
- 신의 원시성(原始性) 그리스, 로마 및 이집트 등의 민족 신화에서 신의 능력은 매우 명확했다. 지혜의 신, 태양의 신, 사랑의 신, 전쟁의 신, 술의 신, 희망의신, 운명의 신 등 개념이 명확한 추상적인 신들이 신화에 등장한다. 그러나 중국 신화의 개념신(槪念神)은 단지 생명 혹은 죽음의 신인 대사명(大司命)소사명(小司命) 등 극소수에 지나지 않으며, 절대 다수는 모두 자연신(自然神)이거나 씨족신(氏族神) 그리고 영웅신들이다. 즉, 중국의 상고 신화가 비교적 원시적이고 고원(古遠)하다고 볼 수 있다.
- 사람 모습이 아닌 신의 형상 그리스나 인도 등의 민족 신은 외형상 대다수가 사람 모습을 하고있으나, 중국 신화의 신은 순수한 사람 모습을 한 것이 비교적 적고 대다수가 짐승 모습을 하고 있거나 반인 반수(半人半獸)의 형상을 하고 있다.
- 풍부한 원국이인(遠國異人) 신화 원국이인(遠國異人) 신화는 중국 신화뿐만 아니라 세계 각 민족의 원시 신화에 공통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의 상고 신화에는 다른 민족에 비해 특히 이러한 원국이인(遠國異人) 신화가 많다.
4. 시사점
신화는 한 민족이 믿는 신, 영웅, 문화적 특성, 신앙 등이 가지는 우주론적이고 초자연적인 전통을 설명하는, 과거에 실제로 일어났던 일을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신화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데, 신화는 \'과학이 생겨나기 이전의 과학\'으로 사건을 설명한다. 『신화학 입문』에서는 신화란 이 세계의 시초, 원초에 일어난 인간에게 있어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 우주, 인류문화의 기원을 이야기하며, 원고에 일어난 그 일회적인 사건이 후세, 특히 현재의 자연, 문물뿐 아니라 인간행동 일반에 있어 커다란 규제력을 가지며, 규범이 된다. 신화의 의미는 종합해보면 다음의 네 가지로 규정할 수 있다.
a. 신에 관한 이야기.
b.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의 기원과 질서를 설명하는 이야기.
c. 신성시되는 이야기.
d. 일상 언어를 초월한 상징적 세계를 표현한 이야기.
전설은 전승자가 진실되다고 믿고 실제로 있었다고 주장하며,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가 제시되고, 특정의 개별적 증거물을 갖는 이야기이다. 민담에 비해 전설은 사회적 공명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야기되는 것으로 과거의 역사적 회상을 나타내며, 부족 생활에 한층 깊이 관여한다. 때문에 전설은 역사적으로 실재했다고 생각되는 고유명사를 가진 인물들이 활동에 대한 설화로서 내용이 역사적 사실에 가깝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외국의 신화 2편을 선택하여 소개하고 신화의 의미 등에 관하여 서술해 보았다. 사람들은 이 세계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면서 ‘이 세계의 시작’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의문을 품기 시작하였다. ‘나’의 근원을 찾기 시작하면서 ‘가족’, ‘국가’, ‘세계’, ‘우주’에 대한 근원적 의문을 시작하여 다양한 신화들이 만들어졌다. 그로인해 오늘날 다양한 신화를 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창세신화는 ‘신화의 본질로서 우주와 인간, 신과 인간에 대한 기본 사유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참고로 한다면 ‘이 세계와 우주, 그리고 창조주, 인간 창조를 아우르는 답을 찾기 위한 이야기’를 창세신화라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난주, 『융 심리학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신화』, 집문당, 2007.
송건호(2009). 『그리스 로마 신화』. 북마당.
홍병선(2010). 『그리스 신화의 철학적 사유』. 언경문화사.
홍사석(2002). 『그리스의 신과 영웅들』. 도서출판 혜안.
조병준(2008). 『그리스 신화 패러다임』. 도서출판 만남.
카를 케레니(2002) 『그리스 신화』장영란, 강훈 옮김. 궁리출판.
이영석(2004). 『그리스 로마의 신화와 전설』 삼육출판사.
박광순, 신이의 나라 중국의 신화와 전설, 서울 : 펴낸곳(주)도서출판사, 2000.
선정규(宣釘奎), 중국싱화연구, 서울 : 고려원출판사, 1996.
  • 가격5,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