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의 증상과 진단 및 분류 당뇨합병증(당뇨병의 급성합병증 및 만성합병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뇨병의 증상과 진단 및 분류 당뇨합병증(당뇨병의 급성합병증 및 만성합병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당뇨병

I. 당뇨병의 증상

II. 당뇨병의 진단
1. 혈당검사
2. C-펩타이드
3. 당화혈색소
4. 요당

III. 당뇨병의 분류
1. 제1형 당뇨병
2. 제2형 당뇨병
3. 임신성 당뇨병

IV. 당뇨 합병증
1. 급성합병증
1) 저혈당
2) 당뇨병성 케톤산증
3) 고삼투압성 고혈당
2. 만성합병증
1) 대혈관병변
2) 미세혈관병변
(1) 당뇨병성 신증
(2) 당뇨병성 망막변증
3) 당뇨병성 신경병증

참고문헌

본문내용

력장애, 의식수준의 변화가 나타나며, 심할 경우 혼돈, 환상,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인다. 저혈당 증상이 있을 경우는 혈당을 측정하여 확인한 후 바로 단순당 15~20g정도가 포함된 주스나 사탕을 공급하여 혈당을 회복시키도록 한다.
그림.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병태생리
2) 당뇨병성 케톤산증
제1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용량이 부적당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중단한 경우, 처방된 식사량 및 내용을 지키지 않고 과다하게 섭취하였을 때 인슐린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체내의 인슐린이 부족할 경우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이 이용되지 못하고 대신 체내 지방이나 단백질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 완전히 연소되지 못한 중간 대사산물인 케톤체의 생성이 증가하여 산독증이 발생한다. 증상은 구토, 갈증, 탈수, 식욕부진,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고 호흡 시에 과일 냄새 acetone breath가 나며, 심할 경우 혼수상태 diabetic coma에 빠지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3) 고삼투압성 고혈당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감염, 췌장염, 스테로이성 약물의 투여, 혹은 스트레스에 의해 인슐린의 작용이 감소되어 혈당이 600~2,000mg/dL까지 상승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케톤산증은 보이지 않는다. 고혈당으로 인한 삼투압의 상승에 따른 탈수 때문에 다식 다음 다뇨 빠른 호흡 저혈압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의식이 나빠져서 혼수상태로까지 진행되기도 한다. 저삼투압성 용액 보충과 인슐린 투여로 치료하여야 한다.
2. 만성합병증
만성합병증은 대혈관병변macrovascutar complication, 미세혈관병변microvascutar complication과 신경병증neuropathy으로 구별된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 상승은 세포와 조직의 손상을 유발하며, 또한 당생성물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당화 최종산물AG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이 생성되고 세포에 축적되어 혈관을 손상하게 된다.
1) 대혈관병변
당뇨병에서 혈관 합병증은 대혈관에서 동맥경화증이 시작되어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하지동맥경화증이 올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고지혈증과 고혈압이 동반되어 혈중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고, 고밀도지단백HDL 수준이 감소하여 죽상경화성 혈관질병과 관상동맥질환 진행을 촉진한다. 대혈관병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당 조절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며, 고혈압 및 고지혈증을 조절하는 식사조절과 금연을 하여야 한다.
2) 미세혈관병변
1/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이 진단되고 대략 10년 후에는 신장의 모세혈관 손상으로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설되는 단백뇨 현상을 보이다가 더 진행되면 사구체경화를 초래하고 노폐물이 배설되지 않아 혈중에 쌓이는 요독증uremia이 되고, 결국 신장기능이 정지된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상태가 된다.
그림. 당뇨병의 합병증
2/ 당뇨병성 망막병증
당뇨병 환자에게서 가장 흔한 눈의 합병증은 망막 모세혈관에 생기는 병변으로 약해진 모세혈관 부분이 늘어지는 미세동맥류가 나타나고, 손상된 모세혈관으로 지질이나 단백질의 투과도가 상승하여 조직괴사와 망막 부위의 혈관 손상이 발생한다.
3)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 환자의 말초신경 손상은 팔 다리로의 신경자극의 전달이 저하되어 감각을 잃거나, 심할 경우 발과 다리가 부패되는 괴저 gangrene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위장관의 신경전달 이상은 위정체(gastroparesis)와 위배출 지연(delayed gastric emptying) 증상을 유발하여 위장에서 소장으로의 영양소 배출을 지연시켜 소장에서의 영양소 흡수가 인슐린 작용시간이 지난 후 이루어져 혈당상승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보건간호 일반> 김희영 김보영 저 / 포널스출판사 / 2016
<임상간호와 영양> Stump Suzanne Do 저 / 정담미디어 / 2016
<간호와 영양> 김영경 김희순 외 3명 저 / 현문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