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의 유형(발달놀이치료 치료놀이 휘리얼 세라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치료의 유형(발달놀이치료 치료놀이 휘리얼 세라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놀이치료의 유형

I. 휘리얼 세라피
1. 개념
2. 목적
3. 대상
4. 제한 상황
5. 진행과정
6. 구조화 기술

II. 발달놀이치료
1. 개념
2. 기본원리
3. 치료효과
4. 발달놀이 치료실
5. 접촉을 위한 기법

III. 치료놀이
1. 개념
2. 치료놀이 원리
3. 치료놀이 구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체적 접촉을 허락하고 촉진한다. 테이블과 의자, 크레용, 연필과 종이는 대부분의 아동들이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매체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발달놀이치료에서 놀잇감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5. 접촉을 위한 기법
1) 신체부위의 접촉과 명칭
발달놀이 치료는 아동의 손, 팔, 얼굴을 자주 접촉한다. 치료자의 손으로 아동의 손, 손가락, 손등, 팔, 다리 등 몸 전체를 접촉하면서 신체 부위를 말해준다. 또한 신체접촉의 감각에 대해 표현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보들보들해요", "(이름) 손가락에 주름이 있어요.", "팔꿈치는 딱딱해요" 등의 표현을 하면서 어루만져 준다. 맨발을 이용하여 아동의 발, 다리 등을 접촉하면서 신체부위의 이름을 말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접촉들을 주고받으면서 아동은 자신내부에 대한 관심을 치료자에게 쏟으면서 반응을 보이고, 이는 다시 이러한 외부적 자극을 내부로 돌리는 순환적 반응을 보이면서 관계 맺기를 시작한다.
2) 안고 흔들기
안고 흔들기는 생애초기의 어머니의 돌봄을 몸으로 느끼게 하는 것이다. 흔들의자에 암아, 혹은 카펫 위에 암아 젖먹이는 자세로 아동을 안고 흔들어준다. 이때, 아동과 눈 맞춤을 하면서 자장가를 불러주거나 나즈막한 노래를 불러주는 것이 좋다. 노래는 일반적인 조용한 노래도 좋지만 아동과 관련된 내용을 지어내어 불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아동을 안고 흔들면서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서 그저 엄마의 품을 경험하게 해주는 것도 괜찮다.
3) 스킨십과 대화
아동에게 어디에 뽀뽀를 해주면 좋은가 하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자신의 신체 중 중요하게 여기는 곳에 대해 인식하게 한다. 또한 스킨십은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해줄 수 있다. 다정한 型펄를 해줌으로써 무조건적 애정을 주고받는 것을 배울 수 있다. 가볍게 안아주는 것도 그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말하기 역시 접촉의 일부이다. 말하는 사람의 목소리 촌은 많은 감정을 전달해주는 힘을 가지고 있다. 아동을 접촉하면서 상냥하며 부드럽고 느린 목소리로 아동에게 안정감을 주는 것이 좋다.
아동에게 노래를 불러줌으로써 목소리 진동을 느끼게 해주고, 때로는 같이 노래를 부름으로써 조화를 이루어내게 할 수도 있다. 특히, 자장가 등 나지막한 노래를 불러줌으로써 리듬, 목소리 진동, 가사 내용, 신체접촉, 눈길 등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좋다.
4) 제한설정
제한설정은 허용되지 않는 행동에 대해 일러주고, 꼭 지켜야할 것에 대해 확실하게 말해주는 것이다. 물건을 파괴하거나 치료자를 때리는 행동을 할 때에, 강제로 아동을 붙잡고 "때리는 것을 그만두면 놓아줄게" 하며 진정시키거나, "저기 네가 좋아하는 놀잇감이 있네" 하는 식으로 말하여 주의를 돌리는 것이 좋다.
발달놀이치료는 치료자가 주도권을 가지는 치료양식이므로, 이러한 제한을 통해 아동에게 치료자를 조정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히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III. 치료놀이
1. 개념
치료놀이(Theraplay)는 1960년대 말, 미국의 젠버그(Jernberg)에 의해 시카고의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중 아동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치료놀이는 애착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애착(attachment)이란 주양육자와 갖는 정서적 유대감으로 생애초기의 애착은 이후 대인관계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치료놀이는 치료자가 주도권을 갖고 재미있는 신체적 접촉을 통해 애착을 증진시키는 놀이치료의 일종이다. 즉 치료놀이는 접촉, 놀이, 활동적 게임을 통해 바람직한 양육을 경험하여 애착을 발달시킨다.
치료놀이는 발달놀이치료 양식의 일부를 활용한다. 주로 학대, 입양, 시설보호 등으로 부적절한 애착형성을 가진 아동에게 생동적이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접촉과 활동을 제공한다(Koller & Booth, 1997).
치료놀이는 아동의 사회성이나 대인관계 향상, 자신감, 행복, 자기인식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치는 놀이치료양식이라 하겠다.
2. 치료놀이 원리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에서 보여지는 4가지 범주가 치료놀이의 효과의 원리로 적용된다(Jernberg, 1979).
1) 구조화(structure)
아동의 안전과 신뢰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한계와 경계, 기대, 통제력 등을 제시해주는 것을 구조화라고 한다. 치료놀이의 진행 시간이나 기본적인 규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2) 도전(challenge)
도전은 성공의 경험을 아동이 할 수 있게 하여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치료자는 아동의 협력자가 되어 발달 수준에 적합한 경쟁, 신뢰, 성취를 경험할 수 있게 한다.
3) 자극과 관심(stimulation and engagement)
아동에게 다양한 자극과 관심을 주어 즐겁고 신나는 경험을 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성과 의사소통, 대인관계의 향상을 가져 오게 한다.
4) 양육(nurturing)
수용적인 양육 행동을 통해 보호와 안전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양육적인 행동에는 안아주기, 업어주기, 달래주기, 밥 먹여주기 등의 구체적 행동이 포함되는데, 이를 통해 세상이 안전하고 우호적이고, 예측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3. 치료놀이 구조
치료놀이를 위한 치료실 환경은 발달놀이치료실과 마찬가지로 단순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편하게 앉을 수 있는 바닥이 필요하며, 베개, 방석, 거울, 담요 등이 필요하다. 아동의 집중을 분산시키는 놀잇감이나 물건 등은 치우는 것이 좋다.
치료놀이 회기는 일반적으로 30-40분간 이루어지며, 1주일에 최소 1회가 적절하다(Jernberg & Booth, 1999).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