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제왕절개 case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복제왕절개 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3
A. 간호사례선정이유
B. 대상자고찰



Ⅱ. 문헌고찰 3
A. 해부, 병리, 생리
B. 원인
C. 증상
D. 진단적 검사
E.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5
A. 간호력
B. 신체검진
C.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
D. 병의 경과
E.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14
A.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기술
B. 모성간호학 실습 소감 간단히 기술

Ⅴ. 참고문헌 14

본문내용

전에 PCA를 사용을 교육한다.
병실을 자주 순회하여 대상자의 활동정도를 사정했다.
SN.000
대상자에게 조기이상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해서 설명해주었으며, 병실 복도를 천천히 걸어다니라고 교육했다.
SN.000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운동시에 옆에서 같이 걸음을 맞춰주고, 언어적으로 따뜻한 표현을 하는 등 대상자의 조기이상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했다.
SN.000
대상자의 신체적인 활동을 지지해 줄 수 있는 폴대를 제공했다.
SN.000
대상자에게 보행 전에 PCA를 사용하여 통증을 조절 한 뒤 운동을 하시라고 교육했다.
RN.정OO
대상자의 활동정도를 사정함으로써 산모의 활동량을 알 수 있고 어느 정도의 활동제한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12, 수문사, 제 7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조기이상은 장기능, 전신순환을 증가시키고 정맥염을 예방하며 폐환기를 증진시킨다.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12, 수문사, 제 7판 여성건강간호학Ⅱ)
보호자가 산모의 활동을 도움으로써 산모가 활동을 하는데 용기를 얻고 산모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12, 수문사, 제 7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지지할 수 있는 보조 기구를 사용하면 신체적인 활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송경애 외 2 저, 2014,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진통제의 투여로 통증이 감소되어 기동성이 증가한다.
(송경애 외 2 저, 2014,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간호 평가
대상자는 통증을 조절하여 병실복도를 다니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SN.000
대상자는 조기이상의 중요성을 이해했으며, 3가지 이유를 말할 수 있다.SN.000
주관적 자료
“아... 몸에 힘이 없어서 걷기 힘들어요.”
“아... 힘이 빠져요... 누가 잡아주거나 폴대 잡아야지 안 넘어질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입원 당시 Morse Fall Scale 결과 55점으로 낙상고위험군임.
화장실로 이동 시에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함.
화장실을 가는 것 이외에는 다른 움직임이 없음.
간호진단
보행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낙상 위험 사정이 30점 이하로 측정될 것이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낙상사정도구로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사정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침대 난간을 항상 올려둔 상태를 유지시키라고 교육한다.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적인 요인을 제거한다.
대상자에게 기립 시 천천히 일어나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움직임을 옆에서 잘 관찰하며,대상자의 이동시에 옆에서 부축해주고 지지해줄 것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한다.
낙상사정도구로 낙상위험도를 사정했다.
RN.정OO
대상자 주변과 바닥에 있는 모든 물건을 치워서 낙상의 위험을 예방하였다.
SN.000
침대 난간을 항상 올려놓음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교육시켰다.
SN.000
대상자의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도록 하였고 마찰정도를 확인하였으며, 바닥의 물기 등을 반드시 제거하여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을 제거시켰다.
SN.000
대상자에게 기립 시에 침상에 잠깐 걸터앉은 뒤에 천천히 폴대를 잡고 일어서는 방법을 교육했다.
SN.000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움직임을 옆에서 잘 관찰하며,대상자의 이동시에 옆에서 부축해지고 지지해주는 것을 교육했다.
SN.000
대상자에게 낙상예방교육을 실시했다.
RN.정OO
대상자의 인지 정도를 정확히 판단해야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송경애 외 2 저, 2014,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주변 환경을 사정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
(송경애 외 2 저, 2014,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침상 난간이 올려져 있음으로 인해 낙상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송경애 외 2 저, 2014,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대상자가 미끄러져서 넘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기립시 천천히 일어나면 낙상의 위험성이 감소시킬 수 있다.
(송경애 외 2 저, 2014,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보호자의 부축과 지지로 인해서 낙상의 위험성이 감소시킬 수 있다.
낙상예방교육을 통해 낙상에 대해 인지시키고 실천할 수 있게 한다.
(송경애 외 2 저, 2014, 수문사, 최신 기본간호학 하권)
간호 평가
대상자는 교육을 통해 퇴원 전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았다.RN.정OO
2일후 낙상 위험 사정도를 측정한 결과, 20점으로 저 위험군에 측정되었다.RN.정OO
Ⅳ. 결론 및 느낀 점
A.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기술
케이스 대상자를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일일이 설명해주셔서 놀랐다. 정말 바쁘신 와중에도 하나하나 설명해주시고 알려주시는 모습에 감동하였다. 이전에 분만실 실습들을 떠올리며 설명을 들으니 대입이 되고 이해할 수 있었다.
B. 모성간호학 실습 소감 간단히 기술
이번학기 실습은 진짜 머지않은 신규간호사가 될 나 자신이 간접경험을 하자는 생각으로 임했다. OPD를 나갈 수 있을 지는 꿈에도 몰랐었다. 다들 탈임상을 꿈꾸거나 외래로 로테이션을 꿈꾸는 것을 익히 알고 있었지만, 내가 경험한 외래는 조금 달랐다. 9~6근무라면 30분 일찍 와서 진료실 정리, 모닝케어를 하고 학생인 나를 먼저 퇴근시키고 선생님들은 남아서 조금 정리한 후 퇴근하는 것 같았다 실로 따지면 병원에서 10시간을 보내는 것인데 사실 신규나 연차가 낮으면 앞뒤 근무는 필수이지만 외래에 계신 선생님들은 연차가 쌓여도 앞뒤 시간이 붙는 것이 불변인 것 같아 보였다.
Ⅴ. 참고 문헌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서울특별시(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서울특별시(2012).
최신 임상간호메뉴얼Ⅱ. 현문사. 유해영. 서울특별시(200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 병원편. (2005).
성인 간호학 상. 현문사. 조경숙 외. 서울특별시(2014).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9.03.08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