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사일리지 작물과 고간류의 분류 및 특성
3. 자급 조사료 이용률 향상법 고찰
4. 결론
2. 사일리지 작물과 고간류의 분류 및 특성
3. 자급 조사료 이용률 향상법 고찰
4. 결론
본문내용
수출 시의 품종에 대한 인식도 필요하다. 일본산 소는 우리 한우보다 그 육질이 아주 높지 않음에도, 체계적으로 관리가 되어 수출되고 있다. 우리의 여러 축산물도 이처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 아래에서 잘 분류되어 상품화될 필요가 있다.
결국 조사료, 그중에서도 수입보다는 수출을 위한 조사료의 사용은 결국 상품 가치와 연결되지 않는가? 대체로 상품을 판매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안이 있다. 첫째, 원재료 혹은 자질이 좋아서 상품이 좋아 잘 팔리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대체로 작은 규모의 회사나 업종보다는 큰 규모가 좋다. 둘째, 첫째와 정 반대 상황이다. 자질이 좋지 않고, 혹은 평판이 크게 좋지 않았더라도 누군가 상품으로 관심을 갖게 되면 그 평판의 향상을 위하여 원재료 등의 기초를 탄탄하고 좋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국내산, 즉 자급 조사료를 위하여서는 바로 이 두 가지를 모두 할 수 있어야 한다.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인식의 개선과 제도, 그리고 그 방안을 적절하게 잘 섞어서 이용할 수 있을 때에만이 보다 근본적으로 자급 조사료 이용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사일리지와 고간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국내산 조사료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보다 기술적이고 효과적인 것에 논할 수도 있었겠으나, 이는 미시적인 개선책이다. 최근 연구 경향은 점차 미시적으로 가고 있으며, 거시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추상적인 것으로 치부하여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 글을 통해, 이번 논의에서만큼은 거시적인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모든 문제는 거시와 미시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때 해결이 된다. 자급 조사료에 대해서도 보다 근본적인 것과 기술적인 것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사일리지, 두산백과.
고간류, 농업용어사전:농촌진흥청.
김계웅, 동물자원학개론, 선진문화사, 2013.
맹원재, 최일, 이순복, 장문백, 고대환, 부존 사료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12, 한국낙농학회, 1990.
허정민, 맥류의 수확시기가 사일리지의 재료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이상석, 하종규, 장문백, Auto-Pressure Transducer를 이용한 국내산 고간류의 사료가치 평가, 한국축산학회지 45,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결국 조사료, 그중에서도 수입보다는 수출을 위한 조사료의 사용은 결국 상품 가치와 연결되지 않는가? 대체로 상품을 판매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안이 있다. 첫째, 원재료 혹은 자질이 좋아서 상품이 좋아 잘 팔리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대체로 작은 규모의 회사나 업종보다는 큰 규모가 좋다. 둘째, 첫째와 정 반대 상황이다. 자질이 좋지 않고, 혹은 평판이 크게 좋지 않았더라도 누군가 상품으로 관심을 갖게 되면 그 평판의 향상을 위하여 원재료 등의 기초를 탄탄하고 좋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국내산, 즉 자급 조사료를 위하여서는 바로 이 두 가지를 모두 할 수 있어야 한다.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인식의 개선과 제도, 그리고 그 방안을 적절하게 잘 섞어서 이용할 수 있을 때에만이 보다 근본적으로 자급 조사료 이용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사일리지와 고간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국내산 조사료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보다 기술적이고 효과적인 것에 논할 수도 있었겠으나, 이는 미시적인 개선책이다. 최근 연구 경향은 점차 미시적으로 가고 있으며, 거시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추상적인 것으로 치부하여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 글을 통해, 이번 논의에서만큼은 거시적인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모든 문제는 거시와 미시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때 해결이 된다. 자급 조사료에 대해서도 보다 근본적인 것과 기술적인 것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사일리지, 두산백과.
고간류, 농업용어사전:농촌진흥청.
김계웅, 동물자원학개론, 선진문화사, 2013.
맹원재, 최일, 이순복, 장문백, 고대환, 부존 사료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12, 한국낙농학회, 1990.
허정민, 맥류의 수확시기가 사일리지의 재료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이상석, 하종규, 장문백, Auto-Pressure Transducer를 이용한 국내산 고간류의 사료가치 평가, 한국축산학회지 45,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