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아동 상담사례
I. 대상 아동
II. 문제 행동
III. 문제 행동의 경과
IV. 행동 분석
V. 지도방침
VI. 상담과정
1. 제1회(OO년 6월 19일)
2. 제2회(6월 29일)
3. 제3회(7월 13일)
4. 제4회(7월 20일)
5. 제5회(8월 31일)
6. 제6회(9월 13일)
VII. 논의
* 참고문헌
I. 대상 아동
II. 문제 행동
III. 문제 행동의 경과
IV. 행동 분석
V. 지도방침
VI. 상담과정
1. 제1회(OO년 6월 19일)
2. 제2회(6월 29일)
3. 제3회(7월 13일)
4. 제4회(7월 20일)
5. 제5회(8월 31일)
6. 제6회(9월 13일)
VII. 논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갖고 칭찬을 해준다. 이처럼 O와 같이 노는 시간을 많이 가지고 이야기하는 기회도 적극적으로 갖도록 한다.
4. 제4회(7월 20일)
- 어머니와의 상담 : 0에 대한 어머니의 대응 방법에 조금씩 변화가 보이면서, O의 행동에도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두드러진 변화로는 밤에 칭얼거리거나 떼를 쓰는 행동을 일절 무시한 결과 30분 정도 울다가 그치는 행동의 변화가 보였다. 다른 행동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2시간 이상 울었던 것을 생각해 보면 놀라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변화를 계기로 어머니는 상담사가 제안했던 '0에 대한 대응 방식을
바꾼다.'고 하는 제안을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숙제를 가능한 어머니와 함께'라고 하는 상담사의 제안에 대해서는 숙제가 없는 경우도 않기 때문에 매일 저녁 30분씩 O의 피아노 연습을 어머니가 도와주었다. 여름 방학 계획서에는 어머니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계획도 세웠다.
- 상담사의 지도 : 다음 주부터는 여름 방학에 들어가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전화 연락을 하도록 하고, 가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충실히 실행하도록 하였다.
* 칭얼거리거나 떼를 쓰는 행동, 또는 우는 행동이 보일 때에는 계속 이번처럼 대응하도록 한다(어머니는 이번 대응의 효과로 상당히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 O의 피아노 연습을 도와주는 것은 좋은 생각이며 가능하다면 O가 좋아하는 배드민턴 놀이를 병행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 어머니에게 스티커를 주면서 O와 협의하여 여름 방학 일과표에 따라 실행에 옮긴 사항에 대해서는 스티커를 붙여 주도록 하였다. 여름방학이 끝나면 이것을 갖고 오도록 하였다.
* 언니들에게도 상담사의 제안에 대한 이해와 협력을 구하도록 하였다.
5. 제5회(8월 31일)
- 어머니와의 상담 : 상담사가 부탁한 사항에 대해서 어머니는 거의 완전하게 실행에 옮겼으며, 이에 따른 효과로 상담 초기에 제기되었던 O의 문제 행동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어머니는 피아노 이외에도 배드민턴을 하면서 O와 하루 일과를 즐겁게 보내고 있다. 큰언니는 O와 함께 자주 쇼핑을 가는 등 O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아침 기상, 집안일. 공부 등을 포함한 기본적 생활 습관에 관한 일과도 잘 수행한 덕택에 상담사로부터 선물(학용품)을 받았다. 아버지와 함께 외출도 하는 등 아버지와의 관계도 많이 개선되어서 남자에 대한 부정적 표현도 사라졌다.
6. 제6회(9월 13일)
O의 변화가 여름 방학에만 일어난 일인지, 2학기에도 계속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는 것이 이번 상담의 목적이다. 다음은 어머니와의 상담을 통해서 확인된 O의 최근 모습이다.
- O의 행동 : 아침에 일어나 칭얼거리거나 떼를 쓰는 행동은 보이지 않고 학교를 잘 다니고 있다. 상담 초기에 제기되었던 문제 행동은 거의 개선되었다.
밤이 되어도 혼자 책상에 않아서 공부나 숙제를 하고 있으며, 공부가 끝나면 어머니에게 "안녕히 주무세요."라고 인사하고 혼자서 잔다(어머니는 공부할 때 잠시 함께 있기도 하고, O가 한 것을 한 번 훑어봐 주기도 한다). 집안일도 잘 도와주고 있으며, 학교 준비물도 하루 전에 준비를 한다.
VII. 논의
O에게 보이는 이상한 행동들, 즉 오랜 시간 동안 울거나 어머니에게 응석을 부리는 행동, 명령적 언어 표현, 집요한 질문 등의 습관은 O에 대한 어머니와 언니들의 대응 방식의 변화를 통하여 급격히 감소되었다.
'행동분석과 지도 방침'의 부분에서 언급한 것처럼 O는 자신의 이상한 행동을 매개로 어머니와 언니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고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사례를 통해서 아동들은 조그마한 욕구 불만 등이 충족되지 않으면 이것이 더 큰 문제로 발전하면서 가족을 힘들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부터 0의 가벼운 반항적 행동이나 집요한 질문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했더라면 서로가 이렇게까지는 힘들지 않았을 것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4. 제4회(7월 20일)
- 어머니와의 상담 : 0에 대한 어머니의 대응 방법에 조금씩 변화가 보이면서, O의 행동에도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두드러진 변화로는 밤에 칭얼거리거나 떼를 쓰는 행동을 일절 무시한 결과 30분 정도 울다가 그치는 행동의 변화가 보였다. 다른 행동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2시간 이상 울었던 것을 생각해 보면 놀라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변화를 계기로 어머니는 상담사가 제안했던 '0에 대한 대응 방식을
바꾼다.'고 하는 제안을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숙제를 가능한 어머니와 함께'라고 하는 상담사의 제안에 대해서는 숙제가 없는 경우도 않기 때문에 매일 저녁 30분씩 O의 피아노 연습을 어머니가 도와주었다. 여름 방학 계획서에는 어머니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계획도 세웠다.
- 상담사의 지도 : 다음 주부터는 여름 방학에 들어가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전화 연락을 하도록 하고, 가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충실히 실행하도록 하였다.
* 칭얼거리거나 떼를 쓰는 행동, 또는 우는 행동이 보일 때에는 계속 이번처럼 대응하도록 한다(어머니는 이번 대응의 효과로 상당히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 O의 피아노 연습을 도와주는 것은 좋은 생각이며 가능하다면 O가 좋아하는 배드민턴 놀이를 병행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 어머니에게 스티커를 주면서 O와 협의하여 여름 방학 일과표에 따라 실행에 옮긴 사항에 대해서는 스티커를 붙여 주도록 하였다. 여름방학이 끝나면 이것을 갖고 오도록 하였다.
* 언니들에게도 상담사의 제안에 대한 이해와 협력을 구하도록 하였다.
5. 제5회(8월 31일)
- 어머니와의 상담 : 상담사가 부탁한 사항에 대해서 어머니는 거의 완전하게 실행에 옮겼으며, 이에 따른 효과로 상담 초기에 제기되었던 O의 문제 행동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어머니는 피아노 이외에도 배드민턴을 하면서 O와 하루 일과를 즐겁게 보내고 있다. 큰언니는 O와 함께 자주 쇼핑을 가는 등 O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아침 기상, 집안일. 공부 등을 포함한 기본적 생활 습관에 관한 일과도 잘 수행한 덕택에 상담사로부터 선물(학용품)을 받았다. 아버지와 함께 외출도 하는 등 아버지와의 관계도 많이 개선되어서 남자에 대한 부정적 표현도 사라졌다.
6. 제6회(9월 13일)
O의 변화가 여름 방학에만 일어난 일인지, 2학기에도 계속되는지에 대해서 확인하는 것이 이번 상담의 목적이다. 다음은 어머니와의 상담을 통해서 확인된 O의 최근 모습이다.
- O의 행동 : 아침에 일어나 칭얼거리거나 떼를 쓰는 행동은 보이지 않고 학교를 잘 다니고 있다. 상담 초기에 제기되었던 문제 행동은 거의 개선되었다.
밤이 되어도 혼자 책상에 않아서 공부나 숙제를 하고 있으며, 공부가 끝나면 어머니에게 "안녕히 주무세요."라고 인사하고 혼자서 잔다(어머니는 공부할 때 잠시 함께 있기도 하고, O가 한 것을 한 번 훑어봐 주기도 한다). 집안일도 잘 도와주고 있으며, 학교 준비물도 하루 전에 준비를 한다.
VII. 논의
O에게 보이는 이상한 행동들, 즉 오랜 시간 동안 울거나 어머니에게 응석을 부리는 행동, 명령적 언어 표현, 집요한 질문 등의 습관은 O에 대한 어머니와 언니들의 대응 방식의 변화를 통하여 급격히 감소되었다.
'행동분석과 지도 방침'의 부분에서 언급한 것처럼 O는 자신의 이상한 행동을 매개로 어머니와 언니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고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사례를 통해서 아동들은 조그마한 욕구 불만 등이 충족되지 않으면 이것이 더 큰 문제로 발전하면서 가족을 힘들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부터 0의 가벼운 반항적 행동이나 집요한 질문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했더라면 서로가 이렇게까지는 힘들지 않았을 것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