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발달이론(행동주의이론 정신분석이론 인지발달이론 영역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튜리엘의 영역구분모형 아동의 도덕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성 발달이론(행동주의이론 정신분석이론 인지발달이론 영역이론)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튜리엘의 영역구분모형 아동의 도덕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도덕성 발달

I. 도덕성 발달이론
1. 행동주의이론
2. 정신분석이론
3. 인지발달이론
1) 피아제(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3) Kohlberg 이론의 한계점
4. 튜리엘(Turiel)의 영역구분 모형(영역이론)

II. 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연령, 성, 지능
2. 부모의 양육방식
3. 사회경제적 계층
4. 또래의 역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등에서 부모들은 절대적인 도덕률로 생각하는 반면 청소년인 자녀들은 개인의 권리로 판단한다면 그러한 문제의 도덕적 판단이나 도덕적 행위는 세대 간의 갈등요인이 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미국의 청소년기 자녀와 그들 부모간의 갈등 원인은 본질적인 도덕성이나 인습적인 문제보다는 개인적인 사태에 대한 영역구분의 판단 차이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metana, 1985, 1988).
우리나라에서도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도덕적 규범에 대한 갈등의 원인이 영역구분의 차이에 있음이 확인되었다(송명자, 1992 ;송명자 김상윤, 1987). 또한 서구 문화권의 아동들보다 우리나라의 아동들은 관습적이거나 개인적인 문제를 절대적인 도덕적 규범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송명자 김상윤, 1987 ;송명자 등, 1988 ; 이현섭, 1990).
Turiel 등(1983)에 의하면 도덕적 사태를 특정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인지 능력은 매우 어릴 때 나타나서 각기 독립적인 발달과정을 거친다(Smetana, 1981; Truiel, 1983)고 보았다. 타인의 권리와 행복에 대한 배려, 정의, 공정성 등의 도덕적 영역에 포함된 인간의 본질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성에 대한 인식능력을 어린 아동들이 인식할 수 있다고 가정한 것은 보편적인 도덕성의 원리가 순차적 발달에 의해서 후인습수준에 분화 발달한다고 주장한 Kohlberg(1958)의 주장과는 판이한 관점이다. 도덕적 영역의 발달과정에 대한 설명과는 대조적으로 사회인습적 영역의 발달과정에 대한 생각은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 학습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Turiel, 1978, 1983). 이러한 사회인습적 영역의 발달은 6-7세 경에 시작하여 19-25세경까지 지속된다고 보았다.
Tunel(1983)의 영역구분 모형은 Kohlberg(1958)이론이나 문화전수 이론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양 이론을 통합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덕적 일탈행동이나 비행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영역구분 모형의 장점은 그 행동 원인을 단순하게, 전반적인 도덕적 발달 및 판단의 낮은 발할 수준이나 문화적 특수성에 대한 반영적 행동으로 이해하는 제한점을 확대할 수 있다. 영역구분 모형은 아동의 도덕발달에 관여하는 인지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통합하는 장점은 물론 개인의 독특한 정서나 성격적 특성에 의한 행동요인의 상호 역동성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틀이 될 수 있다.
II. 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의 도덕성 발달 수준은 개인차가 있다. 발달수준과 개인차가 생기는 요인은 크게 지능, 연령, 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부모의 양육방식, 사회경제적 계층, 또래와의 관계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물론 이들 요인은 하나하나 독립적으로가 아니라 하나의 체제로서 상호적인 관계를 갖고 상호역동적으로 영향을 준다. 이들 요인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1. 연령, 성, 지능
각 개인의 연령과 도덕성 발달단계가 엄밀한 관계를 가진 것은 아니다. 발달의 개인차로 인해 같은 단계에 도달하는 나이는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연령은 대체적인 도덕성 발달의 일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성에 따른 도덕성 발달의 차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일치하지 않고 있다. Bronfenbrenner(1982)는 실증적 자료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도덕성 발달에 있어 성차에 대한 것은 미해결의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도덕성 발달과 지능은 깊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러나 도덕성을 지능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런 사례들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들이다.
2. 부모의 양육방식
Hoffman(1970)은 부모의 양육방식이 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한 결과 애정 철회, 권력 행사, 귀납적 훈육의 방법을 비교하면서 귀납적 훈육이 아동의 도덕성 발달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귀납적 훈육은 그 행동이 왜 잘못 되었는지와 왜 변화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되 그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을 강조하기 때문에 아동 스스로 자신행동을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인지적 기준을 제공해 주며, 자신이 해를 입힌 사람에게 공감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 연구에서 귀납적 훈육이 2-5세의 어린 유아에게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며, 부모 지시에 기꺼이 응하는 것은 물론 남에 대한 배려와 동정심을 증진시킨다는 것이 보고되기도 한다.
3. 사회 경제적 계층
Kohlberg의 몇몇 연구에서 사회계층과 도덕성 발달과의 유의미한 관계를 증명하였고, Hoffman과 Sastein의 연구에서도 중류계층의 어머니가 유도적인 방식을 취했을 때 아동의 도덕성 발달수준이 높았고, 권위적인 경우 도덕적으로 미성숙함이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이 아동의 도덕성 발달과 관계가 있음을 입증하는 경험적 연구들(허윤, 1984 ; 박영미, 1985)에 의하면 부모의 학력 정도가 높고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아동의 도덕성 발달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4. 또래의 역할
최근 사회학습이론가와 인지발달론자들은 또래가 도덕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Piaget에 의하면 아동의 도덕성 발달은 부모보다 또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조직에 많이 참여한 인기 있는 아동, 또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남아, 또래집단 내에서 지명도가 높은 아동이 발달된 도덕성 수준을 보인다고 밝힘으로써 또래집단이 아동들의 도덕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꼽힐 수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3.13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