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 (2)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 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신언어의 개념
1) 정의
2) 발달과정
3) 특성
2. 통신언어 수집 및 분석
1) 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 트위터
(1) 표현적 장치
(2) 유대 강화 장치
(3) 경제적 장치
2) 다음 카페 레몬테라스
(1) 유대 강화 장치
(2) 표현적 장치
(3) 경제적 장치
3) 카카오톡 대화방 내용
(1) 표현적 장치
(2) 경제적 장치
(3) 유대 강화 장치
3. 통신언어 사용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4. 통신언어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사용방안
1) 통신언어의 문제점
2) 바람직한 통신언어 사용방안
(1) 사회적 차원의 노력
(2) 개인적 차원의 노력
(3) 고의적 악성댓글 방지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집ㆍ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신언어의 개념
1) 정의
2) 발달과정
3) 특성
2. 통신언어 수집 및 분석
1) 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 트위터
(1) 표현적 장치
(2) 유대 강화 장치
(3) 경제적 장치
2) 다음 카페 레몬테라스
(1) 유대 강화 장치
(2) 표현적 장치
(3) 경제적 장치
3) 카카오톡 대화방 내용
(1) 표현적 장치
(2) 경제적 장치
(3) 유대 강화 장치
3. 통신언어 사용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4. 통신언어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사용방안
1) 통신언어의 문제점
2) 바람직한 통신언어 사용방안
(1) 사회적 차원의 노력
(2) 개인적 차원의 노력
(3) 고의적 악성댓글 방지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스마트폰과 개인용 PC의 보급으로 인터넷은 우리 생활의 중심에 놓여있다. 이렇게 인터넷 인구가 급증하면서 급기야는 인터넷에서 쓰이는 언어가 따로 생겨나기에 이르렀다. 통신언어는 전자 말에 속하는 것으로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 새롭게 비롯된 말이다. 통신언어란 전자말의 하위 갈래로서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를 뜻하며 이를 사이버 언어, 인터넷 언어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우리가 흔히 언어라고 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말을 하고 글을 쓰며 의사소통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언어가 일상생활을 벗어나 가상세계를 만나게 되면서 통신언어라는 새로운 의사소통 도구를 만들어 내기 시작한다. 일상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이모티콘이나 의성어, 의태어, 축약어나 줄임말 혹은 신조어 등이 통신언어를 구성하며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통신언어는 기본적으로 우리의 자연어(오프라인 언어)를 바탕으로 창조되고 있다. 예컨대, 바탕화면의 휴지통이나 서류가방, 웹 화면의 창, 파일, 지우개 등은 우리 일상에서 사용하는 말들을 그대로 옮겨 비유적인 표현으로써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언어는 전혀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내기 보다는 이미 쓸 수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온라인 공간에서의 언어는 새로운 낱말을 만드는 것 이상으로 기존 낱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면 본론으로 들어가서 통신언어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통신언어의 유형별 자료를 직접 수집하여 통신언어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올바른 통신언어 사용방안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통신언어의 개념
1) 정의
넓은 의미로는 의사소통을 위해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문자언어를 가리키지만, 의미를 좁혀 살펴보면 인터넷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해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문자 언어로, 일반 언어의 음운 또는 형태적 변이형이나 통신상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말, 통신상에서 새롭게 의미가 부여된 말, 또는 통신상에서 사용되는 독특한 문체나 어법, 의사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 기호를 포괄하는 것으로 최소한의 정형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2) 발달과정
(1) 1기 통신언어 - PC통신 시절
대략 90년대 초반에 많이 사용했다. 지금도 간간히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 대부분이 PC통신으로 사람들이 채팅할 때 시간을 아끼려고 말 같은 것들을 축약하는 형태나 약간의 애교성 말투 혹은 이모티콘 등이 있다. 축약 형태는 지금도 많이 쓰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하2, 헤어질 때 20000, 서울->설, 그냥->걍 등이 있다.
여기서 이모티콘이 나왔는데, 이것은 통신이나 채팅을 할 때 감정 같은 것을 표현할 때 쓰인다. 그 당시에는 화상채팅이라는 것도 없었고 목소리도 들리지 않아서 감정 표현이 매우 힘들었다. 글로만 자신이 말하려 하는 바를 다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서 키보드의 특수문자나 한글, 영어 등을 조합해서 표정 같은 것을 만들어낸다. 지금도 채팅할 때 많이 쓰이고 게시판 같은 곳에도 쓰인다.
(2) 2기 통신언어 - 90년대 후반 ~ 2002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난잡한 언어, 맞춤법을 의도적으로 무시한 언어들이 대거 등장했다. 인터넷을 처음 접해보는 어린 아이들이나 어른들은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난잡하고 알아볼 수 없는 것들이 많았다. 어른들이 기껏해야 의미를 추측할 수 있는 것으로 따지면 초성체 정도? 국내 사이트의 70% 이상이 외계어로 사이트를 만들었고 커뮤니티란에서도 외계어 투성이었다. 외계어라는 용어는 이 시기에 나왔다. 1기 때는 사용료를 줄이려고 말을 축약해서 쓰는 것이었지만 2기는 말 그대로 \'언어파괴\'였다. 지금도 쓰이는 초성체도 이 시기에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두(http://www.idoo.net) 같은 사이트에서 언어파괴를 막는 주축이 되고 뒤늦게 정신차린 사람들의 노력으로 외계어는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2001~2002년 즈음에는 많은 사이트에서 통신언어 사용 금지를 명했다.
(3) 3기 통신언어 - 2002년부터 ~ 2005년
사람들이 2기 통신언어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거의 쓰지 않을 때 자신들을 \'폐인\', \'언어파괴자\' 등으로 칭하며 아쥑쥑닷컴(http://www.ahehheh.com)을 만들어서 하오체를 배포한 것이다. 이 사람들은 대부분 디시인사이드 사람들로 ~하오, ~했소? 등의 국어 문법에도 있는 \'하오체\' 로 대화했다. 하지만 이것도 문제가 되었다. 하오체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 사람들은 \'방법한다\', \'양심업ㅂ는\', \'쥑자\' 등의 은어들을 많이 만들어 내서 사람들이 또 그것을 막 따라하게 되어서 문제가 되었다. 2기보다 사람들에게 전파되는 속도, 사람들이 하오체를 쓰지 않게 되는 속도가 느리다.
(4) 4기 통신언어 - 2005년 ~ 현재
하오체도 점차 사라지는 시기에서 통신언어라고는 초성체와 맞춤법 오류만 남은 듯 했다. 하지만 디시인사이드(http://www.dcinside.com)에서 또 여러가지 은어를 배포했다. 하지만 4기의 문제는 사람들이 이것이 통신언어라는 것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고 기존에 통신언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통신언어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셈, ~삼체나 키보드에서 의도적으로 오타를 내서 만든 언어들(해줏메,
  • 가격4,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3.14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